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영 밖으로 달아난 한양 수비군
  • 저자 윤진영·정해은·원창애·정정남·유승희·백영빈·문광균·노영구·김일권·문인식
  • 발행일 2019-12-30
  • 판형 46판
  • 쪽수 292쪽
  • ISBN 979-11-5866-594-4
  • 정가 16,000원
  • 분류 AKS총서  >  고전탐독

도서 소개

조선 후기 한양 도성의 방위를 담당했던 훈련도감, 어영청, 금위영 등의 군영에서 작성한 군영등록은 17세기 초부터 19세기 말까지 약 3백년에 걸쳐 기록되어, 현재까지 89종 689책의 방대한 분량이 남아 있다. 군영등록은 각 군영의 업무 과정에서 생성된 기록으로, 군영의 일지, 규정, 왕의 거둥 수행, 성역(城役) 감독, 군사 훈련, 재정, 공문 모음, 민원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조선왕조실록』이나 『승정원일기』와 같은 관찬 자료에서는 찾아보기 어려운 내용이 담겨 있어서 사료적 가치가 매우 큰 자료이다. 이 책은 규모가 가장 큰 군영인 훈련도감의 기록인 『훈국등록(訓局謄錄)』의 내용을 10개의 주제로 엮어 소개한다. 군병의 충원과 신분의 변화, 상설 군영으로의 변모, 도망병의 발생, 주거 문제, 신고식 관행, 세곡 운송 시스템, 군사 훈련과 깃발의 상징, 도성 축성에 참여한 군병 등 훈련도감의 이모저모를 보여주는 내용이다. 조선 후기 군영을 배경으로 한 생생한 삶의 모습을 전하고자 한다.

저자 소개

윤진영
한국학중앙연구원 책임연구원, 한국미술사 전공. 『조선왕실의 태봉도』, 『조선시대의 삶, 풍속화로 만나다』 등.

정해은
한국학중앙연구원 책임연구원, 조선시대사 전공. 『한국 전통 병서의 이해(1, 2)』, 『신사임당전-역사 속 신사임당, 그녀는 누구인가』 등.

원창애
경상대학교 경남문화연구원 연구교수, 조선시대사 전공. 『조선왕실 계보와 구성원』, 「조극선 일기를 통해본 17세기 과거 실태」 등.

정정남
건축문헌고고스튜디오 대표, 건축역사 전공. 『영건의궤-의궤에 기록된 조선시대 건축』(공저), 『조선후기 중앙군영과 한양의 문화』(공저) 등.

유승희
연세대학교 법학연구원 연구교수, 조선후기 사회사 전공. 「조선후기 한성부 무주택자의 거주양상과 특징」, 「조선후기 京江 지역 실태와 江民의 특성」 등.

백영빈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연구원, 유교철학 전공. 『경종왕세자 가례등록』(공역), 『예안 광산김씨 오천 고문서 역주』(공역) 등.

문광균
충청남도역사문화연구원 선임연구원, 한국사 전공. 『조선후기 경상도 재정 연구』, 「반계 유형원의 조운제도 개혁론」 등.

노영구
국방대학교 군사전략학과 교수, 조선시대 군사사 전공. 『조선후기의 전술』, 『조선후기 도성방어체계와 경기도』 등.

김일권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 교수, 민속학 전공. 『우리 역사의 하늘과 별자리』, 『우리 별자리 설화 사전-조선시대 문집류 편』(공저) 등.

문인식
서울특별시청 경제정책실 4급 과장, 건축공학 전공. 「한양도성의 각자성석에 대한 종합적 고찰」 등

목차

책머리에
1. 누가 훈련도감 군사가 되었나 / 정해은
2. 훈련도감 군병의 신분 상승 / 원창애
3. 임시 기구에서 상설 군영으로 / 정정남
4. 군영 밖으로 달아난 군병들 / 윤진영
5. 조선 군인의 주거 대책 / 유승희
6. 신참 무예별감은 왜 죽음을 선택했나 / 백영빈
7. 육군부대 훈련도감이 배를 띄운 이유 / 문광균
8. 조선의 군사훈련, 열무 / 노영구
9. 천문과 신화, 28수 별자리 깃발 / 김일권
10. 한양 도성 축성의 현장으로 / 문인식

서평 및 출판사 리뷰

This book introduces the records of the Military Training Division which was responsible for defending the capital city as well as guarding the royal family during the late Joseon dynasty; the book includes the organization of the division, their chief responsibilities and military culture, and the everyday life of soldiers. 

 

During the late Joseon dynasty, three army garrisons—the Military Training Division, the Royal Guards Division, and the Palace Defense Division—were responsible for defending Hanyang, the capital city, and there are 89 categories of the military records in 689 volumes in total, which were left behind by these garrisons for the duration of three hundred years from the early 17th to the late 19th century. The records include the regulations and the daily logs of the garrisons, royal processions and excursions, fortress construction records, soldiers’ training records, financial records, official documents, and filed complaints. They are important and rare historical records because they are usually not included in the 《Veritable Records of the Joseon Dynasty or the Diaries of Royal Secretariat》. The book introduces the records of the Military Training Division from the collection called Hunguk Deungrok (“Hunguk” was another name for the Military Training Division, and “deungrok” means records), including the division’s records of recruits, the change in status of soldiers, the transformation of the garrison as a temporary organization to a permanent one, the number of deserters and their punishments, the residence problem of soldiers, customary initiation rituals, the transportation system of grain, the training for soldiers, the symbolic meanings of military flags, and the construction of city fortress. The book does an excellent job conveying the sense of the daily life of soldiers guarding the capital city in the late Joseon dynasty. 
 

독자리뷰 (0)

등록
군영 밖으로 달아난 한양 수비군
TOP
전체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