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보기 맨위로
 
이 땅의 문화를 찾아서
 
한국학중앙연구원 온라인소식지 01월호 AKS
 
커버스토리
한중연소식
옛 사람의 향기
이 땅의 문화를 찾아서
한국학 연구동향
세계와 함께하는 한국
새로 나온 책
뉴스 라운지
되살리는 기록유산
틀린 그림 찾기
한국학중앙연구원 페이스북 페이지 한국학중앙연구원 트위터
AKS 한국학 연구동향
 
연구원 홈페이지 한국문화교류센터 Newsletter 한국학진흥사업단 Newsletter 관리자에게
청동기시대 호서지역의 개인성과 집단성 [사진] 우정연 (한국학중앙연구원 교수) 호서지역 청동기시대 전-중기는 사회적 복합도가 급격히 증가한 시기로서 복합사회 발전과정 연구에 관심을 가지고 있는 연구자들의 많은 주목을 받아왔다. 그러나 기존 연구들은 현대 사회에서 통용되는 개인주의를 무비판적으로 투영하여 당시 사회를 보고 있다. 그 결과 개인과 집단 및 개인성과 집단성 사이의 가변적 관계에 대해서는 별다른 주의가 기울여지지 않고 있다. 이에 필자는 물질자료 중 당시 사회에서 중요하게 여겨졌던 범주와 담론이 가장 명시적으로 표현된 무덤자료를 분석하여 그러한 가변적 관계에 대해 고찰해 보았다(「호서지역 청동기시대 전-중기 무덤을 통해 본 개인성과 집단성」, 『정신문화연구』 137, 2014). 호서지역은 이와 같은 연구에 특히 적합한 지역인데, 호서지역에는 지석묘라는 거석묘와 ‘송국리형 묘제’라 불리는 비거석묘가 특징적인 시공간적 분포를 보이며 밀집해 있고, 거석묘와 비거석묘에 대해서는 국내외에서 이미 오래 전부터 개인성과 집단성 문제와 관련하여 여러 연구가 이루어졌기 때문이다. 위와 같은 목적으로 무덤들 사이의 참조(reference) 관계에 주목하여 호서지역 청동기시대 전-중기 무덤에 개인성과 집단성이 표상된 방식이 시공간의 변화에 따라 어떻게 달라졌는지를 분석한 후, 일상관행과의 비교를 통해 그러한 차이의 원인에 대해 검토하여 아래와 같은 결론을 얻었다. 당시 호서지역 벼농사 중심지이고 무덤 최대 밀집지인 서해안 남부와 금강 중하류역에서는 집단간•개인간 의무와 권리 관계가 경작 지대를 중심으로 장기간에 걸쳐 누적적으로 형성되었고, 그러한 과정에서 일정한 형태의 개인성과 집단성이 무덤을 통해 규칙적이고 반복적으로 표상되었던 것으로 판단된다. 화전농경이나 수렵에 유리한 자연환경을 갖춘 아산만 일대에서는 집단간 결연관계나 개인의 소속집단을 필요에 따라 상대적으로 쉽게 바꿀 수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그로 인해 집단간•개인간 의무와 권리 관계가 장기간에 걸쳐 누적적으로 축적된 경우가 드물었고, 무덤을 통한 집단적•개인적 정체성 표현은 국지적인 수준에서 매우 산발적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추정된다. 마지막으로 매장관행과 일상관행 모두에서 유적간 많은 차이를 보이는 금강 상류역에서는 국지적 집단에 따라 개인적•집단적 정체성이 형성되는 방식이 달랐고, 그에 따라 다양한 묘제와 무덤 속성을 통해 다양한 방식으로 개인성과 집단성이 표상되었던 것으로 해석된다. 최근에는 개인정보보호법의 발효, 강화와 함께 과학연구에서의 윤리강령과 연구지침이 사회행동과학연구(Social Behavioral Research)에 그대로 적용(2013)되어 한층 연구대상자의 복지와 안전, 약자 보호를 강조하게 되었다. ‘SBR 연구’를 ‘체계적인 조사활동, 연구개발, 시험과 평가 등을 일반화할 수 있는 지식의 도출이나 이에 기여하는 모든 활동’으로 정의하고 과학연구와 연구대상자는 자신이 참여하게 되는 연구에 대한 충분한 설명에 근거해 자발적 동의의 전제는 물론, 언제든 참여를 중단할 수 있으며 위험이 최소화되어야 하고 어쩔 수 없이 사회적으로 취약한 사람들을 연구대상자로 필요하다면 합당한 근거를 제시해야 하며 대상자 선정에 있어 사회계층, 나이, 성별, 학력, 출신지역, 종교와 무관하게 공정하게 선정되어야 함을 주요 골자로 하고 있다. 앞서 과학연구의 역사를 통해 지적했다시피 오늘날 의학과 과학의 발전은 사회적 약자의 희생으로 비롯된 것이다. 그러나, 이제 사회적 약자의 존중과 안녕, 복지가 전제되지 않고는 한 국가 전체를 먹여 살릴만한 과학연구와 사회행동과학연구라 할지라도 정당성을 지닐 수 없다. 지난 인류 역사에서 오랫동안 윤리적 판단과 의사결정의 주체가 절대 국가와 왕, 자본가, 다수가 그 중심이었다면 이제는 개인과 시민, 소비자, 소수자에 대한 존중으로 그 주체가 전환되기 시작하였기 때문이다. 과학의 발전과 인류 안녕의 실현을 한 손에 놓고 솔로몬과 같은 황금률의 지혜를 모아야 할 때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