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학 중점연구

  • 한국학 분야 중 연구성과를 집중 육성할 필요가 있는 중장기 기획연구과제 분야를 지원
  • 사업 적합성이 있는 과제를 선발하여 중장기 사업화
사업목적
  • 장서각 소장 자료 중 핵심적인 고전 자료의 탈초·역주를 통해 전근대 분야 연구의 지평을 넓힘
사업내용
지원대상
  • 원내외 한국학 분야 연구자
세부 사업내용
  • 본원 장서각 소장 자료의 가치와 특성을 최대한 활용한 고문서집성, 왕실한글자료, 군영자료 훈국등록 자료의 탈초, 역주 작업을 수행
  • 대상자료: 조선시대 각종 가문들의 고문서, 왕실 한글 자료, 훈국등록, 장서각 소장 일기 자료
기대효과
  •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소장자료의 탈초, 역주를 통한 고전자료의 대중적 확산에 기여함
사업목적
  • 한국학을 진흥하기 위하여 연구와 교육을 연계하는 새로운 방식을 통한 차세대 한국학 학자를 양성
사업내용
지원대상
  • 원내외 한국학 분야 연구자
세부 사업내용
  • 한국학 연구와 대학원 수업 중 연계가 가능한 과제를 지원
  • 한국학 대학원 수업의 일환으로 교수와 학생이 함께 연구 진행
기대효과
  • 한국학 대학원 수업과정에서 교수와 학생이 함께 연구 성과를 도출하여 차세대 한국학자 양성에 기여
사업목적
  • 장서각에 소장된 한글·언해 자료의 체계적 정리, 분류 작업을 통해 방대한 한글 기록물의 집대성을 추진
사업내용
지원대상
  • 원내외 한국학 분야 연구자
세부 사업내용
  • 장서각 낙선재본 고전소설의 탈초, 역주 및 현대어화 <양문충의록> (43권 43책) 연구 지원
  • 조선후기 도교 언해서 DB구축 연구 지원
기대효과
  • 한글·언해자료의 활용을 통하여 조선시대 지식기반과 문화를 이해하는데 기여
사업목적
  • 한국이 가진 역사적 문화적 자원에 대한 심층연구를 통해 한국사회의 지속가능한 발전 모델을 탐구
사업내용
지원대상
  • 원내외 한국학 분야 연구자
세부 사업내용
  • 조선시대 사회조직과 공동체의 운영원리 –호혜와 협동의 사례 탐구-연구 지원
  • 호혜와 협동의 이론적 기반 연구: 개념과 이론에 관한 심층 분석과 비판적 검토 연구 지원
  • 21세기 한국사회의 호혜와 협동의 연구 지원
기대효과
  • 사회발전의 토대인 협동, 신뢰, 호혜 등에 대한 학제간 연구를 통해 한국형 사회적 경제 모델의 문화적 기반 구축에 기여
TOP
전체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