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의기문록(經義記聞錄)』은 사서와 역경 및 성리학의 여러 학설들을 기호학파의 경학적 관점에서 비판 정리한 책으로, 한원진(韓元震, 1682~1751)의 대표적인 저술이다. 조선의 사상을 지배한 성리학은 리(理)와 기(氣)의 관계에 대한 관점에 따라 나뉘는데, 한원진은 이발보다 기발에 무게 중심을 둔 이이의 사상 노선에 속했다. 그는 이황과 이이의 설이 서로 모순된 것이 아니라 각각 특정 맥락을 전제하는 정당한 입론이라고 밝히면서도, 자신에게 내려온 이이의 학맥을 통해야 주자의 성리학을 명료하게 이해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주자가 돌아간 뒤에 유가의 도가 우리나라로 왔는데, 그 도를 전수하는 데 책임진 분으로는 오직 율곡(이이)과 우암(송시열) 두 선생만이 가장 두드러졌다.” 이이와 송시열의 도통(道統)이 스승 권상하에게 이어졌다는 자부심과 함께 은연중 도통 전수의 막중한 책임을 지고 『경의기문록』을 지은 것이다. 이 책 『경의기문록 역주 (상권)』에는 전체 6권 가운데 권1~3의 내용을 수록하였다. ‘권1 대학’에서는 『대학장구(大學章句)』를 중심으로 하여 학설의 구도를 그림으로 그려 도해하고, 이해가 미진한 여러 설을 정리하고 비판한다. 양명학과 같은 이단의 학설을 논리적으로 변별하는 치밀한 과정을 보여준다. ‘권2 중용’도 권1과 같은 형식으로 먼저 학설을 도해하여 보여주고 주자의 학설을 일관성 있게 해설하면서 이 학설을 오해하거나 왜곡시키는 여러 설을 비판한다. 특히 주자학자들의 주자 이해가 잘못되었다는 점을 논하며, 당시 주기론적 이해와 다른 학설을 펴는 주리론적 해석과 주기론적 학파 내에서도 이설을 펴는 낙론의 해석을 강도 높게 비판한다. ‘권3 태극도’에서는 주자 성리학의 본체론에 대한 깊이 있는 논의를 진행한다. 이기론의 근거가 되는 역학의 태극론과 음양오행론의 관계에 천착하면서, 불가와 도가의 본체론을 비판하고 성리학의 입장을 설명한다. 아울러 주기론적 해석의 타당성을 천명한다. 상권에는 한원진의 학문과 생애, 『경의기문록』의 저술과 사상사적 의의를 해설하는 역자의 해제를 수록하여 독자의 이해를 돕는다.
이창일. 한국학중앙연구원 책임연구원, 동양철학 전공. 「정약용 『주역』 해석의 경학사적 이해」(2024), 『심학지결』(역주, 2021), 『심경발휘』(역주, 2019) 등
성광동. 한국학중앙연구원 책임연구원, 동양철학 전공. 「『황사영백서』의 현대적 의미 고찰」(2023), 「성리학의 공부론과 이상적 삶의 모습에 대한 고찰」(2021), 『스승 이통과의 만남과 대화』(공저, 2006) 등
송상형.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 박사과정 수료, 철학 전공. 『심경 철학 사전』(공저, 2014), 「다산 정약용의 『심경밀험』 연구」(2007) 등
경의기문록 서
경의기문록 목록
경의기문록 권제1 大學 대학
1. 圖 도
2. 二王說辨 이왕설변
3. 小註 소주
4. 或問小註 혹문소주
경의기문록 권제2 中庸 중용
1. 圖 도
2. 饒王說辨 요왕설변
3. 小註 소주
경의기문록 권제3 太極圖 태극도
1. 圖 도
2. 小註 소주
<하권 차례>
경의기문록 권제4 易學啓蒙 역학계몽
경의기문록 권제5 부록
-易學答問 역학답문
-文王易釋義 문왕역석의
경의기문록 권제6 부록
-理氣性情圖說 이기성정도설
-孟子養氣章說 맹자양기장설
-孟子生之謂性章說 맹자생지위성장설
-通書說 통서설
-朱子太極說解 주자태극설해
-經義記聞錄跋 경의기문록 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