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보기 맨위로
 
한국학중앙연구원 온라인소식지
 
한국학중앙연구원 온라인소식지 3월호 AKS
 
커버스토리
한중연소식
옛 사람의 향기
이 땅의 문화를 찾아서
한국학 연구동향
세계와 함께하는 한국
새로 나온 책
뉴스 라운지
되살리는 기록유산
틀린 그림 찾기
한국학중앙연구원 페이스북 페이지 한국학중앙연구원 트위터
AKS 한국학 연구동향
 
연구원 홈페이지 한국문화교류센터 Newsletter 한국학진흥사업단 Newsletter 관리자에게
한국학으로서 사회정책 연구를 지향하며 곽병훈 (한국학중앙연구원 선임연구원) 인간이 살아가는데 필수적인 의식주를 비롯해 일상적인 생활을 영위하는 데 필요한 직업, 소득, 건강, 여가 등 기본적인 욕구를 해결하고자 하는 것이 복지라면, 그것의 구체적인 모습은 사회정책으로 나타난다. 우리나라에서 사회정책이 국가적 관심의 대상이 된 시점은 1970년대 초반이지만 고대 및 조선시대를 거쳐 미군정 시기에 이르기까지 일련의 구호정책은 효 문화, 유교주의 등이 반영된 사회정책의 역사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역사적, 사회적 형성체’가 바로 사회정책이었던 것이다. 사회정책이 이처럼 오랜 역사를 갖고 있음에도 지금까지 사회정책 연구는 주로 근ㆍ현대 이후에 국한된, 외국 이론에 의존한 편향적, 의존적인 경향을 보여 왔다. 이로 인해 다양한 이론적 지식을 양산하기는 하였으나 우리나라의 토양에 맞는 토착화된 이론을 제대로 정립하지 못한 것이 지금의 사회정책 학계의 현실이다. 우리나라의 백성, 즉 시민에 대한 국가의 시대적 사상이 담겨 있는 사회정책의 특성이 간과되어 왔던 것이다. 근ㆍ현대 이전의 사회정책 관련 자료에 대한 접근성 제약이 지금의 상황을 만들어낸 주요인이었다고 할 수 있다. 한국 사회에서 사회정책 연구의 발전 방향을 모색하려면 외국 이론에만 의존할 것이 아니라 우리의 고전(古典)에서 많은 예지를 얻어야 한다. 예컨대, 율곡은 백성이 지배의 대상이 아니라 나라의 ‘하늘’이고, 백성의 하늘인 ‘밥’을 최우선적으로 보장해야 하며, 생업을 보호하기 위하여 세금, 부역, 그 밖의 여러 착취를 줄이는 방안을 강구해야 한다고 했다. 율곡의 이러한 공동체복지론은 현대 사회에서도 여전히 유효하다. 아무리 좋은 외국 학문이나 제도라 하더라도 우리 실정에 맞지 않으면 몸에 어울리지 않는 옷이나 다를 바 없기 때문이다. 우리나라의 실정에 맞는, 균형 잡힌 사회정책 연구가 가능하기 위해서는 외국 이론 중심의 연구에서 벗어나 ‘한국학으로서의 사회정책’을 탐색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서는 사회정책 연구주제의 다양화와 함께 역사적, 맥락적 연구가 필요하다.  한국학의 주요 연구영역으로 사회정책의 외연을 확장하기 위해서는 과학성과 실천성뿐만 아니라 문화적 보편성과 토착성을 중심에 놓는 연구가 요구된다. 지금까지 사회정책 연구가 실천적, 정책적 측면을 중시하는 실용적, 처방적 필요에 의해 이루어졌다면, 앞으로는 보다 종합적, 미래지향적 맥락에서 한국학으로서의 사회정책의 학문적 발전을 논할 시점인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