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버스토리

2023년 한국학대학원 후기 학위 수여

  - 석사과정 15명, 박사과정 14명 졸업 -

  한국학대학원(이하 대학원)은 2023년 8월 22일(화)에 2023년 후기 학위수여식을 거행했다.
  이번 학위수여식에서는 안병우 원장, 임치균 부원장, 신익철 대학원장 등이 참석한 가운데 총 29명(석사과정 15명, 박사과정 14명)의 한국학자가 배출되었으며, 국내 학생을 비롯하여 중국, 에티오피아, 인도, 인도네시아, 튀르키예 등 다양한 국적의 외국인 학생들이 학위를 수여받았다.


학위수여식 학위수여식 현장사진

  안병우 원장은 졸업생들에게 세 가지 당부의 말을 전했다.
사진    첫 번째는 배움과 익힘, 그리고 기쁨에 관해서다. 학자는 평생 배움을 이어가야 하지만, 졸업생들은 지금까지와는 달리 후학들에게 배움도 전달해야 하므로 무거운 책임감을 가지고 더욱 배움에 정진하길 바란다고 하였다.
   두 번째는 한국학의 정체성에 관해서다. 한국학은 세계 학문의 일부이므로 다양한 관점에서 연구되고 경직된 틀 안에 갇히지 않도록 스스로 점검하고 노력하여야 하며, 한국학은 인문·사회과학을 포함하여 종합적으로 연구할 대상이라고 했다.
   세 번째는 학문 연구 심화 및 세계 동향 파악에 관한 것이다. 빠르게 변화하는 현실 속에서 사람과 사회 모순, 국제정세 등 현실에 대한 정확한 인식을 갖고 연구의 방향을 찾으면 좋은 성과를 낼 수 있을 것이라고 하였다.


아울러 졸업생 모두가 끊임없이 노력하여 세계적 학자, 훌륭한 인품을 갖춘 지성인이 되기를 바라면서, 주변인들 또한 졸업생들을 꾸준히 성원하고 지도해주길 바란다고 축원하였다.

학위수여식

2023년 후기 학위취득자 명단

◎ 박사학위: 14명(문학박사 11명, 정치학박사 1명, 교육학박사 1명, 한국학박사 1명)

  ◦ 문학박사 : 11명

성명

국적

전공

논문제목

지도교수

김충현

대한민국

한국사학

조선후기 陵官制와 王陵 운영

권오영

만진초

중국

한국사학

조선후기 大丘徐氏의 정치활동과 학풍

권오영

김민현

대한민국

고문헌관리학

조선에서 간행된 宋鑑과 續綱目의 서지학적 연구

옥영정

박철민

대한민국

고문헌관리학

朝鮮時代 司譯院 漢學書의 유형과 서지적 특징
-한글 표기 문헌을 중심으로-

옥영정

어라싸 씻티촛-아난

태국

국어학

현대 한국어의 불완전 용언에 대한 연구

황문환

박꽃새미

대한민국

국어학

『復文錄』과 19세기 대마도 조선어 통사의 한국어 학습 연구

황문환

원흔

중국

국어학

소설어록해의 어휘 연구

안예리

최옥란

중국

국문학

손창섭 장편소설의 몸 연구

서승희

정재윤

대한민국

국문학

<華山仙界錄> 硏究

임치균

이민재

대한민국

민속학

1890~1961년 쌀 가공∙소비 관행의 변화
: 상품조선미에서 '백미'로

주영하

김영욱

대한민국

미술사학

조선 후기 故事畵 연구

박정혜

  ◦ 정치학박사: 1명

성명

국적

전공

논문제목

지도교수

데레제 테시홈 브루

에티오피아

정치학

한국과 에티오피아의 정치 갈등에 대한 연구

이완범

  ◦ 교육학박사: 1명

성명

국적

전공

논문제목

지도교수

조성애

대한민국

교육학

『맹자』 호연지기론의 교육학적 해석
-조선 학자들의 공부론을 중심으로-

정순우

  ◦ 한국학박사: 1명

성명

국적

전공

논문제목

지도교수

네하 꾸마리

인도

정치학

2000년대 이후 한국과 인도의 의회 여성할당제 연구

이완범


◎ 석사학위: 15명(문학석사 13명, 한국학석사 2명)

  ◦ 문학석사 : 13명

성명

국적

전공

논문제목

지도교수

김민경 대한민국 한국사학 일제하 임부득의 사회주의 수용과 조직 활동 장신
최준파 중국 한국사학 만주국 치안관계 법령과 조선독립운동 장신
김나라 대한민국 고문헌관리학 조선 후기 忠州 麻沙 丹陽禹氏 山訟文書 연구 박성호
홍원태 대한민국 고문헌관리학 현대 출판 관점에서 본 『천자문』의 서지적 특성과 가치 옥영정
꿀비르 까우르 인도 국문학 1950년대 손소희 단편소설에 나타난 여성의 현실 연구 서승희
황하연 대한민국 인류학
(국문학)
'건강해 보이는' 몸의 전시: 바디 프로필에 관한 연구 조일동
박혜민 대한민국 민속학 분식장려운동과 밀가루 음식 소비경험
: 1960-80년대 대구∙경북 지역의 사례
주영하
진난난 중국 민속학 제주도 메밀마을의 특화과정과 마을 변화에 관한 연구
: 제주시 와흘리와 서귀포시 광평리의 사례
주영하
최수길 대한민국 민속학 북한이탈주민의 기억을 통해서 본 북한의 명절 쇠기 주영하
하현주 대한민국 음악학 박(拍) 연주 문화 연구
-통일신라부터 조선전기까지-
이정희
관봉매 중국 인문지리학 한국과 중국 농촌의 6차산업 발전 양상 연구
- 한국 보성군과 중국 우저우시의 차 재배지를 중심으로
정치영
욜란다 노르마구삐따 인도네시아 사회학 연애 리얼리티 프로그램의 유행과 수용 서호철
응웬 탄 후옌 베트남 사회학 이주자의 종교생활과 사회통합
: 재한 베트남 불교사원 원오사를 중심으로
서호철

  ◦ 한국학석사 : 2명

성명

국적

전공

논문제목

지도교수

서이정

타이완

교육학

한국과 대만의 국가수준 대학 입학시험 영어 영역 비교 연구

박대권

하티제 유즈바시오울루

튀르키예

교육학

한국과 튀르키예 전래동화에 나타난 상과 벌 비교

이상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