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은 주자학의 나라, 양반의 세상이었다. 주자학으로 무장한 양반들은 법과 제도 다양한 윤리 규범을 통해 자기들 외부를 통제하려 했고 그 통제의 수위가 높을수록 유교적 이상 사회에 근접하는 것이라 믿었다. 양반과 평민, 노비와 상전, 유교와 불교, 남자와 여자, 적자와 서자, 정통과 이단, 호론과 낙론, 동양과 서양, 중화와 야만 등 무수한 관계의 불평등을 배태한 조선 유학은, 역으로 이들을 하나로 아우를 상생과 화합의 가치를 모색하지 않을 수 없었다.
이 책은 우리 역사에서 가장 차별이 가장 심했던 조선이라는 상극의 무대에 선 조선 유학자의 타자 인식, 대립과 갈등의 관계, 논쟁과 교유의 양상을 들여다본다. 역사학·철학·문학·종교학·사회학·지리학·복식학 등 다양한 분야의 연구자들이 각자의 영역에서 탐색한 조선시대 관계의 문화사는 유불 간 사제관계, 충노와 충비의 신화와 그 배경, 시인이 된 노비, 노장학에 몰두한 유학자, 가족과 마을 공동체의 소통 원리 등 차이와 금기를 극복하고 공존과 협력의 가능성을 보여준 우리 역사 이야기다.
김학수.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 부교수, 조선시대사 전공. 『한강학의 형성과 지식문화적 공간의 확장』(2023), 『백곡 정곤수』(2023) 등
조현범.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 교수, 종교학 전공. 「19세기 한국 천주교 문헌 『주년첨례광익』 연구」(2023), 「다블뤼 주교의 교회사 기록에 나타난 성호학파 문인들의 행적」(2022) 등
정수환. 한국학중앙연구원 수석연구원, 조선시대사 전공. 『한국 농촌개발과 국제개발』(2022), 『조선후기 화폐유통과 경제생활』(2013) 등
안대회. 성균관대학교 한문학과 교수, 한국한문학 전공. 『한국 시화사』(2024), 『담바고 문화사』(2015) 등
신상후.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 조교수, 동양철학 전공. 「간재(艮齋) 기질체청설(氣質體淸說)의 계승과 발전: 후창(後滄) 김택술(金澤述)의 심성론(心性論)을 중심으로」(2023), 「호락논쟁을 통한 낙론계 심론의 전개: 노주(老洲)·매산(梅山)에서 간재(艮齋)로의 전개를 중심으로」(2022) 등
한형조.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 교수, 철학 전공. 『성학십도, 자기 구원의 가이드맵』(2018), 『조선 유학의 거장들』(2008) 등
김봉좌. 성신여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연구교수, 문헌학 전공. 『물명고 역해(1~15)』(공저, 2023), 「가례언해 판본의 특징과 저본 연구」(2024) 등
한도현.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 교수, 사회학 전공. 『500년 공동체를 움직인 유교의 힘』(공저, 2013), 『지역결사체와 시민공동체』(공저, 2007) 등
정치영.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 교수, 역사지리학 전공. 『근대 일본인의 서울·평양·부산 관광』(2023), 『지리지를 이용한 조선시대 지역지리의 복원』(2021) 등
신정수.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 부교수, 한문학 전공. 「三生石 고사의 문학적 수용 양상 연구: 19세기 한중 문인 교류를 중심으로」(2021), 「黃山 金逌根의 硏山圖와 관련 題畫詩 연구」(2020) 등
이민주. 한국학중앙연구원 전통한국연구소 중견연구원, 한국복식사 전공. 『조선사람들의 차림새, 멋내기로 통하다』(2023), 『조선시대 제주와 제주문화』(공저, 2023) 등
이남옥. 한국국학진흥원 책임연구위원, 조선시대사 전공. 「한말 지식인 이두훈의 교유관계와 시대인식」(2023), 「하곡학파의 지역적 전개와 사상사적 의미」(2021) 등
총론
조극선의 일기를 통해 본 17세기 유불의 길항적 공생_김학수
서양 선교사의 조선 인식과 타자성_조현범
조선 후기 노비와 상전 관계의 호혜성_정수환
신분을 초월한 양반과 노비의 시적 대화_안대회
조선 후기 호론과 낙론의 논쟁과 교유_신상후
서계 박세당의 『사변록』과 이단관-새로운 사고의 지평과 대화_한형조
한글로 소통한 사대부의 가정생활-16~17세기 한글 편지를 중심으로_김봉좌
이일분수(理一分殊)의 사회학, 불가능한 꿈의 오디세이_한도현
조선시대 유학자들의 산에 대한 색다른 시선-지리산과 청량산_정치영
무장사비 서체에 대한 한중 문인들의 견해 차이_신정수
조선 유학자의 심의에 대한 비판적 해석_이민주
해방 전후 정인보의 교유 관계_이남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