번호 | 대회 (Time) |
분과 (Session) |
제목 (Title) |
발표자 (Speaker) |
---|---|---|---|---|
775 | 7th | panel 4 |
Hometown Topography and Narrator's Bildung in War Circumstances in Yun Heung-gil's The Road to Soradan |
카탈리나 스탄츄(Catalina Stanciu) |
774 | 7th | panel 4 |
강 저쪽 사람들: 평등, 불법침입, 그리고 공동체
- 장률의 <두만강> (2009) 속에 나타난 탈북자와 조선족의 관계를 중심으로 |
조은아(Eun Ah Cho) |
773 | 7th | panel 3 |
근대기 조선인의 일본 여행과 문화 정체성
Negotiating Cultural Identity Through Japan Travel: A Case of Koreans of the Modern Colonial Period |
김순주(KIM SUN JU) |
772 | 7th | panel 3 |
국제이주, 관광, 문화교류: 화교들의 고향방문
International Migration, Tourism, Cultural Exchange: Overseas Chinese Homeland Visits |
이창호(LEE CHANGHO) |
771 | 7th | panel 3 |
The Romance of Kyongju's Ruins: Destination Image Making and Tourist Development in Colonial Korea |
배형일(Hyungil Pai) |
770 | 7th | panel 3 |
중국인 관광객의 증가에 따른 한국의 경관 변화
Landscape Change of Seoul According to the Increase of Chinese Tourists |
양영균(Yang Young-Kyun) |
769 | 7th | panel 3 |
여행자의 변화와 문화교류: 한국을 찾는 일본인
Tourism and Cultural Exchange: Japanese Visiting Korea |
문옥표(Moon Okpyo) |
768 | 7th | panel 2 |
조선후기 세계지도 (坤輿全圖) 병풍 연구
Envisioning the World: A Study of Joseon World Map Screens |
이정은(Jungeun Lee) (비공개) |
767 | 7th | panel 2 |
근대 주체의 경험과 형성: 1915년 조선물산공진회와 조선총독부미술관
Experiencing and Constructing New Modern Subjectivities
:the Chosŏn Industrial Exposition of 1915 and the Government General Museum |
박영신(Young-Sin Park) |
766 | 7th | panel 2 |
사당패소리가 어떻게 대한제국애국가가 되었는가 -- 호머 헐버트가 채보한 노래 "바람이 분다"
How a Sadangpae song became the first National Anthem of Korea |
고체프스키 헤르만(Gottschewski_Herman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