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행사(개최결과) 상세: 행사명, 종류, 기간, 장소, 주관부서, 첨부파일, 내용으로 구성
행사명 제194회 해외한국학 콜로키움
종류 학술활동/강좌 기간 2025-09-25 ~ 2025-09-25
장소 한국학중앙연구원 주관부서 국제교류처
첨부파일

한국학중앙연구원 국제교류처 해외한국학지원실은 2025년 9월 25일(목) 문형관 대회의실에서 ‘제194회 해외한국학 콜로키움’을 개최하였다. 이번 콜로키움에서는 2025년도 한국학중앙연구원 펠로십 연구자들이 그동안의 연구 성과를 발표하고 학문적 교류의 장을 마련하였다.

 

브노와 밸터리에(Benoit Berthelier) 시드니대학교 교수는 “이데올로기를 넘어서: 북한의 과학 담론과 테크노크라트의 권력”이라는 주제로, 북한의 과학자와 기술 전문가들이 국가 정책 전반에 미친 영향과 정당성 구축 과정을 조명하며, 북한 정치권력 구조를 새롭게 해석할 수 있는 시각을 제시했다. 기존 북한 연구가 주로 정치 지도자의 카리스마적 권위에 집중해 온 반면, 이번 발표는 ‘테크노크라트 권력’이라는 새로운 분석 틀을 통해 북한 정치 구조에 대한 더 다양한 이해를 가능하게 했다.

 

버블스 베벌리 아소르(Bubbles Beverly Asor) 데라살대학교 교수는 “이주민 돌봄, 그 이상?: 한국 사회 이주민 통합에서 유용 가능한 종교 조직의 역할”이라는 주제로 발표를 이어갔다. 그는 필리핀 이주민 공동체 연구를 토대로, 가톨릭교회가 단순한 종교적 기능을 넘어 복지 제공, 돌봄 네트워크 형성, 공동체 구축 등 이주민 통합 과정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하고 있음을 분석하였다. 특히 제임스 콜먼의 ‘유용 가능한 사회 조직’ 개념을 적용해, 가톨릭교회가 한국 사회 내 이주민 통합의 장에서 어떻게 재구성되고 활용되는지를 심도 있게 논의하였다.

 

이번 콜로키움에는 많은 연구자와 대학원생들이 참석하여 발표 주제에 대해 활발히 의견을 교환하였다. 국제교류처 해외한국학지원실은 앞으로도 국내외 연구자들이 학문적 성과를 공유하고 교류할 수 있는 자리를 꾸준히 마련할 예정이다.

이전글/다음글: 다음글, 이전글로 구성
다음글 제105회 소키에타스 코리아나 강연회
이전글 2025년 장서각 기획전 '왕의 어머니가 된 일곱 후궁' 개막식
TOP
전체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