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두만강·압록강 권역의 생태 환경과 발해 문화’ 공동연구과제 결과발표회 및 제5회 전국고구려발해학대회
○ 일시: : 2024년 12월 6일(금요일) ~ 12월 7일(토요일)
○ 장소 : 문형관 B107 대회의실
○ 세부 일정
일정
|
발 표 및 내 용
|
비 고
|
제1부 연구과제 결과발표회
사회 : 전현실(가톨릭대학교)
|
2024.
12.6
|
10:20~
10:30
|
인사말
구난희(한국학중앙연구원 과제 연구책임자)
|
2024년 공동연구과제 결과발표회(AKSR2024-C10)
두만강 압록강 권역의 생태환경과 발해 문화
|
10:30~
11:00
|
발표주제1
발해시대 두만강․압록강 권역의 환경과 생업
발표자 : 윤재운(대구대학교)
토론자 : 김은옥(한국전통문화대학교)
|
11:00~
11:30
|
발표주제2
발해의 두만강·압록강 권역 운용과 지방 지배
발표자 : 구난희(한국학중앙연구원)
토론자 : 권은주(동북아역사재단)
|
11:30~
13:00
|
점심식사
|
13:00~
13:30
|
발표주제3
두만강·압록강 권역의 발해 주거문화
발표자 : 이병건(동원대학교)
토론자 : 한동수(한양대학교)
|
13:30~
14:00
|
발표주제4
두만강·압록강 권역의 발해 주민구성
발표자 : 정석배(한국전통문화대학교)
토론자 : 김은국(전 동북아역사재단)
|
|
14:00~
15:00
|
종합토론
발표자, 토론자 및 참석자 전원
|
제2부 전국고구려발해학대회
|
제2부 제5회 전국 고구려발해학 대회 1일차
사회 : 김진광(한국학중앙연구원)
|
15:10~15:30
|
개회사 및 축사
|
개회사: 정석배(고구려발해학회 회장)
축 사: 권혁재(고구려발해학회 이사장)
|
15:30~16:00
|
발해 24개돌 유적에 대한 재해석
|
발표: 한동수(한양대학교)
|
16:00~16:30
|
발해 서쪽 경계에 대해
|
발표: 정해봉(한국전통문화대)
|
16:30~16:40
|
휴식
|
16:40~17:10
|
고구려 벽화고분 수용의 배경과 양상
|
발표: 양서희(충북대학교)
|
17:10~17:40
|
고구려 안악 3호분 주미의 3D 디지털 복원을 위한 예비 검토
|
발표: 공석구(한밭대학교), 공전영(동양대학교)
|
17:40~18:10
|
“오녀산성”식 등자에 대한 검토
|
발표: 스토야킨 막심(국립문화재연구원)
|
제3부 제5회 전국 고구려발해학 대회 2일차
사회 : 이승호(동국대학교)
|
09:20~9:50
|
고고자료로 본 6세기 동해안 연안 지역 일대의 고구려 지역 거점과 상실
|
발표: 주홍규(건국대학교 아시아콘텐츠 연구소)
|
9:50~10:20
|
고구려 석실묘에 미친 중국 북조의 장례문화
|
발표: 김정인((재)서원문화유산연구원)
|
10:20~10:50
|
삼국사기 「고구려본기」의 한당대 외교기록일 복원 연구
|
발표: 김일권(한국학중앙연구원)
|
10:50~11:00
|
휴식
|
11:00~11:30
|
GIS를 활용한 신빈 영릉남성지의 시공간적 의미
|
발표: 김주형(고려대학교)
|
11:30~12:00
|
중국 동북지역 玄菟郡 추정지역 평지성의 고고학적 검토
|
발표: 권혁두(세종문화재연구원)
|
12:00~12:30
|
발해 유민의 정체성
|
발표: 주신(한국학중앙연구원)
|
12:30~13:40
|
점심식사
|
13:40~13:50
|
제11회 고구려발해학회 학술상 시상식
|
13:50~16:00
|
종합토론
|
좌장: 정석배(한국전통문화대학교)
발표자 및 참가자 전원
|
16:00~16:30
|
고구려발해학회 임시 총회
|
신임 고구려발해학회 회장 추천 및 인사말
|
* 결과 발표회 관련 문의는 아래 메일을 통해 연락주시길 바랍니다.
(문의: 이빈빈 / 326380363@163.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