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보기 맨위로
 
이 땅의 문화를 찾아서
 
한국학중앙연구원 온라인소식지 01월호 AKS
 
커버스토리
한중연소식
옛 사람의 향기
이 땅의 문화를 찾아서
한국학 연구동향
세계와 함께하는 한국
새로 나온 책
뉴스 라운지
되살리는 기록유산
틀린 그림 찾기
한국학중앙연구원 페이스북 페이지 한국학중앙연구원 트위터
AKS 새로 나온 책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홈페이지 바로가기
연구원 홈페이지 한국문화교류센터 Newsletter 한국학진흥사업단 Newsletter 관리자에게
심경 철학 사전 「심경 철학 사전」표지 지은이:이창일, 김우형, 임홍태, 함영대, 전현희, 박승원/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정가:20,000원/ 발행일: 2014.12.15/ 쪽수: 416쪽/ 크라운판/ 한국학, 한국철학, 경학/ ISBN:979-11-86178-00-3 94140 도서 소개 및 출판사 리뷰 󰡔심경(心經)󰡕은 한국 성리학의 특징을 유감없이 보여 주는 문헌이다. 중국이나 일본의 유학자들이 󰡔심경󰡕을 특별히 중시하지 않았던 반면에, 조선시대 학자들은 󰡔심경󰡕에 적극적인 관심을 보여 백 수십여 종에 달하는 관련 저작들을 남겼다. 조선에서 󰡔심경󰡕을 본격적으로 주목한 것은 이황으로부터 출발한다. 이황은 󰡔심경󰡕이 주자학의 순정한 핵심 내용인 심학의 연원과 심법의 정미로움을 담고 있다고 하며 이 책을 공경했다고 한다. 이러한 이황의 태도는 퇴계학파 여러 문하들의 지속적인 연구를 촉발시켰고, 퇴계학파로부터 시작된 󰡔심경󰡕 연구는 인접 학파들에게도 영향을 미쳐 17세기부터는 율곡학파로 확산되었으며, 조선의 양명학파나 실학파 학자들에게서도 󰡔심경󰡕에 대한 논의와 저술들이 발견된다. 󰡔심경󰡕 연구의 역사는 실로 조선 유학사를 방불케 한다. 󰡔심경 철학 사전󰡕은 이러한 지식과 정보를 정제된 형태로 한곳에 체계적으로 요약함으로써 󰡔심경󰡕 연구의 종합적 이해를 돕고자 하였다. 저자 소개 차례1장 머리말 2장 영조의 통치이념 1. 즉위 초의 현실인식과 통치이념 2. 즉위 전후의 학습과 통치이념 3장 영조의 왕실의례개혁 1. 왕실가례개혁 2. 왕실상례개혁 4장 영조의 통치제도개혁 1. 공상제도개혁 2. 진상제도개혁 3. 형벌·양역제도개혁 5장 맺음말 총론 / 1. 용어·구문 2. 도설 3. 주석서 4. 중국 학자 5. 조선 학자 / 부록 / 참고문헌 차례 영조의 통치이념과 개혁 『영조의 통치이념과 개혁』표지 지은이: 신명호/ 발행처: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정가:12,000원/ 발행일: 2015.1.30/ 쪽수 216쪽/ 판형:신국판/ ISBN:979-11-86178-08-9-94910 도서 소개 조선의 제21대 국왕 영조가 즉위할 당시의 조선은 이미 330여 년이나 된 노쇠한 왕조이자 당쟁으로 사분오열된 왕조였다. 그런 조선왕조의 국왕으로 영조는 장장 52년 동안 재위하며 무수한 개혁을 성취해냈다. 비록 국왕으로서 영조는 왕비의 아들도 아니었고 제대로 후계 교육도 받지 못한 불리한 입장이었지만, 정치안정과 제도개혁을 성취하기 위해 무수한 난관을 극복해냈다. 그렇다면 영조는 어떻게 그 난관들을 극복하였고 또 어떻게 정치안정과 제도개혁을 성취하였을까? 이 책은 바로 이런 의문에 대한 답이라고 할 수 있다. 영조는 개혁의 기초이론으로 효, 경, 근, 검, 공, 서의 여섯 가지 원칙과 ‘계붕당(戒朋黨)’, ‘계사치(戒奢侈)’, ‘계숭음(戒崇飮)’의 3대 통치이념을 기준으로 삼았다. 그리고 영조의 개혁은 이러한 원칙과 통치이념이 구현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영조의 개혁을 다룬 이 책은 영조의 현실인식과 통치이념, 왕실의례개혁, 통치제도개혁 세 가지로 크게 구성된다. 18세기 조선은 왕조 사회였기에 왕실 문제와 통치 문제가 당대 현실 문제의 핵심이었고, 그 현실 문제를 극복하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결과가 영조의 개혁을 대표한다고 할 수 있다. 또한 현실 문제를 극복하기 위한 전제로서 영조의 삶과 학습 및 통치이념을 살펴봄으로써 영조 통치의 배경은 무엇인가를 밝혔다. 지은이 소개 신명호_강원대학교 사학과를 졸업하고,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에서 2000년 『조선초기 왕실편제에 관한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1997년부터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선임연구원으로 근무하다가, 1999년 국사편찬위원회 편사연구사를 거쳐 2003년부터 부경대학교 사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강경애/강향란/고황경/권기옥/길정희/김마리아/김메리/김명순/김신실/김앨리스/김원주/김필례/김합라/김활란/나혜석/문예봉/박경원/박순천/박에스더/박원희/박인덕/박자혜/박진홍/박차정/박화성/방신영/배상명/백신애/복혜숙/송계월/송금선/신의경/오엽주/우봉운/유각경/유관순/유영준/윤심덕/윤정원/이숙종/이순금/이월화이정희/임영신장선희/정종명정칠성/조신성주세죽/지하련/차미리사/차사백/최경자/최승희/최영숙/최용신/최은희/최정희/하란사/한소제/허정숙/황신덕/황애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