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학 포럼

아카이브와 식민주의 연구

김순주사진
김순주
한국학사전편찬부 백과사전편찬실 선임연구원

필자는 2014년 서울대학교 중앙도서관의 학술연구사업 <경성제대 컬렉션 및 근대 기록문화재 보존관리 사업>에 참여한 적이 있다. ‘경성제대 컬렉션’은 경성제국대학 부속도서관(京城帝國大學 附屬圖書館)이 수집한 자료군으로, 현재 서울대학교 중앙도서관 고문헌실에 소장되어 있다. 1926년에 설립된 경성제대는 일본이 설립한 9곳의 제국대학 중 하나로, 중앙도서관인 부속도서관은 대학 설립과 거의 동시에 설치되었다.


경성제대 부속도서관은 식민지 조선에 설립된 도서관 중 장서 보유량이 가장 많은 도서관이었다. 1937년 3월을 기준으로 부속도서관은 449,833건의 장서를 보유하였는데, 이는 같은 시기에 199,032건을 보유한 조선총독부도서관이나 145,727건을 보유한 철도도서관(구 만철경성도서관), 그리고 다른 부립 및 사립전문학교 도서관보다 압도적으로 많은 양이었다. 또 일본 국내 및 일본의 식민지 전체에서 보더라도 교토제대(京都帝大) 부속도서관, 도쿄제대(東京帝大) 부속도서관, 제국도서관, 규슈제대(九州帝大) 부속도서관에 이어 장서 수가 다섯 번째로 많았다.1)


도서관명

설립연도

성격

장서수

총 열람인원(1)

京都帝國大學 附屬圖書館

1899

제대 부설

1,138,878

25,262

東京帝國大學 附屬圖書館

1892

제대 부설

1,038,414

993,561

帝國圖書館

1872

관립

847,676

436,700

九州帝國大學 附屬圖書館

1925

제대 부설

566,542

32,514

京城帝國大學 附屬圖書館

1926

제대 부설

449,833

30,104

일본 국내 및 식민지 주요 도서관의 장서 보유량(1937.3월 현재)2)


필자가 참여한 연구팀은 경성제대 부속도서관 컬렉션 중 일부 분야(군사, 식민, 산업ㆍ수산업, 지지, 인류학ㆍ인종학, 종교, 윤리학, 구비전승, 교육)를 선별하여 장서를 세부적으로 분류하고 주제 분석을 시도하여 부속도서관 컬렉션의 성격과 자료 활용성을 탐색하였다. 자료 접근과 분석을 진행하면서 이 컬렉션에 수록된 장서를 통해 일본 식민주의의 성격을 이론화하고 식민지 간 비교연구를 시도할 필요가 있다는 생각이 들었다. 당대에 일본이 아시아와 식민지를 대상으로 양산한 자료, 각 식민통치 지역에서 생산한 자료, 나아가 당대 서양에서 입수하고 번역한 방대한 자료들이 제국대학의 도서관을 통해 일본 식민주의의 통치 메커니즘을 구성하고 구현하였다. 또 근래 몇 십 년 동안 식민주의 연구는 크게 확장되었지만, 식민지 조선을 훨씬 더 넓은 틀에서 파악하는 시도는 여전히 필요하다. 앞으로 이 아카이브가 식민주의 연구의 또 다른 패러다임을 만드는 데 적극적으로 활용될 수 있기를 바란다.



1)진필수, 「도서목록과 도서원부」, 진필수 엮음, 『경성제국대학 부속도서관 장서의 성격과 활용-식민주의와 총동원체제』, 2017, 15~21쪽.
2)天野敬太郞ㆍ森淸 共編, 『圖書館總覽: 昭和十三年版』, 靑年圖書館員聯盟, 1938, 42-129; 진필수, 「도서목록과 도서원부」, 진필수 엮음, 『경성제국대학 부속도서관 장서의 성격과 활용-식민주의와 총동원체제』, 2017, 20쪽에서 재인용함.

sjkimaks@aks.ac.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