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로 나온 책

필화에 담긴 유교적 비판정신-정직과 충후의 딜레마

필화에 담긴 유교적 비판정신-정직과 충후의 딜레마 책표지
지은이
박병련
발행처
한국학중앙연구원출판부
발행일
2017. 8. 10
정 가
16,000원
쪽 수
254쪽
판 형
신국판
분 류
역사, 한국사, 조선, AKS인문총서
ISBN
979-11-5866-195-3 94910

도서 소개

이 책은 유교적 비판정신의 성격과 변화라는 맥락에서 <조의제문(弔義帝文)>·<정맥고풍변(正脈高風辨)>·<회퇴변척소(晦退辨斥疏)>·<신유의서(辛酉擬書)>·<백헌신도비명(白軒神道碑銘)>

을 뽑아 정치사적 읽기를 시도하였다. 당대의 평가에서 벗어나, 글을 쓴 주체와 글의 대상, 그리고 글에 등장하는 인물들의 사상을 ‘유교적 비판정신의 성격과 변화'라는 객관적 평가 위에 올려놓고 살펴보았다. 여기에 실린 글들은 잘 알려져 있으나 그 내용 자체에는 그렇게 관심을 집중하지 못한 글로 사상이나 학술을 표현하는 글에 정치세력이 결부되어 권력투쟁으로까지 비화되는데 영향을 미쳤다. 글을 쓴 주체와 글의 대상, 또는 글에 등장하는 인물들은 김종직(金宗直)·정인홍(鄭仁弘)·정구(鄭逑)·이언적(李彦迪)·이황(李滉)·조식(曺植)·이경석(李景奭)·송시열(宋時烈)·윤선거(尹宣擧)·윤증(尹拯)·박세당(朴世堂) 등 당대의 유종(儒宗)이거나 대정치가 아니면 사상가였다. 특정 인물이나 사안과 관련하여 이들 간에 얽힌 복잡한 비판의식이 깊이 깔려있고, 이 글들을 본격적으로 다루는 것은 현대에서도 부담으로 작용한다. 왜냐하면 문중이 한국사회를 구성하는 사회적 단위로 기능하는 한은 언제든지 현재적 문제로 비화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이 책에 소개된 5개의 글은 시대와 형식은 다르지만 내용을 관통하는 하나의 화두가 있다. 즉, 인간이 기본적으로 수행하고 있는 사고의 두 가지 양태를 개념화한 것이다. 성리학적 구도에 적용하면, 이념적 사고는 리(理)나 본심(本心), 의(義)와 통하고, 상황적 사고는 기(氣)나 사심(私心=私欲), 이(利)와 통한다는 것이다. 이를 통해 우리는 글을 둘러싼 인물들의 정치적 또는 역사적 부침(浮沈)이나 호오(好惡)라는 결과적 평가를 떠나 글 자체의 사상사적 의미를 볼 수 있다.

지은이 소개

박병련: 한국관료제도사·한국정치사상사 전공,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 사회과학부 교수. 밀양 농은재(農隱齋)와 김해 월봉서당(月峰書堂)에서 한문을 공부하고 부산대학교 사범대학을 졸업한 후 서울대학교 행정학과에서 행정학 석사학위와 박사학위를 받았다. 한국행정학회 이사, 동아인문학회 이사, 조선시대사학회 회원, 한국학중앙연구원 대학원장과 부원장 등을 지냈다. 주요 논저로 「한강학의 회통적 성격」(2015), 「남명학의 현대적 의의-실천성의 확보」(2015), 「조선조 유교관료제의 준거와 기본설계의 특징」(2012), 『세종 리더십의 핵심가치』(공저, 2014), 『세종 리더십의 형성과 전개』(공저, 2009), 『용산서원』(공저, 2005), 『남명학파와 영남우도의 사림』(공저, 2004) 등이 있다.

차례

유교적 비판정신의 형성과 변화 _ ‘이념적 사고’와 ‘상황적 사고’의 괴리

조의제문弔義帝文 _ 충절은 시공을 꿰뚫으니

1. 정치적 맥락과 논점

2. <조의제문> 창작 의도 재검토

3. 김종직의 유교적 비판정신

4. 원문과 번역

정맥고풍변正脈高風辨 _ 나아가고 물러나는 도리는 같다

1. <정맥고풍변>의 역사

2. <정맥고풍변>의 논리와 사상

3. 유교적 비판정신의 성격 변화

4. 원문과 번역

회퇴변척소晦退辨斥疏 _ 큰 선비에게는 작은 과오도 큰 흠이라

1. 정인홍의 이황 비판의 요점과 의의

2. 봉성군 이완 사건

3. 정직과 충후의 모순

4. 원문과 번역

신유의서辛酉擬書 _ 왕패병용·의리쌍행을 그만두소서

1. <신유의서>의 배경과 전말–강도지사와 윤휴 문제

2. <신유의서>의 의미와 내용

3. 원문과 번역

영의정백헌이공신도비명領議政白軒李公神道碑銘 _ 봉황과 올빼미는 본성이 다르다네

1. 박세당의 가계와 핵심사상

2. 송시열의 이경석 비판 사건

3. <백헌신도비명>에 나타난 박세당의 역사인식

4. <백헌신도비명>의 분석

5. 원문과 번역

유교적 비판정신의 교훈 _ 정직과 충후 사이의 중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