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곡학파의 형성과 전개
  • 저자 이남옥
  • 발행일 2024-11-29
  • 판형 신국판
  • 쪽수 280쪽
  • ISBN 979-11-5866-763-4, 94910
  • 정가 16,000원
  • 분류 AKS총서  >  인문총서
    역사  >  한국사
  • 구입처 교보문고 예스24  

도서 소개

정제두는 주자학이 주류를 이룬 조선 후기에 양명학을 연구한 인물로 자주 언급된다. 그러나 정제두의 학문은 양명학만으로 논하기에는 복잡하게 이루어져 있다. 정확하게는 그는 명도학을 바탕으로 주자학과 양명학을 아울러 자신만의 학문체계를 완성했다. 여러 사상을 포괄하고 있는 정제두의 학문은 그의 문인들로 이어지며 다양한 방식으로 전개된다. 특정 가계를 중심으로 강화, 광주, 진천으로 뻗어나갔고, 주자학・양명학・명도학의 폭넓은 기반 위에 각자의 방식으로 정제두의 학문을 이해하고 계승・변용해나갔다. 이 책은 정제두와 그를 따르는 일군의 학자들을 다른 용어로 칭한다. 저자는 정제두의 호 ‘하곡’을 따라 이들을 ‘하곡학파’로 재정의하고, 18세기부터 20세기 초에 이르기까지 시대적 요구에 맞게 하곡학파가 어떻게 모습을 달리하며 전개되었는지를 추적한다. 이를 통해 주자학만이 정통으로 인정되던 조선 후기에 다양성과 포용성, 시대 변화에 대한 유연성을 갖추고 끊임없이 변화해나갔던 하곡학파의 의미를 새롭게 재조명한다.
 

저자 소개

이남옥. 한국국학진흥원 책임연구위원. 한국전통문화대학교 문화재관리학과를 졸업하고,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에서 석사・박사학위를 받았다.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한국전통문화대학교 교양학과, 김천대학교 교양학과 등을 거쳐 현재는 한국국학진흥원에서 사상사를 중심으로 조선시대 정치, 문화, 인물, 문헌 등에 대해 다양하게 연구하고 있다. 대표 논저로는 『도산서원』(공저), 『노강서원・화양서원』(공저,), 「하곡 정제두의 관력과 산림직 역임의 의미」 등이 있다.
 

목차

서언 하곡학파 연구의 현황

 

1장 하곡 정제두의 생애와 학문
1. 정제두의 학문 형성 배경
2. 하곡학의 탄생, 박세채・민이승・최석정・박심과의 논변
3. 정제두의 경세 활동과 죽음

 

2장 하곡학파의 형성과 분기
1. 정제두의 문인들
2. 전기 문인의 하곡학 계승
3. 후기 문인의 하곡학 계승

 

3장 하곡학파의 지역적 확산
1. 하곡학파의 주요 가문들
2. 하곡학파의 세 거점, 강화・광주・진천

 

4장 하곡학의 계승과 변용
1. 하곡학의 계승: 심육과 이광신의 사례
2. 하곡학의 분화: 이영익과 이충익의 『대학』・『상서』 논의
3. 하곡학의 변용: 신작과 정약용의 경학 논쟁

 

5장 하곡학파의 재결집과 해체
1. 하곡학파 후예들의 정제두 양명학 연구서 강학
2. 일제강점기 간도 이주와 새로운 학문 터전의 마련
3. 정인보의 양명학적 재해석과 하곡학의 해체

 

결언 하곡학파 연구의 과제

서평 및 출판사 리뷰

TITLE & AUTHOR

독자리뷰 (0)

등록
하곡학파의 형성과 전개
TOP
전체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