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보기 맨위로
 
이 땅의 문화를 찾아서
 
한국학중앙연구원 온라인소식지 02월호 AKS
 
커버스토리
옛 사람의 향기
이 땅의 문화를 찾아서
한국학 연구동향
새로 나온 책
뉴스 라운지
되살리는 기록유산
틀린 그림 찾기
한국학중앙연구원 페이스북 페이지 한국학중앙연구원 트위터
AKS 이 땅의 문화를 찾아서
 
세계로 달리는 슈퍼 머신, 포뮬러 원 코리아 그랑프리 연결 항목 바로가기 한국에서 개최되고 있는 코리아 그랑프리는 2005년 유치 협상을 처음 시작하였으며, 같은 해 2월 전라남도 의회로부터 포뮬러 원 유치 사업 승인을 얻었고, 2006년 10월 2일 한국 최초의 포뮬러 원 그랑프리 개최가 결정되었다. 이후 2007년 2월 포뮬러 원 추진 위원회 창립총회가 개최되었고 2008년 5월에는 포뮬러 원 사업 투자 협약을 체결하였다. 포뮬러 원 코리아 그랑프리는 2010년에 영암에서 첫 대회가 치러졌으며, 2016년까지 개최될 예정이다. TIP)『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이란? 『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은 전국 230개 시·군·구 지역의 다양한 향토문화 자료를 발굴․수집, 연구․분석하여 체계적으로 집대성하고, 이를 디지털화하여 인터넷을 비롯한 다양한 정보 통신 매체를 통해 서비스하며, 이용자가 또 새로운 지식의 생산자가 되는 순환형 지식정보시스템을 구축하는 대규모 문화 콘텐츠 편찬사업입니다. 이는 그간 미진했던 전국의 향토문화 자료의 보존 및 계승의 대책 마련과 체계적이고 종합적인 지역문화 정리사업의 필요성에 의해 추진되는 사업으로서, 지식·문화산업의 기반을 마련하고, 지역 간 균형 발전과 지역 경제 활성화에 기여하며, 인터넷을 통해 전국 향토문화의 세계화를 이루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습니다. 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 홈페이지 바로가기 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 홈페이지 바로가기 [사진] 청도 농기구 박물관 『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은 전국 230개 시·군·구 지역의 다양한 향토문화 자료를 발굴․수집, 연구․분석하여 체계적으로 집대성하고, 이를 디지털화하여 인터넷을 비롯한 다양한 정보 통신 매체를 통해 서비스하며, 이용자가 또 새로운 지식의 생산자가 되는 순환형 지식정보시스템을 구축하는 대규모 문화 콘텐츠 편찬사업입니다. 이는 그간 미진했던 전국의 향토문화 자료의 보존 및 계승의 대책 마련과 체계적이고 종합적인 지역문화 정리사업의 필요성에 의해 추진되는 사업으로서, 지식·문화산업의 기반을 마련하고, 지역 간 균형 발전과 지역 경제 활성화에 기여하며, 인터넷을 통해 전국 향토문화의 세계화를 이루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습니다. [사진] 새마을 운동 발상지 기념관 TIP 『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이란? [사진] 정월 대보름 축제 달집태우기 [사진] 제4회 청도 유등 축제 행사장 청도의 박물관 청도 정월 대보름 민속 문화 축제 자세히보기 박물관으로는 각남면 각남 초등학교에 건립된 청도 농기구 박물관과 새마을 운동 발상지 기념관, 2013년 개관 예정인 향토 자료관 등이 있다. 특히 새마을 운동을 새롭게 조명해 농촌에 활력을 불어넣는 계기로 활용하기 위해 2009년 농림 수산 식품부가 청도군 청도읍 신도리에 건립한 새마을 운동 발상지 기념관은 새마을 운동 전시관과 교육관 등이 있어 새마을 운동에 관한 다양한 자료를 전시하고 교육도 진행하고 있어 세계의 주목을 받고 있다. 청도 새마을 운동 자세히보기 디지털청도문화대전 홈페이지 바로가기 [사진] 청도 박물관 [사진] 제6경 유호연화 : 청도군 화양읍 유등리에 있는 유등 연지의 전경이다. 청도 팔경 중 유호연화로 군자정과 어울려진 아름다운 연못의 풍경이다. [사진] 제7경 자계제월 : 청도 팔경 중 하나인 자계제월로 이서면 서원리에 있는 자계 서원의 전경이다. [사진] 제5경 유천어화 : 청도 팔경 중 하나인 유천어화를 재현한 모습이다. 청도천과 동창천이 합류하는 유천에서 고기잡는 불빛을 빗대어 칭하는 말이며, 어두운 밤 어부들의 노랫소리와 함께 하늘거리는 횃불이 눈앞에서 형상화되는 아름다운 풍경이다. [사진] 제8경 운문효종 : 제8경 ‘운문효종’은 운문사 주변의 아름다운 새벽 경치와 이를 깨우는 종소리를 말한다. 디지털청도문화대전 홈페이지 바로가기 포뮬러 경주는 8기통 이하 2,400㏄의 F1, 8기통 이하 3,000㏄ 이하의 F3000[F2], 4기통 2000㏄ 이하의 F3 등으로 나뉜다. F1은 포뮬러 경주 중 최고의 스피드를 자랑한다. 세계 선수권 타이틀을 걸고 다투는 그랑프리[GP로 줄여 부름] 레이스는 F1으로 행해진다. 포뮬러 원 그랑프리는 올림픽, 월드컵에 버금가는 세계 최대 빅 스포츠 쇼 가운데 하나로 세계 150여 개국에 중계돼 40억 명이상이 시청한다. 청도 팔경 속에 빠지다 연결 항목 자세히보기 TIP)『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이란? 『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은 전국 230개 시·군·구 지역의 다양한 향토문화 자료를 발굴․수집, 연구․분석하여 체계적으로 집대성하고, 이를 디지털화하여 인터넷을 비롯한 다양한 정보 통신 매체를 통해 서비스하며, 이용자가 또 새로운 지식의 생산자가 되는 순환형 지식정보시스템을 구축하는 대규모 문화 콘텐츠 편찬사업입니다. 이는 그간 미진했던 전국의 향토문화 자료의 보존 및 계승의 대책 마련과 체계적이고 종합적인 지역문화 정리사업의 필요성에 의해 추진되는 사업으로서, 지식·문화산업의 기반을 마련하고, 지역 간 균형 발전과 지역 경제 활성화에 기여하며, 인터넷을 통해 전국 향토문화의 세계화를 이루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습니다. 포뮬러(Formula)는 경주용 자동차를 이용한 온로드 경기를 말하는데, 주관 단체인 국제 자동차 연맹(FIA: Federation Internationale de l'Automobile)에서 규정한 차체, 엔진, 타이어 등을 갖추고 경주하는 것을 말한다. 포뮬러 카는 길고 낮은 차체에 밖으로 노출된 두꺼운 타이어를 달고 있는 스피드 위주의 차량이다. 포뮬러 자동차 경기 중 최고 단계의 대회는 일컬어 포뮬러 원(Formula 1)[F1]이라 한다. 국제자동차연맹(FIA)에서 개최하는 국제적인 자동차 경주로 포뮬러 원[F1]은 유럽, 아시아, 북미, 남미, 호주 등 전 세계를 투어하는 초대형 스포츠 이벤트이다.
연구원 홈페이지 한국문화교류센터 Newsletter 한국학진흥사업단 Newsletter 관리자에게
http://dobong.grandculture.net/ 둘레길 관련 항목[사진] 안맹담과 정의공주의 묘 전경[사진] 서울특별시 유형 문화재 제121호로 지정된 만월암 석불 좌상[사진] 서울특별시 유형 문화재 106호로 지정된 조선 세종의 손자 영춘군(永春君) 이인(李仁)의 신도비[사진] 도봉, 그 산에 물들다 특별 영상 화면디지털도봉구문화대전 홈페이지 바로가기TIP)『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이란?  『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은 전국 230개 시·군·구 지역의 다양한 향토문화 자료를 발굴․수집, 연구․분석하여 체계적으로 집대성하고, 이를 디지털화하여 인터넷을 비롯한 다양한 정보 통신 매체를 통해 서비스하며, 이용자가 또 새로운 지식의 생산자가 되는 순환형 지식정보시스템을 구축하는 대규모 문화 콘텐츠 편찬사업입니다. 이는 그간 미진했던 전국의 향토문화 자료의 보존 및 계승의 대책 마련과 체계적이고 종합적인 지역문화 정리사업의 필요성에 의해 추진되는 사업으로서, 지식·문화산업의 기반을 마련하고, 지역 간 균형 발전과 지역 경제 활성화에 기여하며, 인터넷을 통해 전국 향토문화의 세계화를 이루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습니다.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 [사진] 서울특별시 기념물 제33호 방학동 은행나무의 모습 [사진] 서울 연산군 묘 「디지털도봉구문화대전」속으로의 여행 1부 한국학중앙연구원의 대표적인 사업 『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 그 중 서울특별시 도봉구 지역 정보를 총망라한 「디지털청도문화대전」을 소개합니다. [그림]「디지털청도문화대전」홈페이지 화면 「디지털도봉구문화대전」(http://dobong.grandculture.net/)은 서울특별시 도봉구 지역의 디지털백과사전으로, 도봉구의 역사와 문화를 비롯한 모든 정보를 집대성하여, 인터넷을 통하여 누구든지 이를 쉽게 활용할 수 있게 제작되었습니다. 2011년 3월 도봉구와 협약을 통해 추진된 이 사업은 2011년 6월부터 같은 해 11월까지 기초조사연구를 통해 도봉구의 향토문화 자원을 조사ㆍ분석하는 작업이 진행되었습니다. 이후 원고 집필 사업(2011년 11월~2012년 8월, 덕성여자대학교),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작 사업(2012년 9월~2013년 8월, ㈜르네틴트), 원고 교열‧윤문 사업(2013년 3월~5월, ㈜지식공학), 영문화 번역 연구(2012년 12월~2013년 6월, 소망번역), XML 데이터 제작 사업(2013년 6월~8월, ㈜나라지식정보), 서비스 시스템 개발 사업(2013년 7월~9월, ㈜포스트미디어)이 수행되었습니다. 2011년 3월부터 2013년 11월까지 약 2년에 걸친 작업 기간을 통해 원고 집필, 교열‧윤문,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작, 영문화 번역 연구, XML 데이터 제작, 서비스 시스템 구축 사업이 진행되었고, 총 1,542개의 항목, 원고지 11,050매, 사진과 동영상 등 총 2,852종의 멀티미디어 자료를 담고 있습니다. 디지털 콘텐츠로 구축된 정보는 지역별 사이트와 대형 민간 포털(네이버, 다음, 구글 등)을 통해 이용자들이 손쉽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그럼 도봉구의 상징인 도봉산에 대해 먼저 알아보도록 할까요? 도봉구의 상징, 도봉산 관련 항목 특히 도봉산은 조선 왕조의 도읍인 한양의 북쪽 관문에 위치하고 있다는 지리적 입지로 인하여, 조선 왕조의 창업과 관련된 이야기들이 많이 전해 내려오고 있다. 또한 1573년 조광조(趙光祖)를 배향하기 위해 도봉 서원(道峯書院)이 건립된 이래 도봉산에는 많은 학자들이 방문하였으며, 그 흔적들이 현재까지도 남아 있다. 도봉산에는 망월사(望月寺), 회룡사(回龍寺), 쌍룡사(雙龍寺), 원통사(圓通寺), 천축사(天竺寺), 관음암(觀音庵) 등 60여 곳의 불교 사찰이 위치하고 있어, 많은 참배객과 관광객들이 찾는 곳이기도 하다. 도봉, 그 산에 물들다 특별 영상 도봉 서원 관련 항목 원통사 관련 항목 서울 도심과 가까운 곳에 위치한 도봉산은 북한산 국립공원의 일부를 이루고 있다. 우이령(牛耳嶺)을 사이에 두고 남쪽으로는 북한산(北漢山), 즉 삼각산(三角山)과 경계를 이루고 있으며, 북쪽으로는 사패산(賜牌山)이 연이어 솟아 있다. 도봉산 명칭의 유래는 산 전체가 큰 바윗길을 이루고 있다는 것과, 조선 태조(太祖) 이성계(李成桂)의 스승인 무학대사(無學大師)가 조선 왕조 창업의 길을 닦았다는 것 두 가지와 관련되어 있다. 바위글씨와 주변 모습: 도봉서원 앞 계곡에 있는 바위글씨다. ‘광풍제월’이라는 글귀는 송나라 때 문인이자 서예가였던 황정견(黃庭堅)[1045~1105]이 주돈이의 인품을 존경하여 이를 표현한 구절이나, 또한 세상이 잘 다스려진 상태를 의미하기도 한다. [사진] 원통사 전경 [사진] 바위 글씨 [사진] 2011년 도봉서원 춘향제 도봉 서원도봉 서원(道峯書院)은 현재 서울 지역에 남아있는 유일한 조선 시대의 서원이다. 1573년(선조 6)에 양주 목사(楊州牧使)로 부임한 남언경(南彦經)이 조광조(趙光祖)의 학문과 행적을 기리는 뜻으로 건립했고, 이듬해에 사액(賜額)을 받았다. 이후 도봉 서원은 300여 년 간 서울·경기 지역 선비들의 주요한 교유처가 되었으나, 고종 대에 서원 철폐령에 따라 훼철되었다. 현재는 세 칸 정도 되는 사우(祠宇)와 세 개의 문이 남아있고, 조광조와 송시열(宋時烈)의 위패가 봉안되어 있다. 도봉 서원 주변 계곡에는 조선 시대 문인들이 남긴 글씨들이 새겨진 바위들이 많다. 도봉 서원과 그 주변 유적들에 대한 기록은 조선 후기 주요 문인들의 문집에서 많이 찾아 볼 수 있다. [사진] 도봉 서원도 원통사 원통사(圓通寺)는 조선 영조 때 영의정을 지냈던 조현명(趙顯命), 서명균(徐命均) 등이 나라의 일을 이야기하며 심신을 닦았던 곳으로 당대 유학자들 사이에 명소로 이름 높았다. 현재 경내에는 조선 태조(太祖) 이성계(李成桂)가 기도하였다는 석굴이 있으며, 약사전 아래 큰 바위에는 태조가 기도를 마치던 날 천상의 상공(相公)[정승]이 되어 옥항상제를 배알하는 꿈을 꾸었다 하여 새겼다는 ‘상공암’이라는 글씨가 있다. [사진] 상공암 바위글씨의 모습 또한 절 뒤쪽에 있는 우이암으로 불리는 바위는 관음보살이 부처를 향해 기도하는 형상을 하고 있어 원래는 관음봉으로 불리었다고 한다. 주변의 자연 지세를 자세히 살펴보면 호랑이·코끼리·학 등 여러 동물 모습을 한 바위들이 이 바위를 향해 머리를 조아리고 있는 형상이다. 사람들은 이곳을 천혜의 관음 성지라고 믿고 있다. [사진] 우이암의 모습 북한산 둘레길 북한산 둘레길 중 도봉 구간은 짧지만 우리의 역사와 이야기를 알차게 담은 역사 문화의 길이다. 북한산 둘레길 도봉 구간은 2012년 현재 도봉 구민은 물론 많은 서울 시민들에게 훌륭한 자연과 역사, 문화의 배움터이자 쉼터가 되고 있다. 2011년에 도봉구에서는 구청장을 비롯한 각 과의 과장과 동장 등 간부 60여 명이 방학동 은행나무부터 탐방 지원 센터까지 5.3㎞를 행진하였다. 방학동 은행나무, 서울 연산군 묘와 정의 공주 묘 등의 문화유산에 유의하며, 이야기가 있는 북한산 둘레길 도봉 구간을 만들기 위해서였다. 이러한 노력으로 역사가 담긴 북한산 둘레길 도봉 구간을 조성하게 되었으며, 더 나아가 도봉 현대사 인물길, 도봉 서원과 바위 글씨길 등 도봉 역사 문화길 7개의 코스를 새로 제정하게 되었다. [사진] 둘레길 입구의 모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