번호 | 대회 (Time) |
분과 (Session) |
제목 (Title) |
발표자 (Speaker) |
---|---|---|---|---|
255 | 4th | 특별분과3 Special Session3 |
한국 역사교육에 있어서 신과목「동아시아사」의 의의와 일본에 대한 시사
The New Subject of East Asian History in Historical Education of Korea, its Significance and Suggestion for Japan |
kokobu Mari |
254 | 4th | 특별분과2 Special Session2 |
의사소통 기능 중심의 한국어 교육 내용 선정 및 배열 연구-거절 기능을 중심으로
A Study on Selection and Arrangement of Educational Contents in Korean Language focused on Communication Function-Focused on refusal function- |
신정애 |
253 | 4th | 특별분과2 Special Session2 |
한국어 교재의 담화표지 분석
Analysis of Discourse marker on Korean Text Books |
오현주 |
252 | 4th | 특별분과2 Special Session2 |
한국어 교재의 텍스트 유형 분석
Analysis of the Text Type of Korean Language Textbook |
이정민 |
251 | 4th | 특별분과2 Special Session2 |
한국어 구어에 나타난 연결어미의 종결어미화 연구
A Study on the Transition of Conclusive Ending of Connective Ending in Korean Spoken Language |
손옥현 |
250 | 4th | 특별분과2 Special Session2 |
한국어의 세계화와 한국어 교원 수급 방안
Globalization of Korean and suggestion of allocation for Korean Language teachers |
송향근 |
249 | 4th | 특별분과2 Special Session2 |
한일 한자어 대조분석: 한국 드라마 ''겨울연가'' 대사를 바탕으로
Comparative Analysis of Chinese Character Words in Korean and Japanese based on the Korean Drama "Winter Sonata" Script |
Chad Walker |
248 | 4th | 특별분과2 Special Session2 |
후회 표현의 의사소통 기능 고찰
The study on Communication function of regret expressions |
강현화 |
247 | 4th | 특별분과1 Special Session1 |
미국 동아시아사 교과서에서 보이는 한국(1960s-2007)
The Narrative of Korea in East Asian History Textbooks in the US (1960s-2007) |
Stella Yingzi XU |
246 | 4th | 특별분과1 Special Session1 |
유럽 사회과 교과서에 나타난 한국전쟁
The Korean War in European Social Studies Textbooks |
정재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