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년 장서각 특별전  ‘보존과학으로 다시 태어난 조선의 기록유산’ 개최
2023년 장서각 특별전 ‘보존과학으로 다시 태어난 조선의 기록유산’ 개최
  • 전시일정 2023-09-21 ~ 2024-03-29
  • 전시장소 장서각 1층 전시실
  • 문의 031-730-8820
전시소개

보존과학으로 다시 태어난 조선의 기록유산

 ∘  전시기간 : 2023. 09. 21 - 2023. 12. 31 
 ∘  운영요일 및 시간 :  (9월) 월~금 운영, (10~12월) 월~토 운영

   ※ 휴관일자 : 일요일 및 국가지정 공휴일(추석연휴 9월 28일 ~ 10월 3일), 한글날(10월 9일), 성탄절 (12월 25일) 및 12월 16일(자체 시설 정비)
   ※ 20인 이상 단체 관람은 사전 예약이 필요하며 시간제로 운영합니다.
(10:00~11:30 / 13:30~15:00 / 15:00~16:30)

     예약전화: 031-730-8820 / 평일 10시~16시

   ※ 20인 미만 개인 및 단체 관람은 휴식시간을 제외하고 언제든지 가능하나 전시실 내 관람객이 많을 경우 입장이 지연될 수 있습니다.(운영 시간 10:00 ~ 11:30 / 13:30~16:30)
 ∘  전시장소 :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1층 전시실

 

------------------------------------------------------------------------------------------------------------
 

1. 왕실의 문화를 기록하다
조선 왕조는 500년이라는 유구한 역사 아래 문치文治와 예교禮敎를 통한 문명국가를 지향했다. 이를 위해 국가의 경영과 사회질서를 확립하는 과정을 방대한 기록으로 남겨 문명국가로서의 위상을 분명하게 보여 주었다. 장서각에 소장된 왕실문헌과 어제·어필도 이러한 조선 왕조의 역사와 문화를 오롯이 담고 있는 소중한 기록유산이다. 그동안 장서각에서는 보존의 일환으로 왕실 자료 가운데 높은 품격과 사료적 가치를 지닌 작품을 정밀하게 복제하여 원 자료의 훼손을 최소화하고, 전시에도 활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왕실의 문화를 기록하다’에서는 조선 왕실의 역사와 문화를 살펴볼 수 있는 주요 작품 20여 점을 소개한다. 여기에는 14세기 말 「조온사패왕지」부터 20세기 초 「고종어필 정헌」에 이르기까지 조선 왕조 전반에 걸친 각종 왕실 자료가 망라되었다. 세부적으로 조선 왕조를 건국한 태조의 어진을 복원하였으며, 왕실의 기록과 기록화, 국왕의 글씨로 구분하여 조선 왕실의 기록유산을 한눈에 감상함으로써 장서각 보존과학의 정밀함과 우수성을 실감할 수 있게 하였다.

 

동의보감
1613년 의관 허준許浚(1539~1615) 등이 왕명에 의해 중국과 조선의 의서를 집대성하여 편찬한 의학서이다. 내과의 질병을 다룬 내경편內景篇4, 외과의 질병을 다룬 외형편外形篇4, 그 밖의 여러 병증을 설명한 잡병편雜病篇11, 약물에 관한 지식이 담긴 탕액편湯液篇3, 침 치료법인 침구편鍼灸篇1권으로 구성되어있다. 동의보감은 국가 차원의 공공 의료와 예방 의학의 확립을 위해 편찬된 관찬서적으로, 전문적이면서도 실용적인 의학 지식을 담고 있다.
 
태조어진
태조의 어진을 2011년 모사, 복원한 것이다. 어진은 조상에 대한 추모뿐 아니라 조종祖宗과 국가의 영구한 존속을 도모한다는 의미가 있다. 특히 태조어진은 조선의 상징과 같은 것으로, 서울의 문소전文昭殿, 영흥의 준원전濬源殿, 평양의 영숭전永崇殿, 개성의 목청전穆淸殿, 경주의 집경전集慶殿, 전주의 경기전慶基殿 등 전국에 총 26점이 봉안되었다. 장서각 태조어진1872(고종 9)에 제작된 전주 경기전의 태조어진을 바탕으로 모사한 것이다. 다만, 1837(헌종 3)에 제작된 영흥 준원전의 어진을 모본으로 한 창덕궁 선원전璿源殿태조어진을 참고하였기 때문에 곤룡포의 색상이 홍색으로 그려진 것이 특징이다.
 

장조, 순조, 헌종 태봉도

태봉도는 왕실의 태를 묻은 태실胎室과 그 주변의 형세를 그린 것으로, 태실의 조성과 관련된 그림이다. 조선에서는 왕실 자손이 태어나면 그 태를 길지에 안장安藏하기 위해 태실을 만들었다. 그리고 훗날 태의 주인이 왕위에 오를 경우에는 기존의 태실에 특별히 석물石物로 단장하였다. 이러한 사항을 국왕에게 보고하기 위해 어람용御覽用으로 태실과 주변의 경관을 그려 올린 것이 태봉도이다. 태봉도는 삼국시대부터 내려온 태를 묻는 장태藏胎 문화가 조선 왕실의 안태의례安胎儀禮로 구체화한 것을 가시적으로 보여주는 왕실 회화이다. 또한 제작 동기 및 시기가 분명한 점과 그 희소성에서 사료적 가치를 인정받았다.
 
대동여지도
대동여지도는 고산자古山子 김정호金正浩1861년에에 제작한 조선 전역의 지리를 상세하게 나타낸 지도이다. 이전의 지도책과 달리 절첩식으로 분첩하여 휴대와 열람이 편리하게 만들어졌다. 전국을 남북 22층으로 나누고, 각 층마다 동서 방향의 지도를 수록했는데, 각 층에 해당하는 지역의 지도를 각각 1첩으로 접어서 엮었다. 22첩을 모두 펼쳐 연결하면 세로 약 6.6m, 가로 약 3.8m의 대축적 지도가 된다. 지도는 산줄기와 물줄기가 상세하고 군현의 경계를 점선으로 표시하였으며, 교통로는 10리마다 점을 찍어 이용의 편의를 도모했다. 근대 측량 기술로 제작된 지도와 비교해도 손색이 없을 정도로 조선의 지도 제작 기술이 집대성된 지도로 평가받는다.
 

 정조어필 시국제입장제생

179899일에 시행된 성균관의 국제菊製에서 정조가 유생들을 깨우치기 위해 작성한 유시문諭示文이다. 정조는 자신이 내린 국제의 시험 문제를 유생들이 제대로 이해하지 못하고 백지로 제출하자, 3일 동안 기한을 주고 문제의 뜻을 이해하여 답안지를 다시 제출하게 하였다. 이후 정조 자신이 직접 채점하여 1등으로 뽑힌 생원 윤행경尹行慶에게 규장전운奎章全韻을 하사하였다. 이 문서는 정조가 직접 내린 시제試題의 의미와 성균관 유생의 학문 수준을 질책하는 내용 등이 담겨 있어 당시 인재 육성을 위한 고심을 잘 보여준다.

 

2. 명가의 역사를 보존하다.
장서각은 한국학중앙연구원 개원 이후부터 지금까지 민간의 생활 문화가 깃든 고문헌과 고문서의 가치에 주목해왔다. 이에 멸실되어 가는 전국 명가의 고문헌을 발굴하고 수집하여 현재까지 17만여 점을 수집하였다. 장서각에서는 이 자료를 바탕으로 『고문서집성』을 발간하여 조선시대 사대부 및 민간의 삶과 일상에 대한 실질적 사례 연구에 중요한 토대를 마련하였다. 한편, 장서각은 희귀성과 사료적 가치가 높은 유물을 발굴하는 것에 그치지 않고, 민간에서 멸실 위기에 놓인 유물을 우선적으로 보존처리하여 그 복원을 위해 힘써왔다. 뿐만 아니라 정밀한 복제본을 제작하여 기탁 문화재에 대한 현장 공백을 메우기 위해 노력해 왔다. ‘명가의 역사를 보존하다’에서는 가문의 보물이 국가의 문화적 자산으로 자리매김하는 데에 기여한 전국 명가의 유물을 장서각의 보존과학 기술로 재현하여 소개하였다. 이와 함께 명가의 유물을 수집하는 과정에 얽힌 이야기와 대표 유물을 중심으로 명가의 역사와 삶을 함께 공유하는 자리를 마련하였다.

 

지정조격
원나라 순제(順帝) 지정(至正) 6(1346)에 간행하여 반포한 원나라 최후의 법전이다. 책은 단례(斷例)와 조격(條格)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단례는 안건에 대한 결단사례(決斷事例)를 포함하는 일종의 형법전이고, 조격은 칙령격식(勅令格式)을 계승한 행정법전에 해당한다. 지정조격은 현전하는 세계 유일의 원나라 법전으로, 원과 고려의 사회상은 물론 조선 초기 법체계 구성의 특징을 규명할 핵심 자료이다. 장서각에 기탁된 후 보물로 지정되었다.
 

박세당 필적 서계유묵 

박세당(1629~1703)의 시문 및 간찰 등을 수록한 유묵첩이다. 박세당은 주자학에 대한 독자적 견해를 견지하고 실사구시의 학문 태도를 강조했던 조선 후기 문신이자 학자이다. 3첩으로 구성된 서계유묵은 대부분 문인門人인 이정신李正臣(1660~1727)에게 증여한 시문과 서간이며, 처남인 남구만南九萬(1629~1711)에게 보낸 것으로 추정되는 서간도 확인된다. 이밖에도 중국 역대 명가 글씨에 대한 박세당의 품평과 감식안이 담긴 서간, 박세당의 초상 제작과 관련한 아들 박태보朴泰輔(1654~1689)의 글도 수록되어 정치사 및 미술사적으로 중요한 자료이다.

 

정학묵 금관조복 

고종 대 문신 정학묵(1829~1903)이 착용한 조복으로, 국가적인 경사나 명절 때 축하 의식에서 입는 예복이다. 양관梁冠···중단中單·대대大帶·혁대革帶·후수後綬·패옥佩玉··로 구성되어 있으며, 사진에서 확인할 수 없지만 폐슬蔽膝도 존재한다. 정학묵은 1860(철종 11) 문과에 급제하여 당상관인 삼사의 승지와 이조참의를 지냈으며, 1902(광무 6)에는 종2품 가선대부의 품계에 올랐다. 이 조복은 운학문雲鶴紋과 금환金環으로 장식된 후수와 육량관, 상아홀, 서대犀帶 등을 갖춘 대한제국기 고위 관직자의 관복을 보여주는 귀중한 자료이다.

 

이준형 유서

독립운동가 이준형(1875~1942)194292일 자결 전에 아들 이병화李炳華(19061952)에게 남긴 유서이다. 이준형은 1911년 부친 이상룡李相龍(1858~1932)과 함께 만주로 망명하여 항일독립운동을 하였고, 1932년 부친의 서거와 일본군의 만주 침공을 계기로 귀국한 후에 집안을 재정비하고 부친의 유고遺稿를 정리하는 일에 몰두하였다. 1942년 부친의 문집인 석주유고石洲遺稿의 정리를 마쳤으나, 일제의 싱가포르 승전소식을 듣고 독립의 희망이 희박해졌다고 판단하여 자결하였다. 유서에서 그는 간단한 장례 절차, 며느리에 대한 애정, 손자에 대한 학업 등을 당부한 뒤 절명시 임절운臨絶韻을 남겼다.

 

3. 보존과학으로 거듭나다
문화재는 오랜 세월을 거치면서 자연적 또는 인위적으로 손상된 경우가 많다. 손상된 유물을 본래의 모습으로 되돌리고 안정적으로 보존하기 위해서는 전통의 기술과 현대과학이 적절히 조화를 이루어야 한다. 보존 과학은 이와 같은 필요성에 의해 우리 문화유산의 올바른 보존과 복원을 목적으로 탄생한 기술이자 학문이다. 최근에는 문화재의 관리뿐만 아니라 문화재의 손상을 예방하고 생명을 연장시키기 위한 차원에서 보존과학의 중요성이 더욱 강조되고 있다. 장서각은 고문헌의 보존과 관리를 위해, 2005년에 국학자료관리팀을 신설하였다. 그리고 2011년 장서각 신축과 함께 보존과학의 인적·물적 인프라를 확충하여, 우수한 보존 관리체계를 구축하였다. ‘보존과학으로 거듭나다’에서는 그동안 장서각이 축적해온 보존처리 역량과 실상을 확인할 수 있다. 원형의 복원과 보존, 복제로 구분하여 보존 과학의 영역과 방법을 소개하였으며, 〈이제 개국공신화상〉, 『송준길 행초 동춘당필적』, 《어진도사도감의궤병풍》 같은 사례를 중심으로 보존처리 과정에 대한 이해를 돕고 보존처리 결과물을 확인할 수 있게 하였다. 특히, 《어진도사도감의궤병풍》은 『어진도사도감의궤』의 도설에 소개된 삽화의 색채 안료를 과학적으로 분석하여 병풍으로 제작함으로써 장서각 보존과학의 역량과 성과를 집적한 결과물이다.
 
 
원형의 복원 : 이제 개국공신화상 
성주이씨 〈이제 개국공신화상〉은 2016년에 보존처리가 진행되었다. 이 초상은 1735년(영조 11) 모사본으로 바탕비단의 40% 이상이 결손되어 보존처리 작업에 어려움이 있었다. 일단 보존처리를 위해서 그림과 장황 부분을 해체하고, 클리닝 후 그림의 앞면을 임시 배접하여 뒷면의 배접지를 제거하였다. 이후 비단을 직조하여 결손 부위를 메움처리하고 새 배접지로 배접하였다. 이어서 회장비단을 두르고 장황하여 보존처리를 완료하였다.
 
원형의 보존 : 송준길 행초 동춘당필적
『송준길 행초 동춘당 필적』은 2018년에 보존 처리를 진행하였다. 균열과 마모, 얼룩과 황변화 등 유물의 손상이 심각하였으나, 유물 상태를 조사하여 보존처리 방법의 안정성을 점검한 후 안정화 처리와 건·습식 클리닝을 거쳐 유물과 가장 근접한 종이로 메움처리와 배접, 그리고 제책 과정을 통해 원형을 보존하였다.
 
원형의 복제 : 어진도사도감의궤
『어진도사도감의궤』의 복제 작업은 크게 인쇄 부분과 채색 부분으로 나뉜다. 인쇄 부분은 글씨와 그림을 디지털 촬영 후 인쇄하고, 채색 부분은 마이크로현미경·XRF 등을 활용하여 보존과학의 분석데이터를 기반으로 안료의 색을 도출해 원형에 가장 유사한 형태로 복제하였다.
 
TOP
전체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