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위 윤보선(尹潽善, 1897~1990)은 대한민국 제4대 대통령으로, 1962년 대통령직을 내려놓고 난 뒤에도 한국 현대사의 각 시기마다 일정한 역할을 해온 인물이다. 이 책은 그가 정당 정치를 떠나 재야에서 민주화운동을 했던 1970년대를 중심으로, 그의 활동과 사상, 나아가 당대 한국 정치를 살폈다. 먼저 ‘제1부 1970년대 민주화운동과 유신체제’에서는 유신 반대 민주화운동에 대한 재평가를 중심으로, 윤보선의 인권의식과 국가관, 당시 민주화운동에서 배우자 공덕귀 여사의 역할, 유신헌법 반대의 정치사적 의미, 유신시대 정당과 선거의 현재적 의미, 한미관계와 유신체제 붕괴 등을 다루었다. ‘제2부 민청학련 항쟁 재조명’에서는 1974년 일어난 민청학련(전국민주청년학생총연맹) 사건을 집중조명하면서 그 전개 과정과 역사적 의의, 재야 민주화운동세력의 형성 과정, 민주화운동 과정에서 기독교계의 역할을 다루었다. 마지막 부록에서는 1970년대 민주화운동 전개가 유신체제 붕괴로 이어지던 당시의 상황을 회고 형식으로 정리했다.
1970년대는 한국 현대사에서 중요한 전환기였다. 대외적으로는, 미국이 한국전쟁 당시 적국이었던 중국과 데탕트(détente; 긴장 완화)를 추구하면서 안보 환경이 급변했다. 박정희 정권은 미국의 방기(disengagement)에 대비하여 군수산업화를 급속히 추진하고, 핵무장을 포함한 자주국방을 추구했다. 한미관계는 밀월관계에서 긴장관계로 변했다. 국내적으로는, 먼저 1960년대부터 시작한 수출 주도 산업화가 한국사회를 자본주의 세계 체제에 깊이 편입시키는 한편, 전태일 분신으로 대표되는 노동 문제를 야기했다. 또한 박정희 정권이 유신 체제를 수립함으로써 민주주의 위기를 초래했다. 이는 국내외 민주세력의 결집과 항쟁을 결과했고, 마침내 유신체제의 몰락으로 이어졌다.
이 책 『윤보선과 1970년대 한국정치』는 한국의 민주화와 산업화가 시작하고 본격화한 1950·1960년대 윤보선의 활동과 정치역사적 의미를 조명한『윤보선과 1950년대 한국정치』, 『윤보선과 1960년대 한국정치』의 연장선에서 발간했다. 격동의 한국사를 통과한 윤보선을 조명한 이 세 권의 책은 한 정치인의 공과(功過)는 물론 당대 한국정치 문제를 총체적으로 이해하게끔 한다.
김정회. 한국교회사 전공, 한국교회학연구소 책임연구원. 『송암 함태영』, 『한국기독교의 민주주의 이행연구』 등.
김명구. 한국교회사 전공, 월남시민문화연구소장. 『공덕귀: 생애와 사상』, 『한국기독교사』 1·2 등.
서희경. 한국정치사 전공, 서울대학교 한국정치연구소 책임연구원. 『87년 체제의 한국헌정사, 1987~2017』, 『한국헌정사, 1948~1987』 등.
윤왕희. 정치학 전공, 서울대학교 한국정치연구소 선임연구원. 「지역정당과 주민자치의 접합에 관한 일고찰」, 「제21대 총선의 비례대표 후보자 공천에 관한 연구」 등.
정일준. 국제관계의 역사사회학, 사회사상 전공, 고려대학교 사회학과 교수. 『한국의 민주주의와 한미관계』(공저), 『한국 공공사회학의 전망』(공저) 등.
안병욱. 한국사 전공, 전 한국학중앙연구원 원장. 「한국 민주주의의 성찰과 전망」, 「한국 민주화운동에 대한 평가와 인식의 전환을 위하여」 등.
황병주. 한국현대사 전공, 국사편찬위원회 편사연구관. 『4월혁명의 주체들』(공저), 『1970 박정희 모더니즘』(공저) 등.
손승호. 신학(교회사) 전공, 명지대학교 객원교수. 『유신체제와 한국기독교 인권운동』, 「한국정치사의 주요국면에 대한 『한국기독공보』 보도 행태」 등.
김정남. 전 청와대 교육문화사회수석비서관. 『이 사람을 보라』 전2권, 『진실, 광장에 서다』 등.
제1부 1970년대 민주화운동과 유신체제
1장 윤보선의 인권의식과 신부적(神賦的) 국가관_김정회
1. 서론
2. 유신체제와 윤보선의 저항
3. 윤보선의 인권의식
4. 윤보선의 신부적 국가관
5. 결론: 신부적 국가관의 의미
2장 민주화운동에서 공덕귀의 역할_김명구
1. 서론
2. 공덕귀 저항의 시대 상황
3. 공덕귀의 구속자가족협의회 회장 활동: 인권과 민주화의 문제
4. 공덕귀와 세계 기독교계
5. 공덕귀의 사상
6. 결론
3장 유신헌법 작성과 유신헌법 반대운동_서희경
1. 서론
2. 1972년 유신헌법의 정치적 배경
3. 10월 유신과 유신헌법 마련
4. 유신헌법 반대운동과 긴급조치
5. 1978년 12·12총선과 유신체제 붕괴
6. 결론: 유신헌법 반대의 헌정사적 의미
4장 유신체제의 정당과 선거_윤왕희
1. 서론
2. 기존 연구와 새로운 시각
3. 유신의 탈정치적·반정당적 유산
4. 유신체제의 정당
5. 1978년 제10대 총선과 유신체제 붕괴
6. 결론: 유신체제의 현재적 의미
5장 한미관계 변동과 유신체제의 붕괴_정일준
1. 서론: 한미관계에서 권력은 어떻게 작동하는가
2. 유신체제 붕괴 연구의 쟁점
3. 권력과 유신체제: 한미관계의 권력분석학
4. 유신체제와 한미갈등의 전개: 내정간섭인가, 국제규범인가
5. 결론: 권력관계로 본 10·26사건
제2부 민청학련 항쟁 재조명
6장 민청학련 항쟁의 전개와 역사적 의의_안병욱
1. 서론
2. 민청학련의 출범
3. 유신독재체제와 계엄통치
4. 국가 폭력에 의한 고문 학살
5. 결론: 민청학련 항쟁의 의의
7장 민청학련 사건과 재야 민주화운동세력의 형성_황병주
1. 서론
2. 유신체제 성립과 민청학련 사건
3. 재야 민주화운동세력의 형성: 윤보선을 중심으로
4. 결론: 재야 민주화운동에서 민청학련 사건의 의의
8장 한국기독교와 민청학련 사건_손승호
1. 서론
2. 민청학련 조직과 기독교의 참여
3. 사건화 이후 기독교의 대응
4. 결론: 기독교 민주화운동에서 민청학련 사건의 의의
부록
회고, 1970년대 민주화운동과 유신체제의 붕괴_김정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