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버스토리
2025년 한국학대학원 후기 학위 수여
  - 석사과정 26명, 박사과정 13명 졸업 -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이하 대학원)은 2025년 8월 22일(금) 2025년도 후기 학위수여식을 거행하였다. 이번 학위수여식에서는 김낙년 원장 및 김주성 이사장, 김원중·이상훈 이사, 정치영 부원장, 구난희 대학원장을 비롯해 학위수여자들의 지도교수와 가족, 지인들이 참석해 수여자들의 졸업을 축하해주었다. 이번 학위 수여로 석사과정 26명, 박사과정 13명 등 총 39명의 한국학자가 배출되었는데, 국내 학생을 비롯해 슬로베니아, 핀란드, 남아프리카공화국, 스페인, 헝가리 등 다양한 국적의 외국인 학생들이 학위를 받았다.

   김낙년 원장은 졸업자들의 학위 취득을 축하하며, 열정과 전문성, 겸손한 태도를 키워드로 세 가지 당부의 말을 전했다.
   첫째, 목표를 향한 열정을 잃지 말고 자신만의 전문적인 역량을 키우는 것이 필요하다. 전문성을 가지고 있다는 것은 자기가 하는 일이 다른 사람에 의해 쉽게 대체할 수 없는 것을 말하는데, 그래야 스스로 자긍심을 가질 수 있고, 또 자신이 사회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보람을 느낄 수 있다고 하였다. 그 길이 때로는 고되고 예기치 못한 어려움을 수반한다 하더라도, 목표를 향한 탐구와 실천을 멈추지 말 것을 당부하였다.
   둘째, 쌓은 전문성을 바탕으로 새로운 시대가 열어주는 기회를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일이다. 인공지능을 비롯한 혁신적 변화는 기존의 울타리를 넘어 더 넓은 활동의 장을 열어 주고 있으므로, 이미 익숙한 기존의 틀 속에 머물지 말고, 상상력을 발휘하여 새로운 가치를 창출해야 한다고 하였다.
   셋째, 겸손한 태도로 사람들과 더불어 살아가는 일이다. 큰 성취는 한 사람의 재능만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고 서로의 강점을 잇고 지혜를 모을 때 탄생하며, 의견이 다를 때일수록 사실과 논리에 근거하여 토론하고, 상대의 주장을 끝까지 경청하는 태도를 잃지 말 것을 당부하였다.


   한편 김주성 이사장은 축사에서 진리는 늘 새롭게 추구되어야 하는 것으로서, 일류 지성이 되려면 설득력 있고 적실성 있는 명제들을 발굴해야 하며, 그 명제들의 논리적 결과를 토대로 새로운 진리를 주장해야 한다고 하였다. 또한 한국학의 세계화 추진 과정에서 중국, 대만, 일본과 겪게 될 경쟁을 설명하며, 연구역량으로 승부를 걸 수밖에 없는 한국학중앙연구원이 한국학의 세계화를 향해 힘찬 발걸음을 이어갈 수 있도록 힘을 모으자고 당부하였다.
[2025년 후기 학위취득자 명단]
◎ 박사학위: 13명(문학박사 11명, 교육학박사 2명)
◦ 문학박사 : 13명
성명 |
국적 |
전공 |
논문제목 |
지도교수 |
이민식 | 대한민국 | 한국사학/고고학 | 정조대 書風 변화와 書體反正 | 권오영 |
이종록 | 대한민국 | 한국사학 | 조선후기 湖論 학맥의 양상과 학풍 전승 | 권오영 |
우정 | 대한민국 | 한국사학 | 조선후기 尊號儀禮 정비과정과 시행양상 | 심재우 |
김동일 | 대한민국 | 한국사학 | 18세기 조선의 지방통치론과 부세운영 | 김학수 |
한태빈 | 대한민국 | 한국사학 | 영·정조대 문관 인사정책의 양상과 변화 - 『정사책(政事冊)』을 중심으로 - |
권오영 |
이수진 | 대한민국 | 국어학/국문학 | <숙영낭자전>의 현대적 수용 연구 | 임치균 |
장인종 | 대한민국 | 음악학 | 근대적 합리성과 20세기 이후 국악이론 | 김인숙 |
이지예 | 대한민국 | 음악학 | 20세기 통속민요 오선기보의 변천 연구 | 김인숙 |
이은솔 | 대한민국 | 음악학 | 조선 초기 왕실 음악의 조성과 구축 - 태조·태종을 중심으로 - |
이정희 |
신민규 | 대한민국 | 미술사학 | 조선시대 功臣畵像 연구 | 박정혜 |
김지선 | 대한민국 | 인문정보학·인문지리학 | 데이터로 읽는 근대 백화점 : 1930년대 종로 화신백화점 데이터 큐레이션 연구 | 김 현 |
◦ 교육학박사: 2명
성명 |
국적 |
전공 |
논문제목 |
지도교수 |
서드넘잠츠 |
몽골 |
교육학 |
한국과 몽골 초등학교 도덕과 교과서 비교 연구 |
이상무 |
주영 |
중국 |
교육학 |
조선시대 지방 특별과시 연구 |
이상무 |
◎ 석사학위: 26명(문학석사 24명, 한국학석사 2명)
◦ 문학석사 : 24명
성명 |
국적 |
전공 |
논문제목 |
지도교수 |
풍 린 짱 | 베트남 | 한국사학 | 渤海와 大瞿越의 外王內帝 양상과 특징 | 구난희 |
비르츠니크 김 루찌야 |
슬로베니아 | 한국사학 | 고려시대 성수(星宿) 신앙의 양상과 그 정치적 의미 -노인성(老人星) 및 구요(九曜)·십일요(十一曜)를 중심으로- |
이강한 |
유미선 | 대한민국 | 한국사학 | 조선전기 사헌부 감찰의 역할 변화와 그 의미 | 심재우 |
이옥해 | 대한민국 | 한국사학 | 姜世靖 가문의 學風과 斥邪 인식 | 심재우 |
이동엽 | 대한민국 | 고문헌관리학 | 김육의 『海東名臣錄』 연구 | 옥영정 |
시니 래이해 |
핀란드 | 국어학·국문학 (국어학) |
화·청자 관계에 따른 담화표지 사용 양상 연구 -드라마 속 직장 내에서의 상하·친소 관계를 중심으로- |
이정란 |
나기 | 중국 | 국어학·국문학 (국어학) |
『현대신어석의』(1922)에 나타난 근대 신어 한자어의 의미 변화 연구 |
안예리 |
팜 보 쟈 헌 | 베트남 | 국어학·국문학 (국어학) |
상태 변화 다의동사의 의미 확장 - 액체·기체·고체의 상태 변화를 중심으로 - |
안예리 |
나예지 | 대한민국 | 국어학·국문학 (국어학) |
<고씨효절록> 연구 - 인물 유형과 갈등을 중심으로 - |
임치균 |
척트게렐 다르항셀렝게 |
몽골 | 국어학·국문학 (국어학) |
원나라 배경 고전소설 연구 | 임치균 |
황교범 | 대한민국 | 인류학·민속학(민속학) | 잡지 『여원』을 통해서 본 1950~60년대 한국 여성 의생활의 양장화 양상 | 이대화 |
조현아 | 대한민국 | 종교학 | 18세기 말 해도진인설의 변이 양상 연구 -강이천 사건을 중심으로- |
한승훈 |
정유림 | 대한민국 | 미술사학 | 조선 후기 김룡사 고승진영 연구 | 이용윤 |
김승민 | 대한민국 | 미술사학 | 일본 外交僧과 조선 후기 대일 회화 전래 | 박정혜 |
유희정 | 대한민국 | 미술사학 | 18세기 湖南 畵僧 丕賢과 丕賢畵派 | 이용윤 |
하영주 | 대한민국 | 미술사학 | 조선 후기 義禁府 契會圖 연구 | 박정혜 |
유엉 티 탄 냔 | 베트남 | 인문정보학·인문지리학(인문지리학) | 서울 지역 베트남인의 거주지 선택에 관한 연구 | 김현종 |
포프 카일 | 남아프리카공화국 | 정치학 | Gender Polarization among South Korean University Students: An Analysis of Ideological Differences | 이완범 |
채민화 | 타이완 | 사회학 | 장쑤성(江蘇省) 쿤산시(崑山市) 대만인의 사회적 분리 연구 | 김철식 |
김현주 | 대한민국 | 교육학 | 지방교육자치제 도입과정 고찰 - 1948-1958년을 중심으로 - |
박대권 |
앤 마가렛 앰퍼 | 필리핀 | 한국문화학 | Framing Queerness as Foreign: Audience Reception of Queer Subjects in South Korean Licensed Productions of Musical RENT | 우정연 |
리디아 아길레라 가르시아 | 스페인 | 한국문화학 | Media Representation of Mental Illness :An Analytical Study of Depictions in Mental Health-Themed Korean Dramas |
소원현 |
마르코 신티어 | 헝가리 | 한국문화학 | Hallyu's influence on European expatriates' beauty standards in South Korea | 우정연 |
올가 바바라 밀얀즈 | 폴란드 | 한국문화학 | Literary Translation of Kim Minseo's Yului Siseon with Critical Introduction and Annotations | 신정수 |
◦ 한국학석사 : 2명
성명 |
국적 |
전공 |
논문제목 |
지도교수 |
그라코바 율리아 |
러시아 | 한국문화학 | Narrative Shift in the 'Comfort Women' Issue: A Newspaper-Based Study of Public Discourse in South Korea | 조원희 |
캐리 앤 플로쓰 | 미국 | 한국문화학 | The Perceptions and Presentations of Hanji as a Cultural Item |
신정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