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정사유: 다양한 사료를 활용하여 여항문학 등 고전 장르에 대한 창의적인 해석을 제시함으로써 한문학, 서지학, 고문헌학 등 관련 학계에 큰 영향을 미침. 고전문헌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를 바탕으로 세계사적 인식과 동아시아적 안목을 강조하며 한국 고전을 분석해 학술적 서오가를 도출함
2024년 제5회 수상자
조동일(趙東一) / 서울대학교 명예교수
『한국문학통사1~6』
선정사유: 한국 문학의 역사를 고대에서 현대까지 체계적으로 다루는 학술서로, 학계뿐만 아니라 일반 독자에게도 지속해서 영향을 미침. 한국 문학사의 기존 개념을 새롭게 정립하고, 현대적 시각으로 작가와 작품을 해석함으로써 한국 문학 연구의 새로운 지평을 엶
2023년 제4회 수상자
박병호(朴秉濠) / 서울대학교 명예교수
『한국법제사고』
선정사유: 고문서에 대한 깊이 있는 연구를 바탕으로 부동산, 가족법, 친족 분야 관습의 실체를 보여줌으로써 일제 식민사관을 극복하는 중요한 근거를 제시함
2022년 제3회 수상자
(故) 김완진(金完鎭) / 서울대학교 명예교수
『향가해독법연구』
선정사유: 도이장가(悼二將歌)를 비롯한 향가 26수의 원전을 철저히 비판하고 엄격한 어학적 기준에 따라 해독한 결과물임
2021년 제2회 수상자
(故) 김두종(金斗鐘) / 서울대학교 교수
『한국고인쇄기술사』
선정사유: 한국고인쇄 기술의 발달을 체계적으로 연구한 저술로서 다양한 사료와 자료를 통해 고인쇄 기술을 논중하여 고인쇄 기술 연구에는 전인미답의 결과물임
2020 제1회 수상자
(故) 김용섭(金容燮) / 연세대학교 명예교수
『김용섭 저작집 1~9』
선정사유: 한국의 농업·농학에 관한 체계적 연구로서 역사 인식의 방향을 수립하고, 일반 지식계의 큰 영향을 미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