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중연소식
1) 한국학도서관, ‘우리책의 장정과 장정가들’ 전시 개최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도서관은 완주 책박물관과 함께 근현대 미술사 거장들의 책 장정 90여 점을 선보이는 <우리책의 장정과 장정가들> 전시를 한국학도서관 1층 로비에서 개최하고 있다.
   이번 전시는 근현대 인쇄 미술사에 한 획을 그은 국내 유명 화가들의 화풍과 예술성을 엿볼 수 있는 자리로 1883년 국내 신식 인쇄술이 도입된 이래 1960년대까지 간행된 책들의 장정을 두루 살펴봄으로써 우리 인쇄·출판 표지 장정의 지난 70여 년간의 변천 과정을 한눈에 볼 수 있다.

   전문 북디자이너가 활동하는 요즘과 달리 서양화가, 동양화가, 문인화가들이 책 표지를 만든 것은 미술가들의 또 다른 활동과 업적을 보여준다. 특히 이중섭 화가가 표지를 장정한 장편동화 『모래알고금』(1958년)과, 한국 4대 여류 화가 중 하나인 천경자 화가, 추상미술의 선구자 김환기 화가, 장욱진 화가 등의 책 장정이 인상적이다.
   아울러 11월 23일(목)에는 전시와 연계하여 완주 책박물관 박대헌 관장을 모시고 ‘책 수집 이야기’라는 주제의 초청 강연을 진행하며 전시에 대한 방문자들의 이해의 폭을 넓혔다.
◦ 전시기간: 2023. 11. 06.(월) ~ 2024. 02. 23.(금)
◦ 전시장소: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도서관 로비 1층
◦ 운영요일: 월~금 10:00 ~ 17:30(주말 및 국가 지정 공휴일은 휴관)
◦ 전 시 품: 이도영 장정『구마검』과 구본웅 장정『현해탄』 등 90여종
※ 단체관람·전시해설(5인 이상): 사전예약제(031-779-2729, 평일 10시~16시)
2)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발간 도서 3종, 2023년 세종도서 학술부문 선정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발간 도서 3종이 2023년 세종도서 학술부문에 선정되었다.
   한국출판문화산업진흥원은 기초학문 연구를 장려하기 위하여 매년 세종도서 학술부문 선정사업을 추진하는데, 올해는 2,900여 종의 도서 중 390종이 선정되고, 선정 도서는 전국 도서관에 보급할 예정이다.


   ○ 한국 사회의 다중언어 의사소통(이정란·지현숙·백승주·황선영 지음)
=> 도서 세부정보 페이지 바로가기
   ○ 역주 해동악부(신익철·조융희·이강한 역주)    => 도서 세부정보 페이지 바로가기
   ○ 숙종과 그의 시대(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지음)    => 도서 세부정보 페이지 바로가기
3) 2023년 장서각 열린강의실 개강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왕실문헌연구실에서는 장서각 소장 자료에 대한 사회의 큰 관심에 부응하고, 한국학과 한국문화에 대한 대중의 이해도 증진시키고자 2023년 장서각 열린강의실을 온라인으로 진행하고 있다.
   금년 장서각 열린강의실에서는 올 한해 많은 사랑을 받았던 장서각 열린수장고의 대표 5강좌를 온라인 동영상으로 제작, 장서각 소장 자료에 대한 전문연구자의 수준 높은 강연을 수강 신청자들에게 온라인으로 제공할 예정이다.

◦ 수강신청인원: 240명
◦ 수강기간: 2023년 11월 27일(월) ~ 2023년 12월 29일(금)
◦ 수강방법: 수강신청 시 작성한 이메일로 장서각 유튜브 동영상 강연 URL 전송
→ 수강기간 이내에 동영상 강좌를 자유롭게 수강.(수강신청자에 한함)
◦ 강연내용
순서 | 강사 | 주제 |
---|---|---|
1강 | 옥영정(한국학중앙연구원 교수) | 장서각본『백운화상초록불조직지심체요절』의 인쇄사적 특징과 가치 |
2강 | 이강한(한국학중앙연구원 교수) | 『지정조격』, 고려가 마주한 제국의 법제 |
3강 | 조융희(한국학중앙연구원 교수) | 『병후만록』, 최규서가 기억하는 서인의 모습 |
4강 | 신정수(한국학중앙연구원 부교수) | 장서각 소장 왕실 비지문 탁본과 『열성지장통기』 |
5강 | 김우진(장서각 정연구원) | 영조의 단경왕후 왕비 만들기 프로젝트 |
4) 2023년도 제8차 <해외한국학 콜로키움> 개최
   한국학중앙연구원 국제교류처 해외한국학지원실은 2023년 11월 22일(수) 문형관 대회의실에서 제179회 해외한국학 콜로키움을 개최했다.
   이번 콜로키움은 2023년도 본원 펠로십 수혜자인 이영임 교수(California State University, Sacramento)의 방한 연구 결과물을 발표하는 자리였다.
   이번 콜로키움들에는 많은 연구자 및 대학원생들이 참석해 다양한 의견을 공유하는 시간을 가졌다. 국제교류처 해외한국학지원실은 앞으로도 국내외 연구자들이 소통하는 자리를 지속적으로 마련할 예정이다.
5) 2023년 한국학중앙연구원 펠로십 11월 연구 개시
   한국학중앙연구원 국제교류처 해외한국학지원실에서는 매년 '한국학중앙연구원 펠로십'을 통해 한국에서 한국학 관련 연구를 수행하고자 하는 해외 연구자를 초청·지원해 해외 한국학 저변 확대를 도모하고 있다.
   2023년에는 총 13명의 펠로우를 선정했으며 11월부터 펠로십 연구를 개시한 해외 연구자는 다음과 같다.
▣ Iris Kim
  - 소속 및 직위: 미국 Columbia University 박사과정 수료자
  - 연구 기간: 2023. 11. 1. ~ 2023. 12. 31.(2개월)
  - 연구 주제: Remapping “Separated Families”: Aesthetics of Separation in Cold War Divided Korea and Japan from 1945 to 1990s
  - 연구 내용: 한반도의 분단과 상봉을 중심으로 진행돼 온 기존 이산가족 연구와 달리 본 연구는 한국, 일본, 북한 간 동향과 1945년-1970년대 사이의 이산가족 현상을 문학 및 다양한 매체를 통해 살펴본다. 또한 이러한 매체들을 통해 드러난 세 국가 간의 흩어진 가족관계를 분석함으로써 동아시아 지역의 분단된 현실을 재구성하고자 한다.
  - 연구 결과 발표: 2023. 12. 예정
6) 2024년도 한국바로알리기 교육 콘텐츠 개발 및 활동 지원 사업 공모 안내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바로알리기사업실에서는 해외에 거주하는 초·중·고등학교 교육 및 교과서 관련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한국바로알리기 교육 콘텐츠 개발 및 활동' 프로젝트를 공모합니다.

  1. 지원대상: 해외에 거주하는 초·중·고등학교 교육 및 교과서 관련 전문가
  2. 지원분야: 한국바로알리기 교육 콘텐츠 개발, 한국바로알리기 활동
  3. 지원금액: 프로젝트당 최대 5,000만원
(각 프로젝트의 성격에 따라 지원금액 변동 가능)
  4. 수행기간: 2024년 3월 1일 ~ 2025년 2월 8일 (1년) [예정]
  5. 신청기간: 2023년 11월 1일 ~ 12월 15일
  6. 결과발표: 2024년 2월 16일, 홈페이지 및 이메일을 통해 공지 [예정]
  7. 신청방법: 한국학중앙연구원 홈페이지를 통한 온라인 접수
(https://www.aks.ac.kr)
  8. 문의: 한국바로알리기사업실(aks_project@aks.ac.kr)
7) 한국학 대중화를 위한 AKS 방문프로그램 실시
   한국학중앙연구원은 기관에 집적된 한국학 연구·교육 역량을 사회에 환원한다는 목표 아래 한국학 보급·확대 및 대중화에 적극 노력하고 있다. 그 일환으로 연구원을 방문하는 개인·단체의 특성 및 수요를 고려한 맞춤형 방문프로그램을 운영 중에 있으며, 초·중등학교 및 국내외 유관 기관·단체의 기관 방문이 날로 증가하고 있다.

   2023년 11월에는 한국외국어대학교 한국학과 학부생, 성남교육지원청 임직원, 분당세무서 임직원 등 다양한 그룹이 한국학중앙연구원을 방문했다. 특히 한국학에 많은 관심을 가진 한국외국어대학 한국학과 학생들은 본원의 연구성과에 대한 설명을 듣고 전시를 관람했으며, 특히 한국학대학원 진학에 대한 다양한 정보와 의견을 공유하였다. 성남교육지원청 방문단에서는 장서각 특별전 및 한국학도서관 전시를 관람하고, 본원의 다양한 연구사업 성과를 지역 내 중고등학교 교사 및 학생들에게 제공하거나 활용케 할 방안을 모색하였다.
   한국학중앙연구원은 앞으로도 방문자 그룹의 성격 및 방문 목적에 부합하는 프로그램을 진행해 나갈 예정이다.
8) 한국학중앙연구원, 환경교육 및 환경실천 캠페인 실시

   한국학중앙연구원 기획처 혁신홍보팀은 교직원 환경인식 향상을 위해 2023년 11월 24일(금) 연구원 강당에서 환경교육 및 환경실천 캠페인을 실시했다. 이번 교육의 주제는 “공공기관 ESG 경영실천 사례”로, 환경인식 변화의 중요성에 대한 교직원들의 공감대 마련을 위한 자리였다. 교육과 연계한 환경 캠페인도 열렸는데, ESG 경영 활동의 일환으로 환경 실천 다짐 및 자원순환 중요성을 확산하고자, 폐플라스틱을 활용한 업사이클링 제품을 교직원들에게 제공하였다.
   한국학중앙연구원 기획처 혁신홍보팀은 환경실천 확대를 위해 환경지킴 등 지속적인 활동을 계획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