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중연소식

1) 한국학중앙연구원, 개원 45주년 기념식 개최


개원기념식 전경

   한국학중앙연구원(원장 안병우, 이하 ‘한중연’)은 6월 30일(금) 오전 11시에 개원 45주년 기념식을 개최했다. 기념식은 국민의례, 교직원 표창, 원장님 기념사 순으로 진행되었다. 이번 교직원 표창은 특별공로상 2명, 모범상 10명, 장기근속자 표창 24명(40년 장기근속자 2명, 30년 장기근속자 1명, 20년 장기근속자 8명, 10년 장기근속자 13명) 등 총 36명이 수상했다.


개원기념식

2) 2023년 장서각 열린수장고 제29회/30회 개최


   '장서각 열린수장고'는 장서각에 소장된 다양한 유형의 자료를 직접 열람하면서 해당 자료의 의미와 가치를 함께 토론하는 콜로키움이다. 온라인 화상회의(ZOOM) 방식으로 올해 4월부터 9월까지 매월 둘째주와 넷째 주 화요일에 개최된다.
   이번 5월에 실시한 열린수장고의 발표 내용은 다음과 같다.


사진

▣ 제29회 열린수장고
  - 발표주제:『홍재전서』의 민낯: 정조 원고
  - 열람자료: 정조 예제‧어제 원고 등
  - 발 표 자: 김덕수(장서각 책임연구원)
  - 발표일시: 2023. 6. 13.(화), 오전 10:30~11:30
  - 참여인원: 129명
  - 발표개요: 장서각에 소장된 정조 임금의 어제‧예제 원고의 현황에 대해 설명하고 『홍재전서』와 『승정원일기』 등에 수록된 정조 원고와 초고본을 대조 비교해 수정 보완된 사항과 그 이유에 대해 논했다. 발표를 마친 뒤에는 「등공승배치제문(鄧公陞配致祭文)」, 「충무공이순신치제문(忠武公李舜臣致祭文)」 등 장서각에 소장된 정조 친필 유물들을 실제로 열람하고 온라인으로 열람 장면을 공유하여 참석자들의 이해를 도왔다.


▣ 제30회 열린수장고
  - 발표주제: 장서각 소장 왕실 비지문 탁본과 『열성지장통기』
  - 열람자료: 「세종대왕영릉비」 탁본 등
  - 발 표 자: 신정수(한국학대학원 부교수)
  - 발표일시: 2023. 6. 27.(화), 오전 10:30~11:30
  - 참여인원: 110명
  - 발표개요: 장서각에 소장된 환조정릉신도비, 건원릉비와 신도비, 태조헌릉비와 비음기, 세종영릉비 등의 비문과 탁본을 통해 조선 전기 왕릉 비지문의 주요 내용과 전각 서체, 비석의 형태, 왕릉의 양식 등을 고찰했다. 이어 왕실 비지문과 행장을 모아놓은 『열성지장통기』 한문본과 언해본의 내용을 소개하고, 두 간본의 차이와 번역 특징 등을 설명했다. 발표 후에는 환조정릉신도비명 탁본과 세종대왕영릉비 전서 탁본, 북도각릉전도형, 『열성지장통기』언해본과 원본 등을 열람해 참가자들의 이해를 도왔다.


3) 2023년도 제173회·174회 <해외한국학 콜로키움> 개최


   한국학중앙연구원 국제교류처는 2023년 6월 7일(수)과 6월 9일(금) 문형관 대회의실에서 제173회 및 제174회 해외한국학 콜로키움을 개최했다.

제173회 해외한국학 콜로키움    제173회 해외한국학 콜로키움은 2023년도 본원 펠로십 수혜자인 Musa Khan 교수(파키스탄 Riphah International University)와 Amos Farooqi(덴마크 University of Copenhagen 박사과정 수료자)가 연구결과물을 발표하는 자리였다. Musa Khan 교수는 “Public Diplomacy through Screen: Influence of Korean Dramas in South Asian Region” 이라는 주제로 한국 드라마가 남아시아 지역(인도, 파키스탄, 방글라데시)에서 어떻게 인식되고 영향을 미치는 지에 대해 설명하였다. Amos Farooqi는 “Displacement and Manifestations of Localism within Korean Hip-hop” 이라는 주제로 한국의 힙합 음악 장르가 어떻게 지역과 연관되어 있으며, 한국 힙합 음악에서 지역주의가 어떻게 표현되고 있는지에 대해 설명했다.


제174회 해외한국학 콜로키움

   제174회 해외한국학 콜로키움은 경기문화재연구원에서 운영하는 “국외 석학 초청 프로그램”으로 방한한 Milagros Flores-Román 박사(전 ICOFORT 회장)의 강연으로 진행되었다. Milagros Flores-Román 박사는 세계문화유산으로 등록된 산후안(San Juan) 성곽의 역사와 세계적인 유산 가치에 대해 설명했다. 또한 푸에르토리코에서 산후안 성곽이 갖는 군사적 중요성, 성곽의 역사와 발전 과정, 그리고 유네스코에 등재된 이유와 그 가치에 대해 언급했다.


   이번 콜로키움들에도 많은 연구자 및 대학원생들이 참석해 다양한 의견을 공유하는 시간을 가졌다. 국제교류처 해외한국학지원실은 앞으로도 국내외 연구자들이 소통하는 자리를 지속적으로 마련할 예정이다.



4) 2023년도 한국학중앙연구원 펠로십 6월 연구 개시


   국제교류처 해외한국학지원실에서는 매년 '한국학중앙연구원 펠로십'을 통해 한국에서 한국학 관련 연구를 수행하고자 하는 해외 연구자를 초청·지원하여 해외 한국학 저변 확대를 도모하고 있다.
   2023년도에는 총 13명의 펠로우를 선정하였으며 6월부터 펠로십 연구를 개시한 해외 연구자들은 다음과 같다.


▣ Sirin Sung(성시린)
사진   - 소속 및 직위: 영국 Queen's University Belfast 부교수
  - 연구 기간: 2023. 6. 15. ~ 2023. 8. 31.(3개월)
  - 연구 주제: Changing Fatherhood?: Gender Norms, Culture and Policies in South Korea
  - 연구 내용: 아버지들의 인식 변화에 대한 영향을 조사하여, 한국 사회의 문화와 정책 변화가 아동 돌봄과 육아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를 연구한다. 또한 맞벌이 가정에서 육아 업무 분담과 양육 결정 과정을 젠더적 관점에서 심층 인터뷰를 통해 분석하고, 육아휴직 제도와 일-가정 양립 정책의 실효성을 비판적 관점에서 조사하고자 한다.
  - 연구 결과 발표: 2023. 8. 예정


▣ Alvaro Trigo Maldonado
사진   - 소속 및 직위: 스페인 University of Salamanca 조교수
  - 연구 기간: 2023. 6. 18. ~ 2023. 9. 15.(3개월)
  - 연구 주제: Modern Korean Literature Focusing on Chae Mansik´s the "Chameleon" Archetype of Character Represented in His Satirical Works
  - 연구 내용: 채만식 소설의 풍자적인 주제와 그의 문학세계에서 유머를 활용하는 방법에 대해 조사하고자 한다. 또한, 보다 넓은 관점에서 작가의 작업을 탐색하고자 하며, 현장 조사를 통해 작가의 잘 알려지지 않은 작품들과 자료들을 수집하고 분석할 계획이다.
  - 연구 결과 발표: 2023. 9. 예정


▣ Young-Im Lee(이영임)
사진   - 소속 및 직위: 미국 California State University, Sacramento 부교수
  - 연구 기간: 2023. 6. 28. ~ 2023. 11. 28.(5개월)
  - 연구 주제: The End of the Era, or the Past Long-Lasting? Impeachment of Park Geun-hye and the Park Chung-hee Nostalgia
  - 연구 내용: 박정희 대통령의 경제 발전과 민주화에 대한 역할은 그의 사망 이후 40여년이 지난 지금에도 한국사회에서 논쟁의 중심 주제이다. 기존의 연구들은 박정희 노스텔지어의 기원과 한국 선거 정치에서의 역할에 대한 분석에 초점을 맞추어 왔다. 본 연구는 박근혜의 탄핵이 박정희 노스텔지어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를 검증하고자 한다.
  - 연구 결과 발표: 2023. 11. 예정


5) 2024년도 한국학중앙연구원 펠로십 공모


   한국학중앙연구원은 해외 한국학 연구자를 대상으로 심도 있는 연구성과를 도출할 수 있도록 한국에 체류하며 연구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합니다.
   이에 2024년도 펠로십 프로그램을 다음과 같이 공고하오니 많은 관심과 신청 바랍니다.


1. 지원 자격 : 인문‧사회과학 각 분야 한국학 관련 전공의 해외대학 소속 연구자(대한민국 국적자의 경우 외국 영주권 보유자)로서 일정 기간 국내에 체류하면서 연구를 수행하고자 하는 자(박사과정 수료자 이상 지원 가능)
2. 지원 기간 : 연구 기간은 2024년 1월 1일부터 12월 31일 사이이며, 시작일로부터 최소 2개월에서 최대 6개월까지 지원 가능
3. 지원 내용
   (1) 항공료: 왕복 이코노미석 1회 지원(본인에 한함, 국내 체류자 제외)
   (2) 연구지원비: 월 200만원
   (3) 도서관을 포함한 본원 시설 이용
   (4) 연구원 내 게스트하우스 사용료 최대 50% 감면
4. 제출 서류 : 지원신청서, 이력서, 재직(재학)증명서, 박사과정 수료자 추가 제출 서류
5. 접수 기간 : 2023. 6. 12.(월) 10:00 ~ 2023. 7. 28.(금) 17:00 (한국 기준)
6. 제출 방법 : 한국학중앙연구원 홈페이지를 통한 온라인 제출
7. 결과 발표 : 2023년 9월 중 개별 통보
8. 문의 : 한국학중앙연구원 국제교류처 해외한국학지원실 (fellowship@aks.ac.kr)
    ※ 자세한 내용은 한국학중앙연구원 홈페이지 공지사항을 참조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6) ‘2023년 지구를 살리는 이순간(ESG) 챌린지’ 추진


사진

  ◇ 탄소배출 저감을 위한 ‘2023년 지구를 살리는 이순간(ESG) 챌린지’ 추진
   한국학중앙연구원(원장 안병우)은 성남시 8개 공공기관과 공동으로 ‘2023년 지구를 살리는 이순간(ESG) 챌린지’를 진행하고 있다. 2023년 지구를 살리는 이순간(ESG) 챌린지는 일반인도 참여할 수 있는 챌린지로 7월 14일까지 진행한다.


   ESG 챌린지 참여를 위해서는 휴대폰 앱스토어(App store)에서 '행가래' 어플을 다운받아 설치하면 된다. 계단 이용, 건강 걷기, 텀블러 사용, 대중교통 이용, 장바구니 사용 등을 다양하게 실천하는 방식으로 활동별 포인트를 적립하면 누적 순위에 따라 소정의 상품을 받을 수 있다. 이번 챌린지는 공공기관의 사회적 책임 이행 활동의 일환으로, 탄소저감을 통해 환경을 보호함과 동시에 지역내 공공기관의 협업을 통해 지역사회에 한국학중앙연구원 나름의 공헌을 하고자 하는 활동이다.



7) 한국학중앙연구원과 함께하는 '#두유노클럽 캠페인' 실시


사진

  ◇ 한국학 증진을 위해 국민이 직접 참여하고 확산하는 공공캠페인 추진
   한국학중앙연구원(원장 안병우)은 가정의 달 5월을 맞아 <한국학중앙연구원과 함께하는 #두유노클럽 캠페인> 온라인 이벤트를 진행해 왔다. '두유노클럽’이란 세계 각지에서 유행하고 있는 한국의 의복, 음식, 문화, 인물 등의 한국적 요소를 가리키는 용어다.


   공공캠페인을 통한 국민들의 자발적 한국 이해 확산을 위해 온라인상에서 일종의 밈으로 활용되는 ‘두유노클럽’키워드를 활용한 국민참여형 온라인 캠페인은 7월 16일까지 두 달간 진행한다. 이번 캠페인은 민관 협업을 통한 공익목적의 독창적인 한국학 관련 공공캠페인으로, 내년에도 국민들이 관심을 가질 만한 캠페인을 추진해 한국학의 대중화 및 저변 확대에 적극적인 노력을 기울일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