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시대 제사승계의 법제와 현실
  • 저자 정긍식
  • 발행일 2021-07-30
  • 판형 신국판
  • 쪽수 212쪽
  • ISBN 979-11-5866-658-3
  • 정가 14,000원
  • 분류 AKS총서  >  장서각 한국사 강의
    역사  >  한국사
  • 구입처 교보문고  

도서 소개

제사와 그 승계는 조선시대 삶을 관통하는 핵심이다. 이 책은 부계가족 중심의 제사승계 법제가 수립, 적용, 확산되는 과정을 통시적으로 살펴보고, 가족 및 사회 질서 변화에 미친 영향을 분석한다.
먼저 제사에는 사후봉양과 가계계승의 의미가 있으며, 고대 종법에 기반을 둔 중국의 제사 관념이 두 가지 의미의 조화를 중시한 반면, 모계적 전통이 강한, 양측적 친족 구조를 지녔던 고려시대 이전 한국 사회의 제사에는 가계계승의 관념이 아직 싹트지 않았음을 밝힌다.
여말 선초 유교적 사회를 건설하고자 도입한 『주자가례』와 가묘제의 핵심은 가부장제 이념이다. 15세기에 『주자가례』를 모범으로 적장자 중심의 제사승계 법제가 정비되고 『경국대전』에 수렴되는 과정을 제향자와 봉사자 관련 규정으로 나누어 살펴보고, 장자승계의 원칙이 그대로 적용할 수 없는 예외적인 상황에서 생겨난 입후봉사, 형망제급, 총부법 등 제사승계의 구체적인 실태를 소개한다.
이어서 16~17세기 과도기를 거쳐 18세기 이후 제도적으로 정비된 제사승계 법제가 사회 전반으로 확산되는 과정을 역사 기록에 등장하는 다양한 사례를 통해 살펴본다. 사회 변화의 기반이 된 혼속이 솔서혼속에서 반친영례로 이행되는 과정, 예학의 발달‧심화로 4대봉사와 부계친 중심의 제사가 강화되면서 입후가 급속하게 증가하고, 종손 지위 획득을 둘러싼 분쟁이 발생하고, 여성이 차별을 넘어 직접적인 피해를 입게 된 사정도 들여다본다.
부계가족 중심의 제사승계는 역사적 과정을 거쳐 한국적 가부장제로 자리 잡았다. 일제강점기에 이 제도와 관습은 ‘전통’으로 인식되었고, 이 전통은 1958년에 제정되어 1960년부터 시행된 민법의 ‘가’와 ‘호주상속’에 정착되었다. 몇 차례 개정으로 가부장제적 성격은 완화되었지만 제도의 본질은 여전하였고, 결국 2008년 호주제 폐지로 제사승계와 가계계승은 법적인 근거를 잃었다. 조상제사를 전통으로 믿는 세대와 형식화를 비난하는 세대 간의 갈등, 남계 위주의 제사 계승을 둘러싼 남녀 갈등으로 인해 조상제사는 현실적으로도 존폐의 갈림길에 놓였다.
제사는 돌아가신 부모와 조부모 등 조상을 추모하는 의례이다. 역사적 흔적이 어떤 그림으로 남아 있든 제사는 그 본연의 의미로 인해 영속적인 성격을 갖는다. 이 책이 오늘을 사는 개개인의 주체성을 존중하고 사회 민주화에 부합하는 가장 적합한 의례와 제도를 찾아나가는 데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 

 

교수신문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신간 『조선시대 제사승계의 법제와 현실』 발간"

위클리오늘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신간 '조선시대 제사승계의 법제와 현실' 발간"

저자 소개

정긍식  서울대학교 법과대학을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한국법제연구원을 거쳐서 서울대학교 법과대학 교수로 재직하면서 역사적 맥락에서 법을 연구하며 가르치고 있다. 가족제도의 연구에서 출발하여 소송, 법원사 등으로 범위를 확대하였으며, 일제강점기 이후 법의 변천과 역할에도 관심을 가지고 있다. 전통시대 법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을 극복하고 법을 통해 당대인의 삶을 찾으려는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대표 논저로는 『한국 가계계승법제의 역사적 탐구』, 『조선의 법치주의 탐구』 등의 저서와 『국역 묵재일기』, 『역주 경국대전주해』, 『잊혀진 법학자 신번: 역주 대전사송유취』 등의 공역서가 있으며, 「조선후기 刑曹受敎와 입법경향」, 「조선민사령과 한국 근대 민사법」 등의 논문이 있다.
 

목차

책머리에
1장 서론
2장 제사의 의의
3장 제사승계 법제의 수용
4장 제사승계 법제의 확립
5장 종법적 제사승계의 확산
6장 결론
참고문헌
찾아보기
 

서평 및 출판사 리뷰

This book introduces the historical moment when the legal system for the succession of ancestral worship in accordance to Confucian beliefs was first implemented, which resulted in the transformation of Joseon society under the patriarchal system. The book follows the process from when the legal system was first initiated to when it became adapted and widespread, as well as its influence on family and social order and changes of the time.

 

During the Goryeo dynasty, when people equally valued their paternal and maternal lineages, there was no convention of designating a person to conduct the family ancestral worship. Zhu Xi’s Family Rituals and the idea of the family shrine was introduced in the late Goryeo dynasty, which necessitated the legal designation of the oldest son as the male heir responsible for the family ancestral worship. The book examines how the foundation for this legal system was laid out in the 15th century and explains the compilation process of the 《Great Code for Administering the Country》 (Gyeongguk Daejeon) by looking into the division between the worthies who were worshipped and the ones who were responsible for conducting the worship ceremonies. The book also introduces in detail cases where a male heir could not be designated to serve the family rites. For example, a family without a son was allowed to adopt a boy as their male successor; the lateral inheritance allowed the second son of the family to succeed and serve the family rites when the first son of a family died without leaving behind a male heir; and when a married male heir died, his wife carried out the rites in his place. 
The book examines how this legal system became widespread in the 18th century by studying actual historical cases during the 16th and 17th centuries. The book also delves into how the marriage tradition of living with one’s son-in-law as a way of gaining more labor force for the family gave way to holding a wedding at the bride’s house and having the bridegroom live at his wife’s house to function as the male heir. 
With an intensified emphasis on the study of ritual, ancestral worship became strictly limited to the paternal lineage of a family, which led to the rapid increase of adopting boys, conflicts over the designation of a male heir, and discrimination against women.  In the book, the writer states, “A legal system and traditional customs were begotten in order to solve the pressing problems of the time and thereby bringing more prosperity and freedom to people; when system and customs become outdated, they become a means of oppression and incite a new system or custom to be born.” The legal system for the succession of ancestral worship—one of the key systems that maintained the patriarchal order in Korean society—ran its course, and with the abolishment in 2008 of the family registry system with a male family head, called the hoju system, the succession system lost its legal status. However, the residual practice of ancestral worship has instigated conflict between the older generation, which still believes in the practice, and the younger generation, which criticizes the practice’s emphasis on formality, as well as conflict between genders over the issue.
In the book, the writer suggests that the ancestral worship succession implemented during the early Joseon dynasty be a possible alternative for Koreans in the 21st century. During the early Joseon dynasty, the emphasis was on respect and love for parents, sons, daughters, and grandchildren regardless of their paternal or maternal ties, and taking turns for the responsibility of ancestral worship—the very picture of democracy in practice. The writer points to the practice of this time in order to rediscover the true meaning of ancestral worship, which has been overshadowed by formality and conventions, and to bring back the true rite of remembering one’s parents and ancestors. 

독자리뷰 (0)

등록
조선시대 제사승계의 법제와 현실
TOP
전체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