번호 | 대회 (Time) |
분과 (Session) |
제목 (Title) |
발표자 (Speaker) |
---|---|---|---|---|
415 | 1st | 사회1 Sociology1 |
남한과 북한 교과서에서의 민족정체성과 외래성
Bringing the Other home: Differing representations of foreignness and Korean identity in North and South Korean text books |
Dennis Hart |
414 | 1st | 사회1 Sociology1 |
문화의 탈지역화와 한국무화연구: 그 방법론적 모색
Deterritorialization of Culture and the Study of Korean Culture |
Youn Taek-lim |
413 | 1st | 사회1 Sociology1 |
한국에 시민사회가 존재하는가
In Search of a Civil Society in South Korea |
Koo Hagen |
412 | 1st | 사회1 Sociology1 |
남북한 고등교육체제에 관한 비교적 고찰
North and South Korean Comparative Research on College Education |
Sun Qi-lin |
411 | 1st | 사회1 Sociology1 |
중국, 한국, 필리핀 사이의 삶의 질 비교연구
Quality of Life - Among Korea, China and Philippines: A Comparative Study |
Zhou Chang-cheng |
410 | 1st | 사회1 Sociology1 |
애국인가 민족배신인가? : 이민에 대한 담론의 변화
Quality of Life among Korea, Philippinese and China: A Comparative Study |
Song Chang-zoo |
409 | 1st | 역사4 History4 |
간도 조선인 친일단체"간도협조회"에 관한 연구
A Study of the "Jiandao Society", a Pro-Japanese Group of Koreans in Jiandao |
Sun Chun-ri |
408 | 1st | 역사4 History4 |
아시아에서의 식민통치의 다양성: 일본의 한국지배와 영국의 인도 지배 비교 연구
ASPECTS OF COLONIALISM IN ASIA: A COMPARATIVE STUDY OF THE JAPANESE IN KOREA (1910-1945) AND THE BRITISH IN INDIA (1757-1947) |
Mortuza Khaled |
407 | 1st | 역사4 History4 |
러시아 한국학에서 분단을 보는 시각의 문제와 그 해결방식
DIVISION OF KOREA AS AN ISSUE INSIDE KOREAN STUDIES AND WAYS 0F OVERCOMING IT. THE RUSSIAN VIEW |
S.O.Kourbanov |
406 | 1st | 역사3 History3 |
태극기, 상투와 망건: 민영환의 여행기[해천추범](1896)에 기록된 러시아 극동 지역 이주 한인에 대한 고찰
Taegukki, sangtu, and mang’gon: Min Yong-hwan''s Observations on Korean Emigration to the Russian Far East in Haech''on ch''ubom (1896) |
Michael Finch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