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한국학중앙연구원(원장 안병우)은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를 구축하여 연구자 및 일반국민에게 공개한다고 밝혔다.
□ 이 자료는 한국학중앙연구원이 한국교원대학교 이용기 교수 연구팀에 2016년부터 3년간 연구비를 지원하여 정리한 것으로, 대한제국기 고등정도학교 9개교와 일제시기 중등․고등교육기관 348개교에 다녔을 것으로 추정되는 한국인 ‘학력 엘리트’ 137,031명에 대한 학력정보를 정리한 것이다.
○ 여기에는 일본, 중국, 미국 및 기타 지역의 대학기관으로 유학간 1만 5천 여 명으로 추산되는 한국인 학생들의 학력정보도 포함되어 있다.
□ 갑오개혁으로 과거제와 신분제가 폐지된 이후 학력사회로의 급속한 변화가 시작되었다. 한말~일제시기 중등·고등교육을 받은 사람들은 민족운동, 사회운동의 주도세력으로 성장하였을 뿐만 아니라 사회 모든 분야와 지역사회의 중심세력으로 활동하였다. 나아가 해방 이후에도 국민국가 수립 및 시민사회 형성, 지역사회 운영에 있어 주도세력이 되었는데, 연구팀은 이들을 ‘학력 엘리트’로 명명하였다.
□ 이번에 공개하는 DB 내 당시 학교 현황을 보면,
○ 대부분의 학교에서 조선인보다 일본인 재학생이 압도적으로 많았다.
○ 그러나 민족학교로 알려진 평양의 숭실학교, 경성의 보성전문학교 등 일부 사립학교는 조선학생들이 절대 다수를 차지했다.
○ 이런 자료들을 통해 식민통치 시기를 치열하게 살았던 선배들의 삶을 엿볼 수 있다.
□ 또한, DB에 수록된 인물들을 간단히 살펴보면,
○ 해방정국에서 활약했던 송진우는 메이지대학(明治大學)을 졸업했고
○ 초대 법무부장관을 지낸 김병로는 일본대학에서 공부했음을 확인할 수 있다.
○ 시인으로 잘 알려진 모윤숙은 개성 호수돈여자고등보통학교 졸업 후 이화여자전문학교를 졸업했음을 동창회원록 등을 통해 알 수 있다.
□ 현재는 졸업생 이름과 공부한 학교 및 자료 출처 정도만 정리되었지만, 광범위하게 구축되어 운영되고 있는 각종 학술문화 공공DB들과 연동되면 근현대 ‘학력 엘리트’ 집단의 학력정보를 보다 객관적으로 판단하는 기초 데이터가 될 수 있을 것이다.
○ 이 DB는 당사자가 기록하여 정확성을 확보하고 있는 학교 일람류와 교지․교우회지, 관보 등을 비롯하여 학적부, 학위록, 이력서, 판결문, 신문조서, 졸업앨범, 신문, 잡지 등을 이용하여 구축되었다.
□ 안병우 한국학중앙연구원장은 “오늘 우리가 누리는 번영은 근대를 살았던 수많은 엘리트들의 피눈물 나는 희생과 지치지 않는 노력의 결실”이며, “이들의 뿌리와 힘의 원천에 학력은 큰 기여를 하였고 이러한 결실은 보다 나은 미래를 만들어 가는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라고 이 자료의 의의를 강조하였다.
□ 이 자료들은 현재 <한국학진흥사업 성과포털(waks.aks.ac.kr)> 에서 누구나 열람할 수 있다.
※ 홈페이지 : http://waks.aks.ac.kr/site/elite
※ 이용방법 : 한국학진흥사업 성과포털 누리집 검색창에서 ‘엘리트’ 입력 → 하단 ‘연구과제’ 클릭 →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홈페이지’ 클릭 → ‘자료보기’ 클릭
□ 연구참여자 소개
○ 연구책임자 : 이용기 (한국교원대학교)
○ 공동연구원 : 강명숙 (배재대학교)
○ 공동연구원 : 김광식 (숭실대학교)
○ 공동연구원 : 박진영 (연세대학교)
○ 공동연구원 : 심희찬 (立命館大學 (Ritsumeikan University))
○ 공동연구원 : 정준영 (서울대학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