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제강점기 이왕직 연구
  • 저자 이왕무·장신·신명호·김명수·정욱재·이욱
  • 발행일 2021-12-20
  • 판형 신국판
  • 쪽수 248쪽
  • ISBN 979-11-5866-673-6
  • 정가 15,000원
  • 분류 AKS총서  >  장서각 한국사 강의
    역사  >  한국사
  • 구입처 e-book 교보문고  

도서 소개

이왕직(李王職)은 일제강점기 역사의 산물이다. 1910년 8월 22일 대한제국과 일본의 합병조약이 체결되었다. 일본은 천황의 조서를 통해 황제 순종을 ‘이왕’으로, 고종을 ‘이태왕’으로, 황태자를 ‘왕세자’로 규정하고 일본의 황족에 준하는 왕족의 신분을 부여했다. 대한제국 황실이 일개 하나의 가문인 ‘이왕가(李王家)’로 격하된 것이다. 이왕직은 바로 이 이왕가를 관리하기 위해 설치된 조직으로, 일본의 궁내성(宮內省) 소속 기구였다. 이왕직은 이왕가의 구성원을 보좌하고, 재산을 관리하며, 제사를 비롯한 이왕가의 각종 의례 활동을 수행했다. 이왕직은 1945년 일제가 패망하는 시기까지 존속하였다.
장서각은 이왕직이 이왕가 관리를 하면서 인수받거나 수집 및 생산한 전적들을 보관하기 위해 공식적으로 운영하였다. 장서각은 초기에는 대한제국 황실의 전적들을 인수받아 보관하는 도서관으로 기능하다가, 왕족의 실록 및 보감 등을 편찬하는 역할도 하였다. 1981년 장서각 도서 전량이 한국학중앙연구원으로 옮겨졌다.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은 대한제국 황실의 유산이면서 일제강점기의 역사적 산물인 이왕가 및 이왕직 전적을 계승하고 있는 기념비적 공간이라고 할 수 있다.
  이 책은 먼저 장서각 연혁을 중심으로 장서각 이왕가 자료의 유래와 성격을 밝힌다. 이왕직의 직제와 인사, 문서 관리체계를 살피고 이왕직이 관리한 이왕가 재정과 이왕직이 궁내성과 공조하여 편찬한 왕족(王族)과 공족(公族)의 실록을 연구했다. 마지막으로, 고종의 국장 절차를 통해 이왕직이 조선왕실 상장례의 전통을 계승하면서 왕실 의례 구조가 왜곡되는 모습을 들여다보았다.

저자 소개

이왕무. 조선시대사 전공, 경기대학교 인문대학 사학과 교수. 「일제 강점기 李王職 연구: 조직 구성의 배경과 운영을 중심으로」(2021), 「1917년 창덕궁 大造殿 화재와 李王職의 역할」(2020), 「1910년대 조선 왕실 의례에 대한 宮內省의 李王家 舊制 조사」(2017) 등의 논저가 있다.

장신. 한국근대사 전공,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 인문학부 조교수. 『조선·동아일보의 탄생』(2021), 「이유립의 계연수 날조기」(2020), 「유교청년 이유립과 『환단고기』」(2018) 등의 논저가 있다.

신명호. 조선시대사 전공, 부경대학교 사학과 교수. 「일제강점기 이왕직의 문서관리」(2017), 「일제강점기 이왕가 재산의 구성과 관리: 기본재산을 중심으로」(2015), 「덕수궁(德壽宮) 찬시실(贊侍室) 편찬의 『日記』 자료를 통해 본 식민지시대 고종의 일상」(2010) 등의 논저가 있다.

김명수. 경제사 전공, 계명대학교 국제지역학부 부교수. 『近代朝鮮の境界を越えた人々』(공저, 2019), 『日本帝國の崩壊』(공저, 2017), 『일제강점기 군산의 미곡시장과 공설시장』(편역, 2020) 등의 논저가 있다.

정욱재. 한국근대사상사 전공, 독립기념관 연구위원. 「일제강점기 송주헌(宋柱憲)의 생애와 활동」(2020), 「초기 대종교의 역사인식과 ‘한국학’: 『단군교오대종지포명서』와 『대동고대사론』을 중심으로」(2019), 「대한 제국기 유림의 ‘국가’ 인식」(2018) 등의 논저가 있다.

이욱. 종교학 전공,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연구원. 『조선시대 국왕의 죽음과 상장례(喪葬禮): 애통·존숭·기억의 의례화』(2017), 「종묘의 공민왕 신당과 수복 연구: 일제강점기 『종묘일지』와 『대방하기』를 중심으로」(2021), 「대한제국의 성립과 명성황후 국장의 변화」(2018) 등의 논저가 있다.

목차

책머리에

장서각 이왕가 자료의 유래와 성격_이왕무
1. 머리말
2. 이왕가의 탄생과 장서각
3. 장서각 자료의 구성과 성격
4. 맺음말

이왕직의 직제와 인사_장신
1. 머리말
2. 직제와 사무분장
3. 직원 구성
4. 인사(人事)
5. 맺음말

이왕직의 문서생산과 기록관리_신명호
1. 머리말
2. 근대개혁과 궁내부
3. 이왕직의 문서생산
4. 이왕직의 기록관리
5. 맺음말

이왕가 재정의 구성과 개요_김명수
1. 머리말
2. 이왕가 재산의 구성
3. 이왕가 재정의 세입 구성
4. 이왕가 재정의 세출 구성
5. 추가 예산의 편성
6. 맺음말

왕공족실록의 체재와 특징_정욱재
1. 머리말
2. 왕공족실록의 편찬 배경과 아사미 린타로의 활동
3. 왕족실록과 실록자료의 체재 및 서술 특징
4. 공족실록과 실록자료의 체재와 특징
5. 맺음말

장서각 소장 자료로 본 고종 국장_이욱
1. 머리말
2. 고종의 국장 절차
3. 주감의 설치
4. 조선식 발인과 상여꾼
5. 맺음말

 

서평 및 출판사 리뷰

This book introduces the origin and operation of the Office of the Yi Dynasty, called Yiwangjik, and the organization and personnel of the office, the management system of documents, the royal assets and properties managed by the office, and the funeral ceremony of King Gojong, which was conducted by the office. 

 

Yiwangjik, the Office of the Yi Dynasty, was a product of the Japanese occupation era. When the Japan-Korea Annexation Treaty was signed on August 22, 1910, the Japanese emperor issued an edict that relegated Emperor Sunjong to King Yi, Emperor Gojong to Yi Taewang, and the Emperor’s Heir Apparent to the Crown Prince by demoting the imperial family of the Korean Empire to one of the royal families subservient to the Japanese Emperor. In short, the imperial family of the Joseon dynasty was degraded to the Yi clan of the royal blood that served the Japanese Emperor. Yiwangjik was established to manage this royal Yi clan, and the office belonged to the Japanese Imperial Household Agency. Yiwangjik served the members of the royal Yi clan, managed their assets and properties, and carried out the rites and ancestral worships of the royal family until the fall of the Japanese Empire in 1945.
Yiwangjik also operated Jangseogak, the Palace Library, to store and archive books that the office had collected or published while performing its duties. Yiwangjik initially used the Palace Library to store books from the royal family, but later on, the Palace Library, under the management of Yiwangjik, published the veritable records of the monarchs and books of the royal genealogy. 
Yiwangjik, the Office of the Yi Dynasty introduces background information on the books housed in the Palace Library, which are related to the Yiwangjik. The book explains the organization and the personnel of the office, the management system of documents, the royal assets and properties managed by the office, and the veritable records of the royal family and their relatives compiled together with the Japanese Imperial Household Agency. The book also explains, by examining the funeral ceremony of King Gojong, how the office inherited and at the same time misrepresented the royal funeral rites. 

독자리뷰 (0)

등록
일제강점기 이왕직 연구
TOP
전체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