번호 | 대회 (Time) |
분과 (Session) |
제목 (Title) |
발표자 (Speaker) |
---|---|---|---|---|
635 | 5th | 자유분과1 Free Topic Session1 |
<統海百八詞>의 지역적 형상화 연구
A Study on the Figuration of the region in Tonghae baekpalsa |
이은주 |
634 | 5th | 자유분과1 Free Topic Session1 |
한글본 ≪易言≫과 ≪西遊見聞≫ 비교를 통한 신문화 어휘 고찰
韩字本 《易言》和《西游见闻》中新文化词汇的比较 |
이병기 |
633 | 5th | 자유분과1 Free Topic Session1 |
조선시대 한글편지를 이용한 국어생활사 교육 방안
The educational method on the history of Korean language life using Hangeul letters |
이승희 |
632 | 5th | 자유분과1 Free Topic Session1 |
內訓書의 이념과 조선 여성의 현실, 그 변화와 지속
Morality Books for Women and Reconstruction of Gender Knowledge in Joseon Korea |
이경하 |
631 | 5th | 특별분과2 Special Session2 한-중 교류, 한-대만 교류 |
朝鮮時代 代理聽政 制度의 起源과 特性朝鮮時代代理聽政制度的起源和特性 |
조미은 |
630 | 5th | 특별분과2 Special Session2 한-중 교류, 한-대만 교류 |
조선왕실의 책봉문서 연구
-중국황제 발급문서를 포함하여-
A Study on the Documents for Investiture of Joseon Royal Family
- including Documents issued by Chinese Emperor - |
장을연 |
629 | 5th | 특별분과2 Special Session2 한-중 교류, 한-대만 교류 |
원간본(元刊本) 중수정화경사증류비용본초(重修政和經史證類備用本草)의 조선 간행과 그 배경
Publication and Background of jungsujeongwhagyeongsajunglyubiyongboncho(重修政和經史證類備用本草) which published in Mongol-Yuan Period in Joseon |
옥영정 |
628 | 5th | 특별분과2 Special Session2 한-중 교류, 한-대만 교류 |
중국과 한국의 혼서(婚書)와 휴서(休書) 비교 연구
- 조선과 명청시대를 중심으로 -
A Comparative study of the Wedding-papers(婚書) between Joseon Period and Late Imperial China History |
전경목 |
627 | 5th | 특별분과2 Special Session2 한-중 교류, 한-대만 교류 |
현대중국의 한국문화의 수용과 자각
当代中国的韩国文化接受与觉醒 |
박영환 朴永煥 |
626 | 5th | 특별분과2 Special Session2 한-중 교류, 한-대만 교류 |
朝鮮・臺灣 在野法曹界의 식민지 사법제도 개혁운동
Reform Movement of the Colonial Judicial System in Korea and Taiwan |
이승엽 LEE, Sung Yup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