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보기 맨위로
 
한국학중앙연구원 온라인소식지
 
한국학중앙연구원 온라인소식지 5월호 AKS
 
커버스토리
한중연소식
옛 사람의 향기
이 땅의 문화를 찾아서
한국학 연구동향
세계와 함께하는 한국
새로 나온 책
뉴스 라운지
되살리는 기록유산
틀린 그림 찾기
한국학중앙연구원 페이스북 페이지 한국학중앙연구원 트위터
AKS 이 땅의 문화를 찾아서
 
이 땅의 문화를 찾아서 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 홈페이지 바로가기  『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은 전국 230개 시·군·구 지역의 다양한 향토문화 자료를 발굴․수집, 연구․분석하여 체계적으로 집대성하고, 이를 디지털화하여 인터넷을 비롯한 다양한 정보 통신 매체를 통해 서비스하며, 이용자가 또 새로운 지식의 생산자가 되는 순환형 지식정보시스템을 구축하는 대규모 문화 콘텐츠 편찬사업입니다. 이는 그간 미진했던 전국의 향토문화 자료의 보존 및 계승의 대책 마련과 체계적이고 종합적인 지역문화 정리사업의 필요성에 의해 추진되는 사업으로서, 지식·문화산업의 기반을 마련하고, 지역 간 균형 발전과 지역 경제 활성화에 기여하며, 인터넷을 통해 전국 향토문화의 세계화를 이루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습니다. Tip. 『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이란? 디지털제천문화대전 홈페이지 바로가기 4. 팔영루 처음 지은 시기는 알 수 없으나, 팔영루 사적비에 의하면 1702년(숙종 28) 부사(府使) 이기홍이 중건하고 남덕문(覽德門)이라 한 것을 1870년(고종 7) 부사 이직현이 중수하고 사적비를 세웠다. [사진] 팔영루 [사진] 팔영루 현판 당초 남덕성문이라 했던 것을, 청풍팔경을 읊은 민치상의 팔영시로 인해 팔영루라 부르게 되었다. 현재 루의 정면에는 ‘팔영루(八詠樓)’, 배면에는 ‘남덕문(覽德門)’이라고 쓰인 편액이 걸려 있다. 충청북도 유형 문화재 제35호로 지정되어 있다. [사진] 팔영루 남덕문 아래 호랑이 그림 5. 응청각 응청각은 청풍문화재단지 가장 안쪽의 한벽루 서쪽 청풍호가 내려다 보이는 언덕 위에 있다. 처음 세운 시기는 알 수 없으나, 조선 명종 초 이황(李滉)[1501~1570]이 단양 군수로 있을 때 ‘응청각’이라 이름하였다고 한다. 1637년(인조 15)에 충청 감사 정세규의 일기에 응청각에서 유숙한 기록이 있다. 1900년(고종 37)에 부사 현인복이 중수하였다. 『여지도서』에 응청각은 한벽루 서쪽에 있으며 한벽루처럼 아름답다고 기록되어 있다. 충청북도 유형 문화재 제90호로 지정되어 있다. [사진] 응청각 정면 3칸, 측면 2칸의 홑처마 팔작지붕 집이다. 낮은 석축 기단 위에 자연석 초석을 놓고 세운 2층 누각인데, 하층은 원기둥, 상층은 전면 칸에 원기둥, 후면 칸에 방형 기둥을 세웠다. 하층은 기둥 사이에 토벽을 쳐서 사용하였다. 응청각 연결 항목 바로가기 5. 영호정 영호정은 의림지 남쪽 제방에 위에 있는데, 주변에 아름드리 송림이 우거지고 남쪽으로는 넓은 들판, 북쪽으로는 의림지가 한눈에 들어오는 전망이 좋은 곳이다. 서쪽 제방에 있는 경호루와 함께 의림지의 경관을 더욱 돋보이게 하는 정자이다. 1807년(순조 7)에 이집경이 건립한 뒤 6·25 전쟁으로 파괴된 것을 그의 후손 이범우가 1954년에 중건하였다. 정미 의병 창의 당시 제천을 중심으로 활약한 의병 대장 이강년이 제천 천남 전투에서 승리한 후 1907년 음력 7월에 이곳에서 부하 장수들과 정치를 논의하였으며, 도창의대장으로 추대되었으나 사양하였던 역사적인 장소이기도 하다. [사진] 영호정 정면 2칸, 측면 2칸의 겹처마 팔작지붕 집이다. 건물은 북쪽은 제방 위, 남쪽은 제방 경사지에 걸쳐 있다. 따라서 건물 구조는 높이가 다른 8각의 고주초석 위에 원형 기둥을 세웠다. 동쪽 우측 칸에 ‘영호정(暎湖亭)’이라 쓴 현판이 걸려 있으며, 누마루로 오르는 계단이 있다. 영호정 연결 항목 바로가기 7. 탁사정 탁사정은 제천시 봉양읍 구학리 용암천 높은 절벽 위 소나무숲 속에 동남향하여 자리하고 있다. 1568년(선조 1)에 제주 수사로 있던 임응룡이 고향으로 돌아올 때 해송 여덟 그루를 가져와 심고 이곳을 팔송(八松)이라 이름지었고, 그의 아들 임희운이 정자를 짓고 ‘팔송정(八松亭)’이라 하였다. 이후 허물졌는데, 1925년에 후손 임윤근이 팔송정 옛터에 다시 세웠고, 옥파 원규상이 ‘탁사정(濯斯亭)’이라 이름 지었다. 그 후 6·25 전쟁으로 불에 탄 것을 1957년에 재건하였다. 제천 10경 중 하나로 주변 경치와 함께 아름다운 경관을 보여주는 곳으로 손꼽힌다. [사진] 탁사정 [사진] 탁사정이 있는 용암청 풍경 탁사정 연결 항목 바로가기 8. 관란정 관란정은 제천시 송학면 장곡리 마을 뒤편 산 꼭대기에 자리하고 있다. 이곳은 조선 전기 생육신 중의 한 사람인 원호[1397~1463]가 단을 쌓고 단종이 유배된 영월의 청령포를 향하여 아침저녁으로 눈물을 흘리며 문안을 드리던 장소이다. 원호의 충절을 기리기 위해 그의 후손과 유학자들이 1845년(헌종 11) 정자를 짓고 원호의 호인 ‘관란(觀瀾)’을 따서 이름지었다. 정면 2칸, 측면 2칸의 팔작지붕 겹처마 정자이며, 오른쪽 옆에 원호 유허비가 세워져 있다. 충청북도 기념물 92호이다.
[사진] 관란정 [사진] 원호 유허비 관란정 연결 항목 바로가기
연구원 홈페이지 한국문화교류센터 Newsletter 한국학진흥사업단 Newsletter 관리자에게
「디지털제천문화대전」으로 떠나는 여행(2부) 한국학중앙연구원의 대표적인 전자 편찬 사업『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
 그 중 충청북도 제천 지역 정보를 총망라한「디지털제천문화대전」을 소개합니다. [사진] 디지털제천문화대전 홈페이지 「디지털제천문화대전」(http://jecheon.grandculture.net/)은 충청북도 제천시의 디지털 백과사전으로, 제천시의 지리, 역사와 문화를 비롯해 정치·경제·사회의 발전상 등에 관한 다양한 자료와 정보를 집대성해 인터넷을 통해 누구나 쉽게 활용할 수 있게 제작되었습니다. 2010년 2월 제천시와의 협약을 통해 추진되었으며, 사업이 본격적으로 시작되기 앞서 2009년 4월부터 같은 해 10월까지 ①선행 조사 연구(충청북도 문화재 연구원)를 통해 제천시의 향토문화 자원을 조사ㆍ분석하는 작업을 진행하였습니다. 이후 ②원고 집필 사업(2010년 4월~2011년 3월, 충청북도 문화재 연구원), ③멀티미디어 콘텐츠 제작 사업(2011년 4월~10월, 충청북도 문화재 연구원), 원고 윤문․교열 사업(2011년 5월~11월, ㈜휴머니타스), XML 데이터 제작 사업(2011년 5월~11월, ㈜지식공학), 서비스 시스템 개발 사업(2011년 6월~12월, ㈜올인텍아이엔씨)이 수행되었습니다. 2009년 4월부터 2011년 12월까지 약 2년에 걸친 작업 기간을 통해 원고 집필, 멀티 미디어 제작, 서비스 시스템 구축 사업이 진행되었고, 총 1,874개의 항목, 원고지 12,677매, 사진과 동영상 등 총 4,558종의 멀티미디어 자료를 담고 있습니다.  
「디지털제천문화대전」에 담긴 정보와 자료들은 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 사이트 및 지역별 사이트(제천문화대전), 대형 민간 포털(네이버, 다음, 구글 등)을 통해 언제 어디서나 이용할 수 있습니다. 그럼 제천을 알아보기 위한 여행을 떠나보실까요? [제천의 아름다운 누정들] 제천 지역에는 청풍, 의림지, 탁사정 등의 빼어난 경관에 한벽루, 금남루, 팔영루, 응청각, 금병헌, 경호루, 영호정, 탁사정, 송석정, 관란정 등의 많은 누정이 자연 경관과 하나로 건축되어 많은 사람들의 휴식처가 되고 있다. 누정은 자연 경관이 좋은 곳에 사방을 바라볼 수 있도록 마룻바닥을 지면에서 높여 지은 누각과 정자를 함께 일컫는 말이다. 누정 건축은 정자, 누, 대, 각, 당, 헌 등의 여러 종류의 건축을 통칭하여 부르는 용어로서 인간이 휴식하고 사색하며 주변의 경관을 완상하면서 즐길 수 있는 공간으로 건축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동국이상국집』에 정은 여행하는 사람이 정지하여 쉬는 곳이라고 하였다. 이를 보더라도 누정은 여행하는 사람만이 머물러 쉬는 것이 아니라 사람들이 사방이 확 트인 산수가 좋은 곳에서 사방이 드러나도록 벽체를 설치하지 않은 정자를 지어 놀이를 목적으로 휴식을 취하며 수려한 경관을 완상하고자 만든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제천 지역의 누정 건축을 돌아보며, 아름다운 풍광과 함께 그곳에 깃든 옛사람들의 흔적을 느껴보자. 1. 제천의 누정 제천 지역의 누정은 산이나 냇가·계곡·호수·폭포·바닷가 등 경관이 좋은 자연과 연계되어 경관을 보며 휴식과 놀이, 선비들이 시단을 이루고 풍류와 창작을 즐기는 곳, 학문을 수양하고 강학하는 정사, 지역 사회의 종회나 마을 사람의 동회나 회의 장소, 접객 장소, 활을 쏘는 수련장이나 망루, 인물이나 사건을 기념하는 기능으로서의 역할을 하고 있다. 충청북도는 예부터 청풍명월의 고장으로 북부 지역의 남한강과 남부 지역의 금강이 흘러 경관이 수려한 곳이 많으며, 강변에는 많은 누정이 지어졌다. 기록에 남아 있는 제천 지역의 누정은 풍화루, 의림정, 홍류정, 영호정, 의천루, 군자루, 팔영루, 한벽루, 금남루, 응청각, 명월정, 청음정, 겸산정, 창하정, 현도관, 청풍관, 청풍선부, 수연재 등이다. 제천 지역에 현재 남아 있는 누정은 한벽루, 금남루, 팔영루, 응청각, 금병헌, 경호루, 영호정, 탁사정, 송석정, 관란정 등이 있다. 한벽루, 금남루, 팔영루, 응청각은 청풍문화재단지 내에 있으며 경호루와 영호정은 의림지에 있다. 그러나 청폭정[의림지 옆 폭포 상봉], 진루헌[의림지 서록의 신터리봉], 어약정[탁사정 계곡 건너 마주 보는 휴게소 앞 평편한 지대], 홍류정[의림지 경호루 아래 골짜기 바위 위], 후선각[의림지 경호루 옆], 임소정[연암 뒤]은 그 이름과 터만 전해질 뿐이다. 또한 2004년 제천시지편찬위원회에서 간행한 『제천시지』에 이름만 전하는 누정에 대한 정보가 실려 있는데 홍류정[의림지 폭포 옆], 풍화루[제천향교], 의림정[의림지의 둑], 의천루[제천현의 객사 동쪽], 읍평루[제천현의 객사 남쪽에 있었으나 화재로 소실], 군자루[남당서원], 제천현의 동헌[제천시 중앙로 1가 34번지로 지금은 제천제일감리교회가 있는 곳], 치헌[제천현 객사의 서쪽] 등이 있었다고 한다. 2. 한벽루 제천 청풍 한벽루는 청풍명월의 고장 제천의 상징이자, 비봉산과 청풍강이 어울려 있는 명당 중에 최고 명당에 자리한 누각이다. 본래 청풍현 출신 승려 청공이 고려 충숙왕 4년인 1317년에 왕사가 되어 청풍현이 군으로 승격되자 이를 기념하기 위해 객사 동쪽에 세운 건물로서, 원래는 청풍면 읍리에 있었다. 1983년 청풍호가 만들어지면서 수몰 위기에 처하자 청풍면 물태리[현 청풍문화재단지 내]로 옮겨 세웠다. [사진] 한벽루 [사진] 수몰 전 원래 위치의 한벽루 제천 청풍 한벽루는 본채 옆에 작은 부속 건물이 딸려 있는 형태이다. 건물 안에는 송시열과 김수증의 편액이 있으며, 추사 김정희가 쓴 ‘제천 청풍 한벽루(淸風 寒碧樓)’라는 현판이 걸려 있다. [사진] 한벽루 현판 경상남도 밀양시에 있는 영남루[보물 제147호], 전라북도 남원시에 있는 광한루[보물 제281호]와 함께 조선 시대 누각의 대표적인 예로 지칭되는 제천 청풍 한벽루는 1971년 1월 8일 보물 제528호로 지정되었는데, 영남루와 광한루에 비해 간결하고 단아한 외관을 갖추고 있다는 평가를 받는다. 누각 위에 있는 중수기로 보아 1406년(태종 6) 군수 정수홍이 중수하고, 1634년(인조 12)에 개창하였다. 이후 1870년(고종 7) 부사 이직현이 중수하였으며, 1972년 8월 19일 수해 때 붕괴된 것을 1976년 4월에 다시 복원하였다. 한벽루 연결 항목 바로가기 3, 금남루 제천 청풍 금남루는 본래 조선 시대 청풍부 청사의 정문으로 사용했던 정면 3칸, 측면 2칸의 중층 겹처마, 팔작지붕의 2층 누각 건물이다. 본래는 청풍부의 읍치였던 청풍면 읍리에 있었지만 충주댐의 건설로 수몰되면서 청풍문화재단지 안으로 옮겨 왔다. 1825년(순조 25)에 청풍부사 조길원이 창건하고 현판을 걸었다. 1877년(고종 14) 부사 이직현이 중수하였고, 1900년(고종 37)에 부사 현인복이 전면 보수하였다. 1956년 다시 일부를 보수하였다. 충청북도 유형 문화재 제20호이다. [사진] 금남 건물 전면에는 ‘도호부절제아문(都護府節制衙門)’, 배면에는 ‘금남루(錦南樓)’라고 쓰인 현판이 걸려 있다. 건물은 장대석 외벌대로 기단을 만들고 팔각의 방추형 장초석을 놓은 다음 원기둥을 세웠다. 1층과 2층의 기둥 연결 방식은 각 층이 별도의 기둥으로 구성된 층단주 형식으로 되어 있다. [사진] 도호부절제아문 현판 [사진] 수몰 전 원래 위치의 금남루 금남루 연결 항목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