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로 나온 책
1) 밀양 재지사족과 공동체의 존재 양상

- 지 음
- 정은주․정수환․최진아․이남옥․김지현․이래호․이윤정
- 발행처
-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 발행일
- 2023. 2. 6.
- 정 가
- 16,000원
- 쪽 수
- 288쪽
- 판 형
- 신국판
- 분 류
- 한국사, 조선시대
- ISBN
- 979-11-5866-710-8(94910)
도서 소개
  밀양은 현재 인구 약 10만의 작은 도시이지만, 조선시대에는 도호부로서 안동, 경주, 상주와 함께 영남좌도의 핵심 축을 담당하였다. 이것이 가능했던 이유 중 하나는 퇴계 이황-한강 정구-성호 이익으로 이어지는 학맥을 바탕으로 한 밀양 재지사족(在地士族)이 있었기 때문이다. 이들은 임진왜란 이후 향촌 사회 복구를 위해 서원과 향교 운영에 앞장섰으며, 성리학 이념을 바탕으로 향사례, 향음주례, 향악 등을 시행해 향촌 지배 질서를 구축해 나갔다. 이 책은 과거 융성했던 밀양 지역의 전통문화와 그 현대적 의미를 모색하기 위해 대표적인 밀양 재지사족 가문인 의령남씨, 밀성박씨 등이 남긴 고문서와 고서 자료에 주목했다. 또한 일반 백성들이 사용한 밀양 방언의 언어적 특성과 밀양 향토민요를 중심으로 지역민의 삶과 정서도 함께 들여다보며 밀양의 역사, 문화, 민속, 예술, 언어 등 지역 문화의 다양성을 조명했다.
저자 소개
정은주. 한국학중앙연구원 책임연구원.
정수환. 한국학중앙연구원 책임연구원.
최진아. 한양대학교 문화인류학과 조교수.
이남옥. 한국국학진흥원 책임연구위원.
김지현. 한국학중앙연구원 전임연구원.
이래호. 강원대학교 국어국문학과 부교수.
이윤정. 경인교육대학교·한국예술종합학교 강사.
차례
  제1부 지역 사회의 화합과 안정을 도모하다
   조선 후기 밀양 엘리트 집단의 결혼망과 분재_정수환
   조선시대 밀양 지역 성황신앙의 위상과 종교에 미친 문화적 영향력-삼한벽상공신 손긍훈 장군 성황을 중심으로_최진아
  제2부 공간, 인물과 장소의 상징적 표상이 되다
   밀양 재지사족의 《칠탄정십육경화첩》 제작과 문화적 함의_정은주
   『오한집』 간행과 칠탄서원 건립의 역사적 의미_이남옥
   『조선시대 밀양 지역의 명승 형성 양상-「밀양십경」과 「금시당십이경」을 중심으로_김지현
  제3부 지역 공동체의 삶과 정서를 구전하다
   밀양 방언 모음의 음운론적 특징-19세기 말 20세기 초 사례를 중심으로_이래호
   밀양 향토민요의 분포 양상과 음악적 특징_이윤정
2) 조선의 베스트셀러, 사기(史記)

- 지 음
- 김소희
- 발행처
-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 발행일
- 2023. 4. 25.
- 정 가
- 12,000원
- 쪽 수
- 140쪽
- 판 형
- 국판
- 분 류
- 한국사, 조선시대
- ISBN
- 979-11-5866-687-3 (03910)
도서 소개
  우리나라는 일찍이 삼국시대부터 중국과 서적 교류를 하였고, 당시에 유입된 중국본을 적극적으로 활용하기도 했다. 사마천이 기원전 91년에 지은 『사기(史記)』는 중국 왕조마다 매우 활발히 간행하여 여러 형태로 변화를 거듭했고, 조선에서는 이를 그대로 다시 간행하거나 전혀 다른 새로운 체제로 변용했다. 조선의 지식인에게 『사기』는 중국 고대의 역사 이해를 위한 필독서이자 고문을 이해하기 위한 문장 교재, 과거 진출을 위한 학습 교재 등 다양한 목적으로 사랑받았다. 130권에 걸쳐 52만 6,500자를 담고 있는 그 방대한 분량 때문에 핵심만을 선별한 다양한 축약본으로 발행되었고, 축약본의 체제와 내용을 통해 당대인의 선호도를 엿볼 수 있다. 이 책은 조선에서 널리 읽혔던 『사기』의 간행 방식과 간행 형태를 통해 중국 서적의 조선 유입과 조선식 변용 과정은 물론 조선시대 출판인쇄문화의 일면을 보여준다.
저자 소개
김소희.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 조교수.「조선후기 금속활자본 교정사례연구-壬辰字 校正刷本을 중심으로」, 「17~18세기 完營 출판의 간행양상과 특징-자치통감, 주자대전, 동의보감을 중심으로」,『노강서원·화양서원』(공저) 등의 논저가 있다.
차 례
  1. 사마천과 『사기』
  2. 중국의 『사기』 간행
  3. 조선의 『사기』 간행
  4.『사기』와 『한서』의 만남
  5.『사기』에 얽힌 이야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