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도자료·칼럼: 제목, 작성자, 등록일, 조회수, 발행정보, 내용으로 구성
제목 한국학중앙연구원, 일제강점기 이후 한국의 환경, 의료, 기술의 발전을 탐구한 『Korea Journal』 특집기획 발간
작성자 ntcrNm 등록일 2022-10-11 조회수 451
발행정보 도서출판실(2022-10-11)
첨부파일

한국학중앙연구원, 일제강점기 이후 한국의 환경, 의료, 기술의 발전을 탐구한 『Korea Journal』 특집기획 발간

 

◇ “Korean Science since the Colonial Period(일제강점기부터 쓰여진 한국의 과학기술사)”를 주제로

총 10편의 논문 수록
◇ 공중보건, 가족계획사업, 자연보호운동, 수문공학을 중심으로 한국의 과학기술사를 집중 조명
◇ 해방과 한국전쟁의 혼란 속에서 진행된 한국의 과학기술사의 발전 방향과 함의 고찰

 

 

□ 한국학중앙연구원(원장 안병우)은 일제강점기 및 한국전쟁을 거치며 한국의 환경, 의료, 기술의 발전이 어떤 방향에서 설계되었는지 분석적으로 탐구한 영문 학술지 『Korea Journal』 62권 3호를 발간했다.

 

□ 이번 특집호의 주제는 “Korean Science since the Colonial Period(일제강점기부터 쓰여진 한국의 과학기술사)”다. 
  ○ 이 분야는 연구기간이 비교적 짧은 만큼 그 성과도 적은 편이기 때문에 이번 특집호의 발간은 관련 연구의 외연을 넓힌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 아울러, 해방 이후 현대 한국사회의 과학기술 발전에 숨겨진 함의를 비판적으로 접근한다는 점에서 국내외 관련 연구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 이번 특집기획은 과학기술사 중에서도 △공중보건, △가족계획사업, △자연보호운동, △수문공학(水門工學)에 집중했다.

 

□ 먼저 공중보건 개편의 이면에 관해서는 “Revisiting Americanization: Focusing on the Reformation of Public Health in South Korea, 1945–1960(전후 한국에서 진행된 미국 중심의 공중보건 연구)”에서 다뤘다. (박지영, 인제대 의과대학 교수)
  ○ 해방 후 한국 공중보건의 개편은 식민 잔재를 청산하고 미국식 모델로 전환하기보다 식민지 시기부터 미국의 영향을 받아 온 소수 의사들이 보건 행정과 학술 활동을 주도하면서 진행됐다. 
  ○ 저자는 공중보건의 개편 과정에서 식민지 유산과 미국에서 도입된 지식이 관계 맺는 복잡한 메커니즘을 분석하고, 공중보건의 미국화가 식민지 잔재와의 상호작용 속에 이루어졌음을 보여준다. 

 

□ 다음으로 1962년 전후 진행된 가족계획사업은 “Revisiting Korean Family Planning (FP): Population and the pre-1962 Context(전후 진행된 한국 가족계획사업 연구)”에서 다뤘다. (존 디모이아 [John P. Dimoia], 서울대 교수)
  ○ 근대 한국에서 진행된 가족계획사업의 실무자들은 일제강점기에 설립된 의료 기관에서 훈련 받은 사람들이 주축이었다. 이들이 한국전쟁 이후 가족계획사업을 담당하게 되자 미국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자신의 사업을 정당화하고 합리화할 수 있는 근거를 찾아냈다. 
  ○ 저자는 일본 제국주의하에서 받은 훈련과 교육을 바탕으로 미국의 근대화 과정에서 진행된 한국의 가족계획사업을 분석하며, 한국의 인구계획사업이 미국 사회과학에 내재된 구조를 충실히 반영했음을 지적한다.

 

□ 국내 자연보호운동은 “Reconfiguring Mountain Expeditions: The Transwar Origins of the Korean Nature Conservation Movement, 1926–1962(한국 자연보호 운동의 전쟁적 기원 연구)”에서 다뤘다. (현재환, 부산대 교수)
  ○ 1970년대 이후 국내 자연보호 운동을 주도한 한국자연보존협회의 주요한 기원이 해방 이후 한국산악회 소속 생물학자들이 주도한 탐사산행에서의 학술 조사와 보전 활동임을 살핀다. 
  ○ 특히 저자는 해방 이후 군부와의 긴밀한 협력하에 탐사산행이 진행되거나 탐사산행이 보전 활동과 연결되는 양상 등은 냉전적 현상이 아니라 일제강점기 때부터 점진적으로 형성된 전쟁의 산물로 봐야 한다고 분석한다.

 

□ 마지막으로 1960년대 후반부터 새롭게 활용된 수문공학의 성격은 “Carving Nature Like a Piece of Artwork”: Hydrological Engineers’ Identity-building in Modern South Korea(예술 작품처럼 자연을 조각한 현대 수문공학 연구자들의 정체성 연구)”에서 다뤘다. (박서현, 싱가폴국립대 연구원) 
  ○ 1960년대 후반 국토 건설 사업을 주도했던 기술 관료들은 대형 댐 건설과 같은 자연에 대한 기술적 개입이 국가 개발을 이끌 것이라 자신했다. 
  ○ 저자는 기술로 자연을 정복할 수 있다는 근대적 선언의 이면에 식민지 시기의 유산과 냉전시기 서구로부터 유입되는 지식 사이에 불안정하게 위치했던 한국의 수문공학을 설명한다.

 

□ 해당 자료는 한국학중앙연구원 누리집(www.aks.ac.kr) > 출판·자료 > 정기간행물 > Korea Journal 게시판을 통해 누구나 무료로 확인할 수 있다.

이전글/다음글: 다음글, 이전글로 구성
다음글 전 세계 130여명 한국학 연구자들, 20일 한국학중앙연구원에 모인다. - 한국학중앙연구원, 제11회 세계한국학대회 개최 -
이전글 한국학중앙연구원, “K스토리를 세상에 알려라” ‘제4기 K-STORY 기자단’ 발대식 개최
TOP
전체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