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지사항 상세: 제목, 작성자, 등록일, 조회수, 첨부파일, 내용으로 구성
제목 ‘두만강·압록강 권역의 생태 환경과 발해 문화’ 공동연구과제 결과발표회 및 제5회 전국고구려발해학대회 개최 안내
작성자 연구행정실 등록일 2024-11-20 조회수 994

한국학중앙연구원 2024년 한국학기초연구  ‘두만강·압록강 권역의 생태 환경과 발해 문화’  관련 결과발표회 및 제5회 전국고구려발해학대회를 개최하오니 원내외 여러분들의 많은 관심 바랍니다.

 

 

2024두만강·압록강 권역의 생태 환경과 발해 문화공동연구과제 결과발표회 및 제5회 전국고구려발해학대회

 

 

일시: : 2024126(금요일) ~ 127(토요일)

장소 : 문형관 B107 대회의실

세부 일정

일정

발 표 및 내 용

비 고

1부 연구과제 결과발표회

사회 : 전현실(가톨릭대학교)

2024.

12.6

10:20~

10:30

인사말

구난희(한국학중앙연구원 과제 연구책임자)

2024년 공동연구과제 결과발표회(AKSR2024-C10)

두만강 압록강 권역의 생태환경과 발해 문화

 

 

10:30~

11:00

발표주제1

발해시대 두만강압록강 권역의 환경과 생업

발표자 : 윤재운(대구대학교)

토론자 : 김은옥(한국전통문화대학교)

11:00~

11:30

발표주제2

발해의 두만강·압록강 권역 운용과 지방 지배

발표자 : 구난희(한국학중앙연구원)

토론자 : 권은주(동북아역사재단)

11:30~

13:00

점심식사

13:00~

13:30

발표주제3

두만강·압록강 권역의 발해 주거문화

발표자 : 이병건(동원대학교)

토론자 : 한동수(한양대학교)

13:30~

14:00

발표주제4

두만강·압록강 권역의 발해 주민구성

발표자 : 정석배(한국전통문화대학교)

토론자 : 김은국(전 동북아역사재단)

 

14:00~

15:00

종합토론

발표자, 토론자 및 참석자 전원

2부 전국고구려발해학대회

2부 제5회 전국 고구려발해학 대회 1일차

사회 : 김진광(한국학중앙연구원)

15:10~15:30

개회사 및 축사

개회사: 정석배(고구려발해학회 회장)

축 사: 권혁재(고구려발해학회 이사장)

15:30~16:00

발해 24개돌 유적에 대한 재해석

발표: 한동수(한양대학교)

16:00~16:30

발해 서쪽 경계에 대해

발표: 정해봉(한국전통문화대)

16:30~16:40

휴식

16:40~17:10

고구려 벽화고분 수용의 배경과 양상

발표: 양서희(충북대학교)

17:10~17:40

고구려 안악 3호분 주미의 3D 디지털 복원을 위한 예비 검토

발표: 공석구(한밭대학교), 공전영(동양대학교)

17:40~18:10

오녀산성식 등자에 대한 검토

발표: 스토야킨 막심(국립문화재연구원)

3부 제5회 전국 고구려발해학 대회 2일차

사회 : 이승호(동국대학교)

09:20~9:50

고고자료로 본 6세기 동해안 연안 지역 일대의 고구려 지역 거점과 상실

발표: 주홍규(건국대학교 아시아콘텐츠 연구소)

9:50~10:20

고구려 석실묘에 미친 중국 북조의 장례문화

발표: 김정인(()서원문화유산연구원)

10:20~10:50

삼국사기 고구려본기의 한당대 외교기록일 복원 연구

발표: 김일권(한국학중앙연구원)

10:50~11:00

휴식

11:00~11:30

GIS를 활용한 신빈 영릉남성지의 시공간적 의미

발표: 김주형(고려대학교)

11:30~12:00

중국 동북지역 玄菟郡 추정지역 평지성의 고고학적 검토

발표: 권혁두(세종문화재연구원)

12:00~12:30

발해 유민의 정체성

발표: 주신(한국학중앙연구원)

12:30~13:40

점심식사

13:40~13:50

11회 고구려발해학회 학술상 시상식

13:50~16:00

종합토론

좌장: 정석배(한국전통문화대학교)

발표자 및 참가자 전원

16:00~16:30

고구려발해학회 임시 총회

신임 고구려발해학회 회장 추천 및 인사말

 

* 결과 발표회 관련 문의는 아래 메일을 통해 연락주시길 바랍니다.

(문의: 이빈빈 / 326380363@163.com)

 
이전글/다음글: 다음글, 이전글로 구성
다음글 2024년 제4차 전통한국연구소 콜로키움 개최 안내
이전글 신집현전과제 ‘전통한국학 저술 용어 사전’ 2024년도 결과발표회 개최 안내
TOP
전체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