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류의 의미와 지속가능성에 관한 연구> 결과발표회 개최 안내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중점연구 지정과제로 진행된 <한류의 의미와 지속가능성에 관한 연구> 결과발표회를 개최하오니 원내외 여러분의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 일시 : 2023년 11월 3일(금요일) 오전 9시 40분 ∼오후 3시
○ 장소 : 비대면(Zoom) 진행
https://us06web.zoom.us/j/85291208528?pwd=kZJSW72CsNalbEh6KALkNiAcahkoq9.1
회의 ID: 852 9120 8528
암호: SL1wCm
○ 세부일정
세션 1 - <한류: 이질성의 교집합 혹은 뭉뚱그리기>
|
사회: 조일동(한국학중앙연구원)
|
시간
|
발표제목
|
발표자
|
09:40~12:00
|
한류에 관한 연구 동향 분석:
‘언어 네트워크 분석’을 중심으로
|
안종수 (연세대학교)
|
한국영화의 세계화와 글로벌 K-스타
|
정민아 (성결대학교)
|
포스트휴머니즘과 페미니즘의 부/조화:
넷플릭스 제작 SF콘텐츠로 본 한국형 SF의 명암
|
전지니 (한경대학교)
|
게임 한류의 토대로서의 ‘보는 게임’
|
전은기(한양대학교)
|
토론: 송지영 (전남대학교), 홍진혁 (부산대학교), 백소연 (가톨릭대학교), 성상민 (한국노동안전보건연구소)
|
세션 2 - <한류: 남성, 여성,
그리고 한국이라는 공동체 상상하기>
|
사회: 조일동(한국학중앙연구원)
|
13:00-15:00
|
K-드라마에 나타난 공동체의 양상과 대중적 전략
|
문선영 (한국공학대학교)
|
한류와 젠더:
여성성, 남성성 재현의 변화와 수용
|
김수아 (서울대학교)
|
케이팝 속 한국성(韓國性)과 혼종성(混種性): Post-BTS와 K-Pop의 미래
|
이규탁 (조지메이슨대학교)
|
K서사의 로컬리티 활용과 효과:
공간지리, 생활문화, 샤머니즘을 중심으로 서사전략 연구
|
이현경 (단국대학교)
|
토론: 이주라 (원광대학교), 강혜원 (성균관대학교), 이동준 (홍콩 링난대학교), 이주영 (고려대학교)
|
문의처: 임근영 연구보조원 (gurusuworld@g.aks.ac.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