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중연소식
1) 2023년 장서각 열린수장고 제27회/28회 개최
'장서각 열린수장고'는 장서각에 소장된 다양한 유형의 자료를 직접 열람하면서 해당 자료의 의미와 가치를 함께 토론하는 콜로키움이다. 온라인 화상회의(ZOOM) 방식으로 올해 4월부터 9월까지 매월 둘째주와 넷째 주 화요일에 개최된다.
이번 5월에 실시한 열린수장고의 발표 내용은 다음과 같다.

▣ 제27회 열린수장고
- 발표주제: 영조의 자전적 글쓰기와 영조어제첩
- 열람자료: 《어제자성옹자서》 등
- 발 표 자: 박진성(장서각, 정연구원)
- 발표일시: 2023. 5. 9.(화), 오전 10:30~11:30
- 참여인원: 125명
- 발표개요: 장서각 소장 영조어제첩 가운데 자전적 작품을 소개하여 영조의 일생에 대한 서술과 평가, 감회 등을 살폈으며, 영조어제첩에 수록된 자전적 작품들의 내용적‧형식적 특징에 대해서도 살펴보았다. 발표가 끝난 뒤에는 장서각 소장 《어제자성옹자서》와 《어제자성편》 등 영조의 자전적 글쓰기와 관련된 자료를 열람하고, 온라인 화상으로 열람 장면을 공유하여 참석자들의 이해를 도왔다.
▣ 제28회 열린수장고
- 발표주제: 영전일기(靈殿日記)와 국상(國喪)의 일상
- 열람자료:《효령전일기》등
- 발 표 자: 이 욱(장서각, 연구원)
- 발표일시: 2023. 5. 23(화), 오전 10:30~11:30
- 참여인원: 120명
- 발표개요: 장서각에 소장된 십여 종의 조선 왕실 국상 관련 일기자료를 대상으로 혼전, 빈전, 산릉 등에서 치러진 상례 절차와 소요 품목, 올린 음식 등을 소개했다. 이어서 국휼등록이나 국장도감의궤와 다른 영전일기만의 자료적 가치를 설명하였으며, 발표 이후에는 《효령전일기》‧《효원전일기》 등의 왕실 영전일기와 능상식 발기 등의 관련 자료를 열람하고, 온라인 화상으로 열람 장면을 공유하여 참석자들의 이해를 도왔다.
2) 제95회 소키에타스 코리아나 강연회 개최
제95회 소키에타스 코리아나 강연회가 2023년 5월 9일(화) 프레스센터에서 개최되었다. 이번 강연회는 백태웅 교수(University of Hawaii at Manoa)가 “South Korea’s Ratification of the UN Convention for the Protection of All Persons from Enforced Disappearance (CED)” 라는 주제로 한국의 유엔 강제실종방지협약 가입의 의미에 관해 설명했다.

백태웅 교수는 한국이 2022년 12월 8일 유엔의 핵심 인권 조약 중 하나인 “강제실종방지협약”을 비준한 사실을 바탕으로 현재 유엔 기구에서 한국이 직‧간접적으로 관련된 강제 실종 사건이 다수 제기되어 있다고 설명했다. 또한 향후 남북 관계를 내다보며 강제 실종 문제를 다루는 국제적 기준을 국내 규범화하고, 국제 사회의 노력에 함께 한다는 점에서 한국의 강제실종방지협약은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고 언급했다. 주한 외교관 및 외국인 연구자 등 참석자들은 이번 강연을 통해 유엔에서 진행되고 있는 강제 실종 방지를 위한 다양한 노력을 살펴보고 한국의 강제실종방지협약 비준의 의미를 함께 생각해보는 시간을 가졌다.
참석자들은 강연 후 질의응답을 통해 다양한 의견을 공유할 수 있었다. 강연 내용은 추후 소키에타스 코리아나 유튜브 채널에 게시할 예정이다.
3) 2023년도 한국학중앙연구원 펠로십 5월 연구 개시
국제교류처 해외한국학지원실에서는 매년 '한국학중앙연구원 펠로십'을 통해 한국에서 한국학 관련 연구를 수행하고자 하는 해외 연구자를 초청·지원하여 해외 한국학 저변 확대를 도모하고 있다.
2023년도에는 총 13명의 펠로우를 선정하였으며 3월부터 펠로십 연구를 개시한 해외 연구자들은 다음과 같다.
▣ Hye-Sung Kim(김혜성)
- 소속 및 직위: 미국 Appalachian State University 교수
- 연구 기간: 2023. 5. 16. ~ 2023. 7. 15.(2개월)
- 연구 주제: Temporary Nuclear Proliferation for Complete Denuclearization in the Korean Peninsula: Survey and Experimental Evidence among Members of the National Assembly
- 연구 내용: 최근 여론조사 결과에 따르면 핵무장을 포함한 미국의 확장억제 제공에도 대한민국 국민 대다수가 독자적 핵무장을 선호하고 있다고 나타난다. 지속적으로 높은 국민의 핵무장 선호는 자칫 핵무장에 대한 정책 입안이나 결정을 야기하거나 미국과 같은 동맹국에서 한국 정부가 핵무장을 선호하는 것으로 오인하게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국회의원 및 외교 전문가(약 600명)를 대상으로 한 조사 및 실험 연구를 진행하여, 국민의 높은 핵무장 지지가 정책 입안자 및 결정자들이 한반도의 완전한 비핵화를 목표로 한 임시 핵무장을 포함한 핵무장 정책을 선택하는 데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다른 결정 요인과 함께 분석하고자 한다.
- 연구 결과 발표: 2023. 7. 예정
▣ Hye Eun Choi(최혜은)
- 소속 및 직위: 중국 Shanghai New York University 교수
- 연구 기간: 2023. 5. 16. ~ 2023. 8. 16.(3개월)
- 연구 주제: Inventing Modern Sound Culture in Colonial Korea(1910–1945)
- 연구 내용: 20세기 전반 식민지화와 자본주의로의 편입이라는 큰 흐름이 교차하던 조선에서 소리 재생 기술과 그 산업을 둘러싼 사람들의 욕망과 활동이 어떤 식으로 소리 문화의 근대적 변모를 이끌어 냈는지를 연구하고 있다. 이번 펠로십 기간에 가칭 “Inventing Modern Sound Culture in Colonial Korea” 책을 집필하면서, 유명 가요인 "목포의 눈물"이 20세기 전반에 걸쳐 어떤 식으로 소환되고 활용되었는지를 추적하는 논문을 마무리할 예정이다.
- 연구 결과 발표: 2023. 8. 예정
4) 한국학중앙연구원(AKS)-대양주한국학회(KSAA) 국제학술회의 초록 공모
한국학중앙연구원은 대양주 지역 한국학의 진흥을 도모하고 한국학 연구의 저변 확대에 기여하고자 2023년 12월 4일(월)부터 12월 6일(수)까지 대양주한국학회와 공동 주최로 국제학술회의를 개최하고자 합니다.
이에 논문 발표를 위한 초록을 공모하오니 한국학을 연구하는 국내외 학자, 전문가 및 학생 여러분들의 많은 관심과 참여를 부탁드립니다.
1. 회의 개요
◦ 회 의 명 : 한국학중앙연구원-대양주한국학회 국제학술회의(AKS-KSAA International Conference)
◦ 주 제 : 팬데믹 이후 한국학의 돌파구(Breakthroughs in Korean Studies After the Pandemic)
◦ 개최기간 및 장소 : 2023. 12. 4.(월) ~ 12. 6.(수), 3일간 /호주국립대학교(Australian National University, 캔버라 소재)
◦ 회의일정
- 12월 4일(월) : 대학원생 워크샵
- 12월 5일(화) : AKS-KSAA 국제학술회의(개회식, 기조강연(1), 분과별 회의)
- 12월 6일(수) : AKS-KSAA 국제학술회의(기조강연(2), 분과별 회의, 폐회식)
◦ 발표언어: 한국어 및 영어
◦ 개최방식: 대면 진행
◦ 주 관: 한국학중앙연구원, 대양주한국학회, 호주국립대학교
2. 초록 접수
◦ 접수방법: 이메일 접수(roald.maliangkay@anu.edu.au)
◦ 접수마감: 2023. 9. 1.(금)
※ 학술회의 및 초록 접수에 관한 세부 내용은 다음 링크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학술회의/초록 접수 세부 내용 확인하기(Click)
3. 담당부서: 국제교류처 해외한국학지원실(031-739-9712, congress@aks.ac.kr)
5) 2023년『내가 한국바로알리기의 주인공』에세이 공모
한국학중앙연구원 국제교류처는 외국 교과서의 한국 관련 내용 개선 및 내용 증설을 위한 ‘한국바로알리기사업’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세계 속의 한국 이미지를 개선하고 한국이해자료에 대한 관심을 높이기 위하여 2023년『내가 한국바로알리기의 주인공』 에세이를 공모합니다.

1. 공모주제: 외국에서 보는 한국 이미지, 한국이해자료 활용
2. 응모자격: 외국인, 재외국민
3. 제출방법: 신청서 양식을 작성하여 AKS 홈페이지를 통해 제출
4. 시상내역
- 최우수상: 2명 (외교부·교육부 장관 상훈 및 60만원 상당의 상품)
- 우수상: 4명 (한국학중앙연구원장 상훈 및 40만원 상당의 상품)
- 장려상: 6명 (국제교류처장 상훈 및 20만원 상당의 상품)
5. 접수기간: 2023. 6. 1.(목) ~ 7. 31.(월), 18:00
6. 결과발표: 2023. 9. 25.(월) (예정)
7. 문의: 국제교류처 한국바로알리기사업실 (highspirit@aks.ac.kr)
※ 자세한 내용은 한국학중앙연구원(AKS) 홈페이지 공지사항을 참조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6) 한국학 자료의 원스톱 검색 서비스, 「한국학자료통합플랫폼」 사이트 오픈
한국학중앙연구원(원장 안병우)은 여러 연구기관에서 독자적으로 서비스하고 있는 데이터들을 한자리에서 쉽고 빠르게 찾아볼 수 있는 한국학 자료의 연계·통합 검색 서비스, 「한국학자료통합플랫폼」 사이트(https://kdp.aks.ac.kr)를 구축해 새롭게 선보였다.
그동안 한국학 연구자들은 연구에 필요한 다양한 정보를 찾기 위해 역사·철학·문학·예술·사회과학 등 분야별로 각각의 목적에 맞는 사이트를 고전적, 근현대전적, 멀티미디어자료, 연구성과, 사전·공구 등의 자료 특성에 따라 따로따로 찾아다니며 자료를 수집해야 했다. 또한 네이버·다음·구글 등의 민간 포털사이트를 활용하더라도 전문적 학술 자료를 찾아내기에는 역부족이었다. 하지만 이제는 ‘원스톱 서비스’를 특장점으로 하는 「한국학자료통합플랫폼」을 통해 집약적으로 고도화된 서비스를 누구나 편리하게 누릴 수 있게 됐다.
본 사업은 교육부에서 사업기획 및 재정지원을 하고, 한국학중앙연구원에서 사업주관을 하며, 그 외 국사편찬위원회, 국립중앙도서관, 국가기록원 등 총 25개 기관이 연계된 사업으로 5개년(2022~2026년) 사업으로 계획됐으며, 이번 「한국학자료통합플랫폼」 사이트 구축을 통해 첫 번째 단계가 완료된 것이다.
안병우 한국학중앙연구원장은 “앞으로 데이터베이스 연계를 더욱 확대하고 양질의 데이터베이스 구축을 지원해 「한국학자료통합플랫폼」의 검색 서비스와 데이터 품질을 지속적으로 개선하겠다.”고 말하면서, “사용자 맞춤형 자료 검색과 열람 서비스도 제공해 「한국학자료통합플랫폼」이 한국학 연구에 필요한 자원을 총망라한 한국학 회통의 장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많은 노력을 기울이겠다.”고 밝혔다.
7) 한국학중앙연구원과 함께하는 '#두유노클럽 캠페인' 실시

◇ 한국학 증진을 위해 국민이 직접 참여하고 확산하는 공공캠페인 추진
한국학중앙연구원(원장 안병우)은 가정의 달 5월을 맞아 <한국학중앙연구원과 함께하는 #두유노클럽 캠페인> 온라인 이벤트를 진행한다. '두유노클럽’이란 세계 각지에서 유행하고 있는 한국의 의복, 음식, 문화, 인물 등의 한국적 요소를 가리키는 용어다.
한국학중앙연구원은 공공캠페인을 통한 국민들의 자발적 한국 이해 확산을 위해 온라인상에서 일종의 밈으로 활용되는 ‘두유노클럽’키워드를 활용한 국민참여형 온라인 캠페인을 7월 16일까지 두 달간 진행한다. 이번 캠페인은 민관 협업을 통한 공익목적의 독창적인 한국학 관련 공공캠페인으로, 내년에도 국민들이 관심을 가질 만한 캠페인을 추진해 한국학의 대중화 및 저변 확대에 적극적인 노력을 기울일 예정이다.
8) 한국학 대중화를 위한 AKS 방문프로그램 실시
한국학중앙연구원은 한국학 보급·확대 및 대중화에 적극 노력하고 있다. 그 일환으로 시행되고 있는 기관에 집적된 한국학 연구·교육 역량의 사회 환원을 목표로 방문 개인·단체의 특성 및 수요를 고려하여 기관 전문성에 맞는 다양한 방문프로그램을 체계적으로 운영하고 있다. 그 결과 초·중등학교 및 국내외 유관 기관·단체와 일반 국민들이 기관을 방문하고 있다.

[그림] AKS 방문프로그램 사진 /성남시교육지원청 및 성남시 제3지구 교장단(2023. 5.)
2023년 5월에는 대장초등학교 교사, 삼평중학교 교사, 운중고등학교 교사 외 고등학생들, 성남시 제3지구 교장단, 성남시교육지원청 교육장 외 초중등 장학사 30여명 등이 한국학중앙연구원을 방문하여 기관을 둘러보며 장서각 보유자료 및 고문헌 자료 보존처리 과정을 견학하고, 한국학 DB 구축 자료 활용방안에 대한 설명도 듣는 등 다양한 방문프로그램을 경험했다. 또한 국제교과서자료관 관람을 통해 외국 교과서에 투영된 한국 이미지의 체계적 분석 및 개선 작업에 대한 설명을 들으며 기관에서 수행하고 있는 국내외 한국학 연구교육 관련 다양한 성과를 듣고 초중등 교육 자료 활용방안을 모색하였다.
앞으로도 한국학중앙연구원은 한국학 보급·확대 및 대중화에 다양한 노력을 기울일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