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학 진흥 및 민족문화 창달
한국학 세계화를 선도하는 KS(Korean Studies) Standard
경영 혁신을 통한 기관 미션 달성
ESG 추진 기반 고도화
미래대응 기반 강화
전략방향 | 전략과제 | 실행과제 |
---|---|---|
한국학 연구·교육 리더십 확보 | 1. 한국학 연구 리더십 확보 | 한국학 연구전략 기획 역량 강화 |
연구과제 관리체계 고도화 | ||
한국학 지식 보급 및 소통 강화 | ||
2. 연구자 중심 연구환경 조성 | 연구사업 빅데이터 구축 | |
한국학 연구모델 정립 | ||
협력 기반 한국학 연구 활성화 | ||
3. 글로벌 교육 경쟁력 확보 | 우수 인재 유치 전략 고도화 | |
한국학 교육성과 글로벌 확산 | ||
미래형 교육환경 선도 | ||
한국학 수요 체감 및 대중화 | 4. 기록문화유산 관리체계 고도화 | 기록문화유산 조사 관리 고도화 |
기록문화유산 활용기반 확충 | ||
디지털 기반 기록문화유산 관리 강화 | ||
5. 한국학 지식공유 및 성과 창출 | 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 서비스 강화 |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활용가치 증대 | ||
한국학 정보 관리 최적화 및 서비스 고도화 | ||
6. 글로벌 확산 성과 창출 | 한국학진흥사업 성과 확산 | |
한국문화교류사업을 통한 글로벌 네트워크 리더십 확보 | ||
한국바로알리기사업 성과 창출 | ||
성과·효율 기반 혁신경영 | 7. 경영혁신을 통한 기관미션 달성 | 업무혁신을 통한 지속적인 시스템 정비 |
성과관리체계 고도화 | ||
소통·협력 기반 경영관리체계 고도화 | ||
8. ESG 추진 기반 고도화 | 환경 친화적 경영체계 고도화 | |
사회적 책임 이행기반 강화 | ||
경영 거버넌스 내재화 | ||
9. 미래대응 기반 강화 | 조직 및 인력 관리기반 고도화 | |
경영관리 투명성 제고 | ||
참여·개방형 일하는 방식 내재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