번호 | 대회 (Time) |
분과 (Session) |
제목 (Title) |
발표자 (Speaker) |
---|---|---|---|---|
455 | 6th | 교육2 Education2 |
1910년 조선교육에 관한 논쟁
Civilizing Koreans: The 1910 Debate over Korean Education |
Mark E Caprio |
454 | 1st | 교육2 Education2 |
한국 교육체계의 수립, 1945-1951
Creating a Korean Educational System, 1945-1951 |
Michael J. Seth |
453 | 1st | 교육2 Education2 |
유가사상이 현대 한국 기초교육에 미친 영향
The Effect of Confucian Culture on Korean Elementary Education |
Suo Feng |
452 | 1st | 교육1 Education1 |
대학생과 사회화: 한국, 포르투칼, 프랑스 비교
University students and socialization : comparative study between South Korea, Portugal and France |
Carrausse Severine |
451 | 1st | 문학4 Literature4 |
재만 조선인 문학에서 친일과 친일성향 연구
A Study of Japanophilism in Korean Literature in Manchuria |
Cui San-long |
450 | 1st | 문학4 Literature4 |
재만 조선인 문학의 기수-안수길과 그의 문학세계
Fate in the Korean Humanities of Korean-Machurians: The Literary World of An Su-gil |
Jin Hu-xiong |
449 | 1st | 문학4 Literature4 |
광복전 재만 조선인 문학의 성격 및 특성
The Nature and Character of Korean Literature in Manchuira before the Liberation of Aug15. 1945 |
Wu Xiang-shun |
448 | 1st | 문학3 Literature3 |
한국 근대시인의 일본어 창작에 얽힌 문제들
About Korean Modern Poets'' Japanese Works |
Hiroko Sanada |
447 | 1st | 문학3 Literature3 |
한상고절과 신미-김시습 시에서의 국화 이미지
Firmness in Adversity and Divine Beauty: The image of the Chrysanthemum in Kim Si-sup’s poems |
Sonja Haeussler |
446 | 1st | 문학3 Literature3 |
이상화와 쿠오 모조의 시세계
The Force of Feeling: Piecing Together the Poetics of Yi Sanghwa and Guo Moruo |
Ann Y Choi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