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안국·김정국 학맥과 조선 성리학 URL 공유
  • 저자 정재훈·옥영정·강문식·권오영·최영성
  • 발행일 2025-07-30
  • 판형 신국판
  • 쪽수 260쪽
  • ISBN 979-11-5866-804-4, 94910
  • 정가 16,000원
  • 분류 AKS총서  >  인문총서
    역사  >  한국사

도서 소개

온건한 실용주의자 김안국, 강경한 이상주의자 김정국: 조선 전기 사림파의 두 기둥
조선 전기의 성리학자 김안국(金安國, 1478~1543)은 1498년(연산군 4) 과거 급제 후 중종 대 요직을 두루 거치며 정치적 격변 속에서도 온건하고 현실적인 노선으로 정치를 지속했다. 그는 정몽주와 길재의 절의를 잇고 사림파가 추구한 주자학 기반의 도덕적 정치와 학문적 노선을 계승한 인물로, 성리학 원리에 충실하면서도 실무적인 해석과 실천 윤리를 강조했다. 특히 학문 진흥과 인재 양성에 힘쓰고 부정부패 척결에 앞장서며 사림 세력 확립의 기반을 닦아, 이황 등 후대 학자들에게 간접적으로 영향을 주었다. 김안국의 동생이자 문인이었던 김정국(金正國, 1485~1541)은 1510년(중종 5) 문과 급제 후 홍문관, 예문관, 사헌부 등을 거쳤다. 그는 주자학의 이기론과 도덕 정치 실현을 중시하며, 사림의 도의명분론을 강화하고 정치 참여의 당위성을 강조했다. 기묘사화(己卯士禍) 이전에는 조광조와 함께 도학 정치를 추진하며 부정부패를 척결했고, 사화 이후에는 낙향하여 학문 연구와 제자 교육에 전념했다. 그는 사림파 정치 이념 확립에 크게 기여했으며 후대에 도의와 절조의 상징으로 기억된다. 온건하고 실무적인 노선으로 중앙 정계에서 장기간 활동한 김안국과, 강경하고 개혁적인 성향으로 사림 정치 이념을 강화한 김정국은 조선 전기 사림파의 성장과 정치적 기반 확립에 기여했다. 

 

조선 초기 성리학의 발전을 이끈 두 형제, 후대로 이어진 그들의 뜻
이 책은 당파 싸움과 피비린내 나는 사화의 격랑 속에서, 학문과 정치의 접점을 찾으며 성리학을 백성의 삶과 국가 운영에 뿌리내리려 했던 김안국과 김정국의 학문적 업적과 영향에 주목한다. 지금까지 16세기 조선 성리학 연구는 주로 이황과 이이에 집중되어 왔고, 그들에게 사상적 토대를 제공한 선구자들의 이야기는 상대적으로 덜 조명되었다. 이제 형이상학 중심의 기존 연구에서 벗어나, 암울한 시대에도 이상을 향한 실천을 멈추지 않았던 김안국과 김정국의 지적 여정과 학문적 유산을 추적한다. 김안국은 『정속언해』로 유교 이념을 널리 보급했으며 『이륜행실도』로는 윤리적 삶의 본보기를 제시했고, 김정국은 『성리대전서절요』로 올바른 국정 운영의 원칙과 방향을 제시했다. 두 사람은 책상 앞의 이론가가 아니라 조선사회의 한복판을 가로지르며 개혁을 실천한 지식인이었다. 그들의 뜻은 제자와 후학에게도 이어졌다. 유희춘은 『주자대전』, 『주자어류』 등 주자학 핵심 문헌을 정리·보급해 조선 성리학의 사상적 절정기에 기여했고, 정지운과 김인후는 각각 ‘경(敬)’과 ‘성(誠)’을 중심으로 천명(天命)을 해석하며 성리학의 사상 지형을 확장했다. 이처럼 김안국·김정국과 그 문인들은 성리학의 탐구와 실천을 통해 이상적인 유교사회의 구현을 꿈꾸었으며, 그들의 업적은 조선 성리학을 완성기로 이끌었다. 사화의 위협 속에서도 꺾이지 않았던 김안국, 김정국의 지적 여정과 학맥을 따라가면, 성리학을 현실 문제에 적용하고 해법을 모색한 구체적 실천이 드러난다. 이를 통해 조선 성리학의 전개 과정을 새로운 시각과 통찰로 그려낼 수 있다. 암울한 시대에도 이상을 향한 실천을 멈추지 않았던 그들의 삶은 분명 현대인과도 공명하는 지점이 있다. 한국 철학사와 조선 지성사의 이해를 넓히는 동시에, ‘앎과 삶의 일치’를 향한 길을 다시 묻는 책이다.
 

저자 소개

정재훈. 조선시대사 전공, 경북대학교 사학과 교수
옥영정. 고문헌관리학 전공,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 인문학부 교수
강문식. 조선시대사 전공, 숭실대학교 사학과 조교수
권오영. 조선시대사 전공,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 인문학부 교수
최영성. 한국철학 전공, 한국전통문화대학교 무형유산학과 교수
 

목차

김안국의 학문과 사상_정재훈
1. 머리말
2. 김안국의 학문
3. 김안국의 사상
4. 맺음말

 

김안국의 서적 편찬과 출판 활동_옥영정
1. 머리말
2. 16세기 전기 유교서 간행과 김안국의 활동 
3. 주요서적의 현전본과 서지적 검토
4. 맺음말

 

김정국의 성리서 편찬과 특징: 『성리대전서절요』를 중심으로_강문식
1. 머리말
2. 조선 초기 『성리대전』 이해의 추이 
3. 『성리대전서절요』의 체재와 내용 
4. 『성리대전서절요』의 성격과 특징 
5. 맺음말 

 

유희춘의 사상과 성리서류 편찬_권오영
1. 머리말 
2. 가문과 학통 
3. 주자인식과 이학사상 
4. 성리서류의 편찬 
5. 맺음말 

 

두 「천명도(天命圖)」의 제작 배경과 김안국·김정국_최영성
1. 머리말
2. 두 「천명도」의 역사적 위상 
3. 「천명도」 출현까지 도설류 저술의 전통 
4. 김안국·김정국의 학문 경향과 성리학 
5. 정지운의 학문과 「천명도」
6. 김인후의 학문과 유학사상의 위상 
7. 맺음말 

서평 및 출판사 리뷰

TITLE & AUTHOR

독자리뷰 (0)

등록
김안국·김정국 학맥과 조선 성리학
TOP
전체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