번호 | 대회 (Time) |
분과 (Session) |
제목 (Title) |
발표자 (Speaker) |
---|---|---|---|---|
185 | 4th | 문학1 Liturature1 |
황석우라는 유령-한국근대시론 형성에 있어서의 ''배제된 것''의 의미
Hwang Seogwoo as a Phantom―On the Meaning of ''The Excluded'' in the Formation of Korean Modern Poetics |
신지연 |
184 | 4th | 민속 Folklore |
디지털한국학 아카이브의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을 중심으로-/
A Study on a Practical Use of Digital Archive for Korean Studies - Focusing on the “Grandculture Project” of the AKS |
심재석 |
183 | 4th | 민속 Folklore |
새로운 계시로 살아나는 옛전통: 동아시아 원천자료에 나타난 마고문화와 그 향수적 정서
The Old Tradition Comes As A New Revelation: Magoism and its Nostalgic Ethos Expressed in pan-East-Asian Primary Sources |
Helen Hye-Sook Hwang |
182 | 4th | 민속 Folklore |
한국의 민속적 자연관과 환경문제의 갈등―위도띠뱃놀이와 “핵폐기물 처분장” 문제의 친화와 상극
Cultural conflicts between folk view of nature and the environmental problem in South Korea. ―An affinity and conflicts about Wido Tibe-Nori and problem of “Nuclear waste disposal site.”― |
Asuka Udagawa |
181 | 4th | 예술3 Art3 |
『사리영응기』 소재 상림원과 전악서의 악공 연구
Musicians in Sangrimwon and Jeonakseo appearing in 『Sariyeongeungki』 |
김우진 |
180 | 4th | 예술3 Art3 |
밖에서 본 영산회상
New Prospect of Yeongsanhoesnag from South Asian Music |
전인평 |
179 | 4th | 예술3 Art3 |
실크로드 산악 (散樂)의 中.韓.日 전래
The introduction of the silkroad ''Sanak(散樂)'' to China, Korea and Japan |
권오성 |
178 | 4th | 예술3 Art3 |
조선후기 지방 연향의 형태와 공연양상
The Forms and Performing Aspects of the Regional Banquet in the Late Chosun |
임미선 |
177 | 4th | 예술2 Art2 |
궁중악무를 통해 본 한·중·일의 문화 비교 -배(船)를 소재로 한 악무를 중심으로-
The Comparative Cultural Study of ''Dance of Boating'' in Korea, China and Japan |
김은자, 박태규, 이정인 |
176 | 4th | 예술2 Art2 |
조선조 궁중과 풍류방에서의 여민락 변모 양상
Methods of Playing Yeo-min-lak in Jo-Sun Royal Court and Poong-Ryoo-Bang |
반혜성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