번호 | 대회 (Time) |
분과 (Session) |
제목 (Title) |
발표자 (Speaker) |
---|---|---|---|---|
675 | 2nd | 역사 History |
헝가리 최초로 깊이있게 한국을 연구한 학자와 역사의 소용돌이 속에서 사라져 가는 그의 저서 |
CSOMA Mozes |
674 | 2nd | 역사 History |
한국 所藏 마데오리치의 세계지도 연구 ― 중국 所藏本과 비교를 兼하여 |
Yang Yulei |
673 | 2nd | 역사 History |
한국종교사에 있어서 평양의 상징적 위치 |
김명윤 |
672 | 2nd | 역사 History |
묘향산의 神堂과 단군신화의 특성 |
허홍식 |
671 | 2nd | 역사 History |
THE KOREAN REUNIFICATION ISSUE AND SINO-AMERICAN RELATIONS IN THE POST COLD WAR PERIOD: A THIRD EYE VIEW |
A. F. M. SHAMSUR RAHMAN |
670 | 2nd | 역사 History |
Juch’e in Korean History Research – A Step toward Unification |
Leonid A. Petrov |
669 | 2nd | 역사 History |
Reflection of Koguryo Heritage in the Mythical Legends from Koryosa sege
(高麗史 世系 設話에 나타난 高句麗 遺産) |
Hong-key Yoon |
668 | 2nd | 역사 History |
Ch’oe Namsŏn at the Height of the Japanese Imperialism |
Chizuko T. Allen |
667 | 5th | 자유분과9 Free Topic Session9 |
영화를 통하여 다음 세대의 한국에 대한 인상 높이기
Inspiring the Next Generation about Korea in and through Film |
브라이언 예시스 Brian Yecies |
666 | 5th | 자유분과9 Free Topic Session9 |
호주에서의 한국어 교육: 회생의 길
Korean language is thrown a life line, is it? |
신기현 Gi-Hyun Shi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