되살리는 기록유산

장서각소장 중국본의 초지용 발의 특성

신이나 사진
신이나
장서각 자료보존관리팀

장서각에는 13세기부터 20세기까지 간행된 중국판 고서가 소장되어 있다. 1974년에 정리된 『장서각도서 중국판총목록』에 기재된 지종은 크게 죽지(竹紙), 면지(綿紙), 당지(唐紙), 저지(楮紙), 양지(洋紙)가 있었으며 화선지(畵宣紙), 광선지(光仙紙), 장지(壯紙)가 1책 씩 있었다. 간행년도가 밝혀진 책 가운데 13세기부터 20세기까지 한 세기를 초기(01-30년), 중기(31-70년), 후기(71-00년)로 나누어 지종별로 1책 씩 선정하여 총 48책을 조사대상으로 하였다.

대상의 표기는 간행년도와 지종 순서로 1815B는 1815년 간행되었으며 B는 지종이 죽지(Bamboo paper)라는 의미로 표기하였다. 면지는 C(Cotton paper), 당지는 G(Grass paper), 저지는 M(Mulberry paper), 양지는 W(Wood paper)로 표기했다.

다음의 표는 초지용 발 측정에 사용한 중국판 고서를 지종별로 정리했다.


표 1. 죽지고서 목록

No. ID 서명 크기(L×W, cm)

1

1376B

천암화상어록 (千巖和尙語錄)

26.4×17.4

2

1415B

성리대전서(性理大全書)

26.1×16.9

3

1451B

수심문집(水心文集)

26.8×17.2

4

1560B

황명명신언행록(皇明名臣言行錄)

25.8×16.2

5

1590B

이두시(李杜詩)

24.3×15.7

6

1614B

신증세문운부군옥(新增說文韻府群玉)

23.1×15.1

7

1642B

책부원구(冊府元龜)

23.7×15.4

8

1689B

산해경석의(山海經釋義)

25.5×16.0

9

1710B

연감류함(淵鑑類函)

23.4×15.0

10

1751B

통속편(通俗編)

24.0×14.8

11

1775B

모시주소(毛詩註疏)

23.8×15.5

12

1815B

평진관총서(平津관叢書)

25.0×15.1

13

1864B

팽문경공집(彭文敬公集)

25.1×15.0

14

1879B

송원학안1(宋元學案1)

24.2×14.9

15

1909B

만몽한삼문합벽교요서(滿蒙漢三文合璧敎料書)

29.5×17.8

16

1982B

논어주소해경(論語注疏解經)

23.0×14.8

표 2. 면지고서 목록

No. ID 서명 크기(L×W, cm)

1

1292C

광운(廣韻)

21.4×14.0

2

1415C

성리회통(性理會通)

24.8×16.4

3

1459C

신증격고요론(新增格古要論)

25.0×16.1

4

1469C

구경(九經)

25.6×16.3

5

1521C

군서고색(群書考索)

23.0×15.4

6

1550C

하씨어림(何氏語林)

25.5×17.6

7

1579C

만성통보(萬姓統譜)

24.7×16.3

8

1605C

대학연의보(大學衍義補)

26.8×16.2

9

1635C

박물전휘(博物典彙)

24.4×16.8

10

1694C

단궤종서(檀궤叢書)

23.3×14.7

11

1712C

신선통감(神仙通鑑)

24.0×14.9

12

1758C

구북삼청지(口北三廳志)

22.6×16.0

13

1788C

신재해(新齋諧)

24.0×14.8

14

1816C

대씨총서(戴氏叢書)

27.8×17.5

15

1849C

해산선관총서(海山僊館叢書)

19.0×12.9

16

1886C

통상약장류찬(通商約章類纂)

26.6×15.1

17

1908C

도재길김록(陶齋吉金錄)

30.6×19.5

18

1942C

시헌서, 강덕구년(時憲書, 康德九年, 1942)

25.5×16.7

표 3. 당지, 저지, 양지고서 목록

No. ID 서명 크기(L×W, cm)

1

1387G

천목중봉화상광록(天目中峯和尙廣錄)

26.5×18.6

2

1529G

역경몽인(易經蒙引)

23.9×13.1

3

1599G

주역고금문전서(周易古今文全書)

26.9×17.4

4

1666G

이암세당시(而菴說唐詩)

24.5×15.8

5

1670G

광금석운부(廣金石韻府)

27.5×17.8

6

1710G

주역함서약존(별집)(周易函書約存(別集))

26.5×16.6

7

1752G

화서당이경관일(和序堂易經貫一)

27.8×16.8

8

1793G

상서집주음소(尙書集注音疏)

24.0×15.0

9

1821G

하상역주(河上易註)

29.5×18.2

10

1884G

시모씨전소(詩毛氏傳疏)

23.2×15.0

11

1896M

금석도세(金石圖說)

42.7×25.0

12

1934M

시헌서,강덕이년(時憲書, 康德二年, 1935)

26.4×16.7

13

1907W

영설재관상편람대천종(暎雪齋官商便覽臺千種)

26.2×15.4

14

1941W

시헌서, 강덕팔년(時憲書, 康德八年, 1941)

25.7×16.7

1. 초지용 발의 형태 측정방법

중국판 고서를 해체하지 않고 초지용 발의 형태를 확인하기 위해 EL sheet의 투과광을 이용하여 편사 간격과 3 cm당 발 초수를 측정하였다.

그림 1. electroluminescent (EL) sheet.

그림 1. electroluminescent (EL) sheet.

중국판 고서에 사용한 시대별 책지의 제조에 사용된 초지용 발의 특성을 분석하기 위해 책지 상에 남아 있는 편사 간격 및 발 초수 무늬를 조사하였다. 공시재료 48책 중 배접이나 보강 등으로 투과광에 의한 육안으로 조사가 어려운 것을 제외한 시료 중 편사 간격은 40책, 발 초수는 38책을 조사하였다. 표 4~6에 죽지, 면지, 당지, 저지 및 양지의 편사 간격과 발 초수 조사결과를 나타냈다.


표 4. 죽지 고서 편사간격 및 발 초수

ID 편사간격 (mm) 발 초수(ea/3 cm)

1376B

10

39

1415B

10

-

1451B

10

36

1560B

21

21

1590B

9

39

1614B

10

33

1642B

10

34

1689B

12

29

1710B

11

31

1751B

10

36

1775B

11

29

1815B

10

35

1864B

17

24

1879B

10

30

1909B

-

- 

1982B

14

30

표 5. 면지고서 편사간격 및 발초수

ID 편사간격 (mm) 발 초수(ea/3 cm)

1292C

-

- 

1415C

11

33

1459C

11

36

1469C

11

35

1521C

- 

- 

1550C

- 

- 

1579C

10

37

1605C

11

31

1635C

11

29

1694C

16

37

1712C

11

29

1758C

15

31

1788C

16

42

1816C

11

30

1849C

21

- 

1886C

18

34

1908C

19

37

1942C

-

- 

표 6. 당지, 저지, 양지 편사간격 및 발초수

ID 편사간격 (mm) 발 초수(ea/3 cm)

1387G

10

36

1529G

10

39

1599G

11

37

1666G

11

30

1670G

16

34

1710G

11

29

1752G

11

31

1793G

11

37

1821G

19

34

1884G

11

31

1896M

-

- 

1934M

18

37

1907W

-

- 

1941W

- 

- 

죽지에 나타난 편사 간격은 8-21 mm, 3 cm당 발 초수는 21-39개로 면지나 당지에 비해 다양한 종류의 초지용 발이 사용된 것으로 나타났다. 면지에 나타난 편사 간격은 11-21 mm, 3 cm당 발 초수는 29-42개로 조사되었으며, 당지 및 저지에 나타난 편사 간격은 10-19 mm, 3 cm당 발 초수는 29-39개로 조사되었다.

그림 2는 중국판 고서의 시대별 책지 제조에 사용된 초지용 발의 편사 간격 분포를 나타낸 것이다. 편사 간격은 8-21 mm 범위였으며 시료의 약 63%에 해당하는 26책이 간행년도나 지종에 관계없이 10-11 mm의 간격으로 조사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조선 초기 책지를 대상으로 조사한 발의 편사 간격이 17-23 mm1. 정선영, 조선초기 책지에 관한 연구, 서지학연구 1: 177-212 (1986).와 비교했을 때, 중국 책지는 편사 간격이 좁은 발을 사용하여 제조한 것을 알 수 있었다. 비교하면 중국 책지는 편사간격이 좁은 발을 사용한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림2. 편사간격

그림2. 편사간격

표7~9은 편사간격과 발 초수를 촬영한 사진이다.

표 7. 죽지 고서

표 7. 죽지 고서

표 8. 면지고서

표 7. 죽지 고서

표 9. 당지, 저지, 양지고서

표 7. 죽지 고서

1. 정선영, 조선초기 책지에 관한 연구, 서지학연구 1: 177-212 (1986).

2. 천주현, 조선후기 국왕 발급문서의 제지 과학적 특성, 충북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4).

ena@aks.ac.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