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보기 맨위로
 
이 땅의 문화를 찾아서
 
한국학중앙연구원 온라인소식지 02월호 AKS
 
커버스토리
한중연소식
옛 사람의 향기
이 땅의 문화를 찾아서
한국학 연구동향
세계와 함께하는 한국
새로 나온 책
뉴스 라운지
되살리는 기록유산
틀린 그림 찾기
한국학중앙연구원 페이스북 페이지 한국학중앙연구원 트위터
AKS 한국학 연구동향
 
연구원 홈페이지 한국문화교류센터 Newsletter 한국학진흥사업단 Newsletter 관리자에게
광복 70주년에 한국학 연구에 바란다. [사진] 이동희 (한국학중앙연구원 책임연구원) 올해는 광복 70주년이자 분단 70년을 맞는 해이다. 일제 강점기에서 벗어나 광복 70주년을 맞는 대한민국은 세계 최빈국에서 세계 10위권의 경제력과 1인당 국민소득 3만 달러 수준의 경제 강국으로 탈바꿈했다. 전쟁의 참화를 겪고, 남북 분단 상황 속에서도 민주화와 산업화를 훌륭하게 이루어 냈다. 광복 70년이 지나는 동안, 전 세계에 유례를 찾아 볼 수 없는 한국의 이런 발전 은 한국학 연구자 뿐만 아니라 한국학을 연구하지 않는 외국의 학자들에게까지도 관심을 끌고 있다. 예를 들어, 하버드 대학 국제․지역 연구학회에서 개최한“문화적 가치와 인류 발전 프로젝트”라는 심포지엄에서『문명의 충돌』의 저자로 유명한 하버드 대학교 교수 새뮤얼 헌팅턴은‘가나’와 ‘한국’이 1960년대 초 비슷한 경제 상황에서 지금 왜 이렇게 격차가 심각하게 벌어졌는지에 대해 관심을 불러일으키며 한국의 문화에 대해 연구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한 바가 있다. 광복 70년 동안 한국이 쌓은 발전 경험을 수많은 개발도상국들이 부러워하고 있다.『한국인만 모르는 다른 대한민국』의 저자 임마누엘 페스타라이쉬는 최빈곤국에서 선진국으로 진입한 근현대 한국의 발전 경험은 수많은 개발도상국에 희망과 영감을 불어넣어 주는 근거가 되고 있다고 역설한다. 실제로 많은 개발도상국들로부터 한국의 경제 발전 경험을 배우고자 하는 요청이 쇄도했다. 우리나라에서도 이에 부합하여‘경제발전공유사업’등을 진행했다. 그러나 이런 발전 경험은‘경제 발전’에만 국한되어 있어, 한국의 발전 경험을 제대로 알릴 수가 없다.‘한강의 기적’은 단순한 기적이 아니라, 한국인이 가진 가치관과 높은 문화의 힘 때문에 가능했다는 것을 알려야 한다. 앞서 언급한 새무얼 헌팅턴도 가나와 다르게 한국이 발전할 수 있었던 차이로 바로 그러한 점을 들고 있다.  민주화와 산업화에 대한 한국의 발전 경험은 세계에 유례를 찾아 볼 수 없는 모범적 사례로 꼽힌다. 한국학의 중요한 과제들 중 하나는 그러한 경험을 세계인이 공유할 수 있는‘보편적 자산’으로 만드는 것일 것이다. 그러나 한국의 근현대 발전 경험에 대한 기초적 토대 및 그에 대한 연구는 미진한 편이다. 현대 한국 구술사 연구 등 현재 부분적으로 사업이 행해지고 있지만, 한국의 발전 경험을 세계인의‘보편적 자산’으로 만들기 위해서는 보다 광범위한 기초 자료 발굴 및 수집과 그리고 그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근현대 발전 경험과 관련한 생존인물들에 대한 구술인터뷰를 확대하고, 중요 인물 자료들, 사진 및 서류 등 각종 자료 등을 본격적으로 발굴해 한국학중앙연구원에 아카이브를 구축할 필요가 있다.  국내외 학자들이 그 아카이브를 활용해 한국의 근현대 발전 경험에 대해 토론하고 연구를 하고, 저술을 할 수 있게 된다면, 한국학중앙연구원은 전통문화뿐만 아니라 근현대 한국학의 메카로 명실상부하게 자리 잡게 될 것이고, 자연스레 한국학의 세계화에도 기여할 것이다. 최근에는 개인정보보호법의 발효, 강화와 함께 과학연구에서의 윤리강령과 연구지침이 사회행동과학연구(Social Behavioral Research)에 그대로 적용(2013)되어 한층 연구대상자의 복지와 안전, 약자 보호를 강조하게 되었다. ‘SBR 연구’를 ‘체계적인 조사활동, 연구개발, 시험과 평가 등을 일반화할 수 있는 지식의 도출이나 이에 기여하는 모든 활동’으로 정의하고 과학연구와 연구대상자는 자신이 참여하게 되는 연구에 대한 충분한 설명에 근거해 자발적 동의의 전제는 물론, 언제든 참여를 중단할 수 있으며 위험이 최소화되어야 하고 어쩔 수 없이 사회적으로 취약한 사람들을 연구대상자로 필요하다면 합당한 근거를 제시해야 하며 대상자 선정에 있어 사회계층, 나이, 성별, 학력, 출신지역, 종교와 무관하게 공정하게 선정되어야 함을 주요 골자로 하고 있다. 앞서 과학연구의 역사를 통해 지적했다시피 오늘날 의학과 과학의 발전은 사회적 약자의 희생으로 비롯된 것이다. 그러나, 이제 사회적 약자의 존중과 안녕, 복지가 전제되지 않고는 한 국가 전체를 먹여 살릴만한 과학연구와 사회행동과학연구라 할지라도 정당성을 지닐 수 없다. 지난 인류 역사에서 오랫동안 윤리적 판단과 의사결정의 주체가 절대 국가와 왕, 자본가, 다수가 그 중심이었다면 이제는 개인과 시민, 소비자, 소수자에 대한 존중으로 그 주체가 전환되기 시작하였기 때문이다. 과학의 발전과 인류 안녕의 실현을 한 손에 놓고 솔로몬과 같은 황금률의 지혜를 모아야 할 때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