번호 | 대회 (Time) |
분과 (Session) |
제목 (Title) |
발표자 (Speaker) |
---|---|---|---|---|
795 | 7th | panel 9 |
매화시를 통해본 조선조 문인의 자연관과 심미 인식
Joseon Intellectuals' Perceptions of Nature and Their Aesthetics Shown in Poems on Maehwa Flower |
신익철(Shin Ik Cheol) |
794 | 7th | panel 9 |
18-19세기 자연 인식의 변모와 시적 형상의 새로움
-한국의 강호시가와 낭만주의 영시를 대상으로 |
이형대(Lee Hyungdae) |
793 | 7th | panel 9 |
고려시대 담론의 전통에 반영된 자연과 생명의 미학
Aesthetic Conceptions of ‘Life' and ‘Nature’ in Koryo Literary Discourse |
Grace KOH |
792 | 7th | panel 9 |
한국적 자연관과 생명관의 사상적 기반과 그 추이
Foundation and development of korean thoughts on nature and life |
김대열(Dae-yeol KIM) |
791 | 7th | panel 9 |
서양인의 시선으로 본 한국의 자연과 생태-19세기 말 영어권 자료를 중심으로
Nature and Ecology in Korea in the Eyes of Westerners: Focusing on English Materials in the Late 19 century |
조융희(JO Yoong Hee) |
790 | 7th | panel 8 |
조선시대 필사본 음식조리서의 확장된 어휘 단위의 유형 연구 |
이수진(Lee Soojin),남길임(Kilim Nam) |
789 | 7th | panel 8 |
『동아일보』(1920~1945) 기사에 나타난 한식의 고찰
On the Names of Korean Dishes in Articles of DongA-Ilbo (1920~1945) |
이지영(LEE, JIYOUNG) |
788 | 7th | panel 8 |
한글 음식조리서에 나타난 부사의 특성과 의미 기능
Characteristics of Adverbs and their Semantic Function in Traditional Korean Culinary Manuscripts |
백두현(PAEK DOO HYEON), 김명주(Kim Myeong-Ju) |
787 | 7th | panel 7 |
전통적 양식과 근대적 매체의 혼합과 그 가능성
- <거짓말신문>과 <대동위인 안중근전>을 중심으로 - |
황재문(Hwang, Jae-moon) |
786 | 7th | panel 7 |
1920년대 잡지 <동명>과 근대적 조선의 기획 |
이희정(Lee Heejung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