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로 나온 책

요동과 길림 지역의 지석묘 문화와 사회

발해와 일본의 교류 책표지
지은이
오강원
발행처
한국학중앙연구원출판부
발행일
2017. 11. 20.
정 가
27,000원
쪽 수
484쪽
판 형
46배판
분 류
한국사, 고고학
ISBN
979-11-5866-183-0 93910

도서 소개

청동기시대부터 초기 철기시대까지 예맥문화권으로도 지칭되는 중국 동북 지역과 한반도에도 삼국시대의 적석총이나 적석목곽분 수준은 아니지만 이와 유사한 인상을 주는 석조물들이 세워져 있다. 지석묘가 바로 그러하다. 지석묘는 삼국시대의 적석총에 비해 규모는 훨씬 적지만 청동기시대의 무덤 가운데 유일하게 땅 위에 돌을 맞추어 세워 놓은 석조물을 갖추고 있다. 더욱이 일부 지석묘는 사방에서 바라다보이는 구릉 꼭대기 정상부에 아주 큰 규모로 우뚝 솟아 있어, 과학기술이 고도로 발달한 현대의 사람들에게도 무언가 알지 못할 경외감과 신비로움을 느끼게 할 정도이다. 예맥문화권의 넓은 지역에서 조성된 이러한 지석묘가 땅 위에 석조물을 남겨 놓은 까닭 또한 삼국시대의 왕릉을 기획하고 설계한 사람들의 의도와 크게 다르지 않다. 물론 삼국시대 왕릉은 오로지 ‘왕의 무덤’ 그 자체였는 데에 반해, 지석묘는 거대한 상석이 얹혀져 있는 것일수록 특정 수장 개인의 무덤보다는 사회구성원 전체와 연결된 기념물이자, 표지물이자, 상징물 등의 성격을 갖고 있었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그러나 그 성격이 기념물이든, 아니면 무덤이든 간에 지석묘에 삼국시대 왕릉에 작용하고 있는 의도와 유사한 맥락이 반영되어 있다. 이러한 점에서 중국 동북과 한반도 지역의 청동기시대 무덤 가운데 지석묘는 매우 독특한 의미가 있다. 이 외에도 지석묘는 청동기시대 예맥문화권에서 석관묘와 함께 가장 넓은 지역에서 묘제로 채택되어 있었다는 점에서도 주목할 만하다. 보편적인 묘제로서의 지석묘의 위상은 요동 지역과 우리나라 대부분의 지역에 지석묘가 산재하고 있을 뿐 아니라, 과거 언제인가 있었을 또는 현재까지 남아 있는 지석묘와 관련하여 파생된 ‘괸돌’, ‘너븐바위’, ‘선돌’, ‘지석리’, ‘입석리’(한국), ‘石棚’, ‘姑嫂石’(중국) 등과 같은 지명이 곳곳에 남아 있는 것에서 잘 드러난다. 이 책은 지석묘의 고고학적 의미와 중국과 한국 고대사의 연결 고리를 밝히는 중요한 자료로서 지석묘를 종합적으로 살펴보고 있다. 저자는 중국 동북 지역의 지석묘를 현지 조사하고 축적된 조사 결과를 토대로 이 책을 집필함으로써 요동과 길림 지역 지석묘군의 원형을 파악하고 그 기원과 실체를 밝히고 있다.

지은이 소개

오강원

한국고고학 전공. 강원대학교 사학과를 졸업하고,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에서 석사학위와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 인문학부 부교수로 재직중이다. 주요 논저로 『비파형동검문화와 요령 지역의 청동기문화』(2006), 『서단산문화와 길림 지역의 청동기문화』(2008), 『동아시아 청동기문화의 교류와 국가형성』(2012, 공저), 『동아시아의 철기문화와 고조선』(2013, 공저), 『삼국시대 국가의 성장과 물질문화 1, 2』(2015, 공저), 「요동~서북한지역 미송리형호의 지역문화와 사회문화적 함의」(2014), 「비파형동검을 통하여 본 기원전 8~7세기 요동 북부 지역 청동기 제작 기술과 지역간 기술 교류」(2013), 「청동기~철기시대 요령·서북한 지역 물질문화의 전개와 고조선」(2013), 「고구려 초기 적석묘의 출현과 형성 과정」(2012), 「기원전 3세기 요령 지역의 연나라 유물 공반 유적의 제 유형과 연문화와의 관계」(2011) 등이 있다.


차례

서론

1장 요동과 길림 지역의 지석묘 유적

1. 요동 북부 지역
2. 요동 남부 지역
3. 요동 동부 지역
4. 길림 중남부 지역
5. 길림 동남부 지역

2장 요동과 길림 지역 지석묘의 개념 설정과 편년

1. 요동과 길림 지역 지석묘의 개념적 범주
2. 요동과 길림 지역 지석묘 유적의 획기와 편년

3장 요동과 길림 지역 지석묘의 물질문화와 소지역권

1. 지석묘 관련 물질문화와 소지역권의 분류
2. 지석묘 관련 물질문화와 소지역권의 시공간성과 상호관계

4장 요동과 길림 지역 지석묘의 입지와 장축 방향 설정 맥락

1. 요동과 길림 지역 지석묘의 기존 입지 서술 현황과 분류안
2. 요동과 길림 지역 지석묘의 장축 방향 설정 양상과 의미

5장 요동과 길림 지역 지석묘의 배치 유형과 맥락

1. 요동과 길림 지역 지석묘의 배치 유형과 맥락
2. 주요 지석묘문화와 유적의 배치 유형과 맥락

6장 요동과 길림 지역 지석묘의 채석과 운반

1. 기존의 논의와 연구 현황 및 그에 대한 검토
2. 요동과 길림 지역 지석묘의 채석장과 석재 운반

7장 요동과 길림 지역 지석묘문화의 형성 과정과 주변 문화와의 관계

1. 지석묘문화의 기원과 형성 과정
2.요동과 길림지역 지석묘문화와 주변 문화와의 관계

결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