번호 | 대회 (Time) |
분과 (Session) |
제목 (Title) |
발표자 (Speaker) |
---|---|---|---|---|
225 | 4th | 자유분과5 Free Paper Session5 |
남북한간 공유영역으로서의 예술 -남한에서의 ‘조선화’ 수용과 반응에 관하여-
Art as an interface between North and South Korea. On the reception of Chosŏnhwa in South Korea. |
Koen DE CEUSTER |
224 | 4th | 자유분과5 Free Paper Session5 |
남북한이 만나는 한반도의 문화적 공유영역들
North/South Interfaces in the Korean Peninsula. Cultural aspects |
Élisabeth CHABANOL |
223 | 4th | 자유분과5 Free Paper Session5 |
남한과 북한 소설에서 나타난 황진이 신화
Northern and Southern Interpretations of the myth of Hwang Chin-I |
Simon KIM |
222 | 4th | 자유분과5 Free Paper Session5 |
영통사과 그의 복원: 남-북 협조 구역으로서의 中世 寺터
Yŏngt’ong-sa and its Reconstruction: A Medieval Buddhist Site as a Space for North-South Cooperation |
Sem VERMEERSCH |
221 | 4th | 자유분과4 Free Paper Session4 |
이주민을 위한, 이주민에 의한 미디어: 한국의 이주노동자 방송
Media for migrants and by migrants : Migrant Workers TV in Korea |
조성미 |
220 | 4th | 자유분과4 Free Paper Session4 |
통합과 변화 : 한국의 새로운 미디어 혁신
Configurations and Change: South Korean Places of New Media Innovation |
Hanna Hye-Na Cho |
219 | 4th | 자유분과4 Free Paper Session4 |
Online 게임과 한국의 경우를 근거로 하여 한국의 사회기술적 변화에 대한 Canada Communication 이론의 적용
Online games and Korea as Figure and Ground: An application of Canadian Communication theory to the sociotechnical transformation in Korea |
Florence Chee |
218 | 4th | 자유분과3 Free Paper Session3 |
1945년 이전 한국 대중음악 음반에 나타난 일본인의 활동
Japanese artists in Korean popular music records before 1945 |
이준희 |
217 | 4th | 자유분과3 Free Paper Session3 |
대중가요에 나타나는 이국 취향의 양상과 의미
An aspect and Meaning of the Exoticism in Korean Popular Songs |
장유정 |
216 | 4th | 자유분과3 Free Paper Session3 |
월드뮤직으로서의 국악, 그 가능성의 모색 - 장사익의 사례를 중심으로
Kuk-Ak as a sub genre of World Music - with focus on the case of Singer Chang, Sa-Ik |
박애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