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서각은 조선시대 궁궐 안팎에서 보관하던 고서와 고문서 12만여 점과 전국 문중에서 기증·기탁한 자료 5만여 점 등을 포함해 모두 17만여 점의 자료를 소장하고 있습니다. 이 중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이 2종, 국보가 6종, 보물이 30종, 시도지정문화재 10종, 등록문화재 1종입니다.

월중도 월중도
이십공신회맹축 이십공신회맹축

소장 현황

소장 현황 : 구분, 장서각본도서, 구입도서, 기증기탁, 합계(점)으로 구성
구분 장서각본도서 구입도서 기증기탁 합계(점)
국가지정문화재 435 11 29 475
시도지정문화재 - - 221 221
등록문화재 1 - - 1
총 합 436 11 250 697

지정유산 목록

국가지정유산
국가지정유산 목록 : 번호, 구문, 자료명, 수량, 시기, 지정일자, 기탁처로 구성
번호 구분 자료명 수량 시기 지정일자 기탁처
1 국보 통감속편(通鑑續編) 24권
6책
1422년
(世宗4)
1995.03.10 경주손씨
종가 송첨
2 국보 동의보감(東醫寶鑑) 25권
25책
1613년
(光海君5)
2015.06.22 장서각
본도서
3 국보 월인천강지곡 권상
(月印千江之曲 卷上)
1권
1책
1447년
(世宗29)
2017.01.02 미래엔
4 국보 조선왕조실록 적상산사고본
(朝鮮王朝實錄 赤裳山史庫本)
3책 17c 2019.06.26. 장서각
본도서
5 국보 조선왕조실록 봉모당본
(朝鮮王朝實錄 奉謨堂本)
6책 18c - 19c 2019.06.26. 장서각
본도서
6 국보 이십공신회맹축-보사공신녹훈후
(二十功臣會盟軸-保社功臣錄勳後)
1축 1694년
(肅宗20)
2021.02.17. 장서각
본도서
7 보물 이충원 호성공신교서
(李忠元 扈聖功臣敎書)
1축 1604년
(宣祖37)
1986.10.15 전주이씨
완양부원군
이충원 종가
8 보물 대방광불화엄경소 권21, 24
(大方廣佛華嚴經疏 卷二十一,二十四)
2권
2첩
1423년
(世宗5)
1992.04.20 구입도서
9 보물 대불정다라니(大佛頂陀羅尼) 1권
1첩
14c末 1992.04.20 구입도서
10 보물 약사유리광여래본원공덕경
(藥師瑠璃光如來本願功德經)
1권
1책
14c末 1992.04.20 구입도서
11 보물 범망경노사나불설보살심지계품 제10의하
(梵綱經盧舍那佛說菩薩心地戒品 第十의下)
1권
1책
14c末 1992.04.20 구입도서
12 보물 백운화상초록불조직지심체요절
(白雲和尙抄錄佛祖直指心體要節)
2권
1책
1378년
(禑王4)
1992.04.20 구입도서
13 보물 조온 사패왕지(趙溫 賜牌王旨) 1폭 1399년
(定宗1)
1992.07.28 장서각
본도서
14 보물 입학도설(入學圖說) 1책 1425년
(世宗7)
1992.07.28 구입도서
15 보물 기묘제현수필(己卯諸賢手筆) 1첩 1518년
(中宗13)
1994.05.02 순흥안씨
사제당 종중
16 보물 기묘제현수첩(己卯諸賢手帖) 1첩 1517-1531 1994.05.02 순흥안씨
사제당 종중
17 보물 손소 초상(孫昭 肖像) 1폭 1476년
(成宗7)
1995.03.10 경주손씨
종가 송첨
18 보물 국조정토록(國朝征討錄) 2권
1책
光海君
(1608~1623)
2007.04.20 구입도서
19 보물 이십공신회맹축-영국공신녹훈후
(二十功臣會盟軸-寧國功臣錄勳後)
1축 1646년
(仁祖24)
2007.04.20 장서각
본도서
20 보물 대방광원각수다라요의경 권상1의1
(大方廣圓覺修多羅了義經 卷上 一의一)
1책 1465년
(世祖11)
2007.04.20 구입도서
21 보물 대불정여래밀인수증요의제보살만행수능엄경 권2,10
(大佛頂如來密因修證了義諸菩薩萬行首楞 嚴經 卷二, 十)
2권
2책
1462년
(世祖8)
2007.04.20 구입도서
22 보물 숙빈최씨 소령원도(淑嬪崔氏 昭寧園圖) 4종 英祖
(1724~1776)
2007.12.31 장서각
본도서
23 보물 월중도(越中圖) 1첩 1698년
(肅宗24)
2007.12.31 장서각
본도서
24 보물 아국여지도(俄國輿地圖) 1첩 高宗
(1885~1905)
2008.12.22 장서각
본도서
25 보물 영조어필-숙빈최씨사우제문원고
(英祖御筆-淑嬪崔氏祠宇祭文原稿)
1첩 1726년
(英祖2)
2010.01.04 장서각
본도서
26 보물 영조어필-숙빈최씨소령묘갈문원고
(英祖御筆-淑嬪崔氏昭寧墓碣文原稿)
1점 1744년
(英祖20)
2010.01.04 장서각
본도서
27 보물 정조어필-시국제입장제생
(正祖御筆-示菊製入場諸生)
1점 1798년
(正祖22)
2010.01.04 장서각
본도서
28 보물 송준길 행초 동춘당필적
(宋浚吉 行草 同春堂筆跡)
1첩 17c 2010.10.25 진주정씨
우복
정경세 종가
29 보물 박세당 필적 서계유묵
(朴世堂 筆跡 西溪遺墨)
3첩 1697-1699 2010.10.25 반남박씨
서계
박세당 후손가
30 보물 박사익 초상(朴師益 肖像) 1점 1726년
(英祖2)
2011.11.01 반남박씨
금계군
박동량 종가
31 보물 김응남 호성공신교서 및 관련 고문서
(金應南 扈聖功臣敎書 및 關聯 古文書)
교서 1축,
교지 1점
18c 2012.02.22 원주김씨
두암
김응남 종가
32 보물 조선왕조의궤(朝鮮王朝儀軌) 291건
384책
17c 2016.05.03 장서각
본도서
33 보물 협주명현십초시(夾注名賢十抄詩) 3권
3책
1452년
(端宗즉위년)
2017.01.02 경주손씨
종가 송첨
34 보물 박동형 초상 및 함(朴東亨 肖像 및 函) 2건
4점
18c 2017.01.02 충주박씨
충원군
박동형 종가
35 보물 본영도형(本營圖形) 2건
2점
18c 2020.08.27. 장서각
본도서
36 보물 지정조격 권1~12, 23~34
(至正條格 卷一∼十二, 二十三∼三十四)
2책 1346년 2021.02.17. 경주손씨
종가 송첨
37 보물 안중근의사 유묵-일통청화공
(安重根義士 遺墨 - 日通淸話公)
1점 1910년 2022.06.23. 전주이씨
장천군
이보생 후손가
38 보물 장조 태봉도
(莊祖 胎封圖)
1폭 1785년
(正祖 9) 경
2022.08.26. 장서각
본도서
39 보물 순조 태봉도
(純祖 胎封圖)
1폭 1806년
(純祖 6)경
2022.08.26. 장서각
본도서
40 보물 헌종 태봉도(憲宗 胎封圖) 1폭 1847년
(憲宗 13) 경
2022.08.26. 장서각
본도서
41 보물 손소 적개공신교서
(孫昭 敵愾功臣敎書)
1축 1467년
(世祖 13)
2022.12.27 경주손씨
종가 송첨

시도지정유산

시도지정유산 현황 : 번호, 구분, 자료명, 수량, 시기, 원소장처로 구성
번호 구분 자료명 수량 시기 원소장처
1 경상북도 유형유산 손소 자녀 칠남매 화회문기
(孫昭 子女 七男妹 和會文記)
1점 1510년
(중종 5)
경주손씨
종가 송첨
2 경상북도유형유산 성주이씨 영정
(星州李氏 影幀)
13점 여말선초 성주이씨
대종회
3 경상북도 유형유산 최진립 전적 및 유품
(崔震立 典籍 및 遺品)
200점 17세기 경주최씨 정무공
최진립 종가
4 서울특별시 유형유산 오공신회맹축
(五功臣會盟軸)
1점 1456년
(세조 2)
전주이씨 장천군
이보생 후손가
5 경기도 유형유산 송암 이충원 영정 1점 1604년 전주이씨
6 경기도 유형유산 하석 박정 영정
(瑕石 朴正 影幀)
2점 1625년
(인조 3)
반남박씨 서계
박세당 종가
7 경기도 유형유산 만력기축 사마방목
(萬曆己丑 司馬榜目)
1점 1589년
(선조 22)
반남박씨 금계군
박동량 종가
8 경기도 유형유산 박동량 호성공신교서
(朴東亮 扈聖功臣敎書)
1점 1680년
(숙종 6)
반남박씨 금계군
박동량 종가
9 서울특별시 유형유산 양아록
(養兒錄)
1점 16세기 성주이씨 묵재종가

등록유산

등록유산 현황 : 번호, 구분, 고문헌명, 수량, 연대, 등제일자
번호 구분 고문헌명 수량 연대 등제일자
1 국가등록유산 전보장정(電報章程) 1책 1888년 2012.12.24
1. 조선왕조 의궤(儀軌)
조선왕조의궤

조선왕조 의궤 : 왕실의 혼인·장례·연회와 외교사절 환대 등의 중요 국가 행사, 궁궐·왕릉 조성과 같은 국가적인 건축 등에 관한 내용을 글과 그림으로 기록한 책. 장서각 341건 503책 소장(2007년 등재).

조선왕조 의궤는 조선왕조에서 유교적 원리에 입각한 국가 의례를 중심으로 국가의 중요 행사를 당시 진행 시점에서 사용된 문서를 정해진 격식에 의해 정리하여 작성한 기록물이다. 2007년 6월 제8차 유네스코 기록유산 국제자문위원회(6.13~15, 남아공 프레토리아)에서 세계기록유산으로 등재되었다.

의궤는 대부분의 유교사회에서 잊힌 과거 문화유산을 보존하고 있는 기록이다. 같은 유교문화권에 속하는 중국, 일본, 베트남 등에서는 의궤와 같은 체계적인 편찬이 아직 확인되지 않고 있다. 중국의 경우 수차례에 걸친 북방초원민족의 한족문화 침입과 점령으로 인해 시간이 경과하며 점차 그 원형을 잃어갔다. 특히 몽골 침입 기간 동안 유교 의식을 수록한 문헌 상당수가 소멸됐다. 이에 반해 한국은 외세의 침입에도 비교적 전통 원형 그대로 보존하며 그 진정성을 훼손하지 않고 유교 의식을 봉행하는 전통을 이어왔다.

의궤는 조선시대(1392~1910) 600여년에 걸쳐 왕실의 주요 행사, 즉 결혼식, 장례식, 연회, 사신영접 뿐 아니라, 건축물·왕릉의 조성과 왕실문화활동 등에 대한 기록이 그림으로 남아있어 조선왕조의 주요 의례를 시각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귀중한 자료로 희소성이 있다.

총 3,931권의 방대한 분량에 이르는 의궤는 주요한 의식이 시기별, 주제별로 정리되어 있어서, 조선왕조 의식의 변화뿐 아니라 동아시아 지역의 문화를 비교 연구, 이해하는 풍부한 내용을 담고 있다.

특히 반차도, 도설 등 행사모습을 묘사한 시각 콘텐츠는 오늘날의 영상자료처럼 당시의 모습을 입체적으로 생동감 있게 보여준다. 그중 정조의 능행도(陵幸圖)는 전 여정을 15.4m에 걸쳐 표현하고 있다. 이런 시각중심(visual-oriented)의 기록유산은 뛰어난 미술장인과 사관의 공동 작업을 통해서만 만들어질 수 있다는 점에서 독특한 성격을 지닌다.

의궤는 장기간에 걸쳐 조선왕조의 주요 의식을 방대한 양의 그림과 기록을 체계적으로 담고 있으며 이러한 유형은 동서양 전 세계적으로 유례를 찾아볼 수 없다는 점에서 매우 뛰어난 기록유산의 가치(outstanding value of documentary heritage)를 지니고 있다.

2. 동의보감(東醫寶鑑)
동의보감

동의보감 : 1613년(광해군 5) 허준 등이 왕명을 받아 편찬한 의학서적으로, 17세기 이전 동아시아의 의학지식과 기술을 집대성한 책(2009년 등재).

동의보감은 2009년 7월 31일 바베이도스에서 열린 제9차 유네스코 기록유산 국제자문위원회에서 세계기록유산으로 등재되었다. 한국적인 요소를 강하게 지닌 동시에, 일반 민중이 쉽게 사용 가능한 의학지식을 편찬한 세계 최초의 공중보건의서라는 점을 인정받았다.

전문가들은 동의보감이 질병 치료와 관련해 정신적·심리적 측면을 강조하는 동양의학의 ‘총체적 접근법’을 담고 있어, 단순한 기술적인 가치를 넘어 사회적·철학적 가치가 인정된다고 보았다. 또한 17세기 초의 초간본 동의보감이 이상적인 보존 상태를 유지한 점도 높이 평가했다.

『동의보감』은 1597년(선조 30) 어의(御醫) 허준(許浚, 1539∼1615)이 선조의 명을 받아 중국과 우리나라의 의학 서적을 모아 편집에 착수하여 1611년(광해군 3)에 완성하고, 1613년(광해군 5)에 목활자로 간행한 의학 서적이다. 총 25권 25책으로 구성되었다.

허준은 1574년(선조 7) 의과에 급제하여 이듬해 내의원의 의관이 되었다. 1592년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왕을 모시고 의주까지 피난을 갔으며, 그 공을 인정받아 공신으로 추대되었으나 중인 신분에 과하다는 신료들의 만류로 성사되지 못하였다.

『동의보감』은 허준이 관직에서 물러난 뒤 16년간의 연구 끝에 완성한 한의학의 백과사전이며, 허준은 이외에도 중국의 의학서적을 번역하는 데도 많은 업적을 남겼다.

『동의보감』은 모두 23편으로 내과학인 『내경편』, 『외형편』 4편, 유행병· 곽란·부인병·소아병 관계의 『자편』 11편, 『탕액편』 3편, 『침구편』 1편과 이외에 목록 2편으로 되어 있고, 각 병마다 처방을 설명하여 실용적 체계를 갖추었다. 우리 실정에 맞는 의서라 하여 『동의보감』이라 이름 하였으며, 훈련도감자본으로 간행되었다. 이 책은 현재까지 우리나라 최고의 한방의서로 중국과 일본에도 소개되어 세계적 가치를 인정받고 있다.

장서각에는 『동의보감』을 한글로 언해하여 필사한 책이 전한다. 『동의보감』의 「내경편(內景篇)」권1․3․5에 해당하는 3책만 남아 있다. 한글 궁체(宮體)로 흘려 쓴 현존 유일본이다. 궁중 여성들에게 읽히기 위해 한글로 옮긴 것으로 추정된다. 한글본 『동의보감』은 한자음만으로는 알기 힘든 자구에 작은 글씨로 한글 고유어 표기를 병기했기 때문에 한국어의 변천 과정을 추적하는 데도 의미가 있는 국어사 연구의 중요 자료이다.

3. 동학농민혁명기념물
동학농민혁명기념물

동학농민혁명기념물 : 1894~5년 민중이 부패한 지도층에 저항하고 외세의 침략에 반대하며 평등 하고 공정한 사회를 건설하기 위해 봉기한 동학농민혁명과 관련된 기록물(2023년 등재).

동학농민혁명기록물은 2023년 5월 24일 프랑스 파리에서 열린 제216차 유네스코 집행이사회에 서 세계기록유산으로 등재되었다. 민중이 역사의 주체가 되어 민주, 인권, 정의, 평등 등과 같은 인류의 보편적 진리를 달성하고 진전시키고자 했던 역사적 가치를 인정받은 것이다.

동학농민혁명은 1894년(고종 31) 전라도 고부의 동학 접주 전봉준(全琫準) 등과 농민을 중심으로 궐기한 반봉건·반외세 운동이다. 이 과정에서 동학농민군은 전라도 각 고을 관아에 치안과 행정 을 담당하는 민-관 협력 거버넌스 체제인 집강소를 설립하였고, 이를 통해 부패한 관리를 처벌하 고 부당한 관행을 바로잡고자 하였다. 이러한 형태의 거버넌스는 19세기 당시 전 세계에서 유사 한 사례를 찾기 힘든 민주주의의 새로운 실험으로, 한국이 민주주의 국가로 발전하는데 발판을 놓았으며, 외국의 반제국주의와 민족주의, 근대주의 운동에도 영향을 주었다.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으로 등재된 동학농민혁명기록물은 총 185건이다. 동학농민혁명군이 생산 한 문건으로 임명장이나 회고록 등이 30건이고, 동학농민혁명 관련 민간 기록물로서 동학혁명군 을 진압하려 한 이들의 기록물과 동학농민혁명을 견문한 기록물이 도합 33건이다. 그리고 조선 정부가 생산한 보고서와 공문서가 122건으로, 가장 많은 분량을 차지하고 있다.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에서 소장하고 있는 동학농민혁명기록물은 양호우선봉일기(兩湖右先鋒日 記)와 고성부총쇄록(固城府叢瑣錄)이다. 양호우선봉일기는 관군인 장위영(壯衛營)이 농민군을 진 압하는 과정에서 일어났던 일들을 일기체로 기록한 군영일기(軍營日記)이고, 고성부총쇄록은 오 횡묵(吳宖默)이 경상도 고성부사로 재임하면서 작성한 일록(日錄)으로, 당시 조선 조정과 관료층 이 동학농민혁명을 바라보는 시각과 인식을 확인할 수 있다.

TOP
전체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