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KS 신간도서

1. 교유와 논쟁으로 본 관계의 문화사

책 표지


저 자
김학수·조현범·정수환·안대회·신상후·한형조·김봉좌·한도현·정치영·신정수·이민주·이남옥
발행처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발행일
2024. 8. 15.
정 가
22,000원
쪽 수
352쪽
판 형
사륙배판
분 류
역사, 한국사
ISBN
979-11-5866-766-5-94910

도서 소개

   조선은 차별의 사회였습니다. 주자학의 논리를 근거로 양반과 평민, 적자와 서자, 남자와 여자, 노비와 상전, 중화와 야만, 정통과 이단, 유교와 불교, 동양과 서양, 호론과 낙론의 사이 등에 꾸준히 구분을 짓는 와중에 여러 질서가 끊임없이 재편되었습니다. 이번 신간 『교유와 논쟁으로 본 관계의 문화사』(김학수 외)는 이런 가운데에서도 유교 사회 조선이 차이와 금기를 극복하고 공존의 가능성을 모색해 간 이야기를 펼쳐 냅니다. 선조의 부마였던 신익성은 노비였던 최기남이 한시를 잘 짓자 궁노의 신분에서 벗어나게 해 주고 그의 시집 『구곡시고』에 서문까지 지어주었다고 합니다. 이처럼 시인이 된 노비뿐 아니라 사제관계를 맺은 유자와 불자, 노장학에 몰두한 유학자 등 조선시대의 여러 놀라운 문화사적 단면들을 이 책을 통해 살펴보실 수 있습니다.


차례

  조극선의 일기를 통해 본 17세기 유불의 길항적 공생_김학수
  서양 선교사의 조선 인식과 타자성_조현범
  조선 후기 노비와 상전 관계의 호혜성_정수환
  신분을 초월한 양반과 노비의 시적 대화_안대회
  조선 후기 호론과 낙론의 논쟁과 교유_신상후
  서계 박세당의 『사변록』과 이단관: 새로운 사고의 지평과 대화_한형조
  한글로 소통한 사대부의 가정생활: 16~17세기 한글 편지를 중심으로_김봉좌
  이일분수(理一分殊)의 사회학, 불가능한 꿈의 오디세이_한도현
  조선시대 유학자들의 산에 대한 색다른 시선: 지리산과 청량산_정치영
  무장사비 서체에 대한 한중 문인들의 견해 차이_신정수
  조선 유학자의 심의에 대한 비판적 해석_이민주
  해방 전후 정인보의 교유 관계_이남옥



2. 윤보선과 1970년대 한국정치

책 표지


저 자
김정회·김명구·서희경·윤왕희·정일준·안병욱·황병주·손승호·김정남
발행처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발행일
2024. 8. 30.
정 가
20,000원
쪽 수
336쪽
판 형
신국판
분 류
사회과학, 정치
ISBN
979-11-5866-760-3-94340

도서 소개

   윤보선은 1960년 4·19혁명으로 대한민국 제4대 대통령에 올랐습니다. 하지만 박정희가 5・16 군사정변을 일으키면서 이 정권은 2년도 채 되지 않아 막을 내리게 됩니다. 그럼에도 한국현대사에서 윤보선의 상징성은 결코 작지 않습니다. 퇴임한 뒤에도 1960년대에 국회의원으로서 야당을 이끌며 대통령직을 놓고 박정희와 대결했던 그는 1970년대에는 민주화운동의 중심에 자리합니다. 특히 1976년 가톨릭과 개신교가 함께 유신정권에 정면으로 맞선 일명 ‘명동사건’에서 그의 역할은 대단했습니다. 윤보선은 안국동 사가에서 ‘3·1절 민주구국선언’을 발표하며 명동사건의 시작을 알렸으며, 유신헌법의 문제를 조목조목 지적했던 명동성당의 3·1절 기념 예배 겸 미사가 끝나고서는 시위대의 최전선에서 민주화의 물결을 이끌었습니다.
   1974년 민청학련사건에서 보듯이 민주화 세력은 유신정권하에서 공산당의 혐의를 뒤집어썼는데, 이런 상황에서 윤보선은 민주화운동의 큰 자산이었습니다. 전직 대통령이라는 후광은 물론, 이전에도 유명했던 반공주의자라는 성향이 반공 이데올로기에 피해를 당하고 있던 민주화운동 세력에게는 버팀목이 되었기 때문입니다. 이번 신간 『윤보선과 1970년대 한국정치』(김정회 외 지음/윤보선민주주의연구원 엮음)는 1970년대 정계를 떠난 윤보선이 민주화운동을 이끌며 마침내 유신체제의 몰락에까지 기여한 궤적을 추적합니다. ‘짧은 임기의 내각제 대통령’이라는 기존의 피상적인 인식을 넘어 한국현대사에서 윤보선의 공과를 객관적으로 마주해 보시기 바랍니다.


차례

  제1부 1970년대 민주화운동과 유신체제
    1장 윤보선의 인권의식과 신부적(神賦的) 국가관_김정회
    2장 민주화운동에서 공덕귀의 역할_김명구
    3장 유신헌법 작성과 유신헌법 반대운동_서희경
    4장 유신체제의 정당과 선거_윤왕희
    5장 한미관계 변동과 유신체제의 붕괴_정일준


  제2부 민청학련 항쟁 재조명
    6장 민청학련 항쟁의 전개와 역사적 의의_안병욱
7장 민청학련 사건과 재야 민주화운동세력의 형성_황병주
8장 한국기독교와 민청학련 사건_손승호


  부록
    회고, 1970년대 민주화운동과 유신체제의 붕괴_김정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