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KS 신간도서
신탁통치 (전 3권) 완간
  1. 이론과 글로벌 사례   2. 미국의 한반도 신탁통치안   3. 한국 정치세력의 인식과 대응

- 저 자
- 이완범
- 발행처
-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 발행일
- 2023. 12. 30.
- 정 가
- 각 20,000~30,000원
- 쪽 수
- 각 500쪽 내외
- 판 형
- 신국판
- 분 류
- 사회과학 > 정치・외교
- ISBN
- 979-11-5866-751-1(752-8, 753-5)
소개
  신탁통치(信託統治, trusteeship)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나라가 자치능력이 부족한 지역을 유엔 감독 하에 일정 기간 대신 통치해 주는 제도를 말합니다. 이 제도는 제2차 세계대전 이후 11개 지역에서 실시됐지만, 1994년 11월 10일 팔라우의 독립을 끝으로 현재는 모두 종료되었습니다. 그리고 오늘날 분쟁 지역에서 안정 확보를 명목으로 다시금 언급되고 있습니다. 신탁통치는 이처럼 국제정치의 중요한 주제임에도 불구하고, 세계사적 조망이나 종합적인 평가가 아직 이뤄지지 않았습니다. 이 문제에 대한 전문적 고찰을 담은 한국학중앙연구원 이완범 교수의 『신탁통치』(전 3권)가 출간되었습니다. 1권에서는 신탁통치를 세계사적 차원에서 조망하며, 신탁통치의 여러 양상을 다루는 한편 그 본질적 성격과 현재적 의미 또한 규명합니다. 그리고 2권과 3권에서는 우리나라의 사례로 초점을 옮겨와, 해방 이후 급격하게 전개된 한반도 신탁통치 문제가 어떻게 분단의 서막으로 작용했는지를 실증적으로 살펴봅니다.
차례
신탁통치 1: 이론과 글로벌 사례
1장 신탁통치안과 위임통치안: 20세기 미국의 식민지 처리 보편 구상
2장 신탁통치의 구체적 시행
3장 오늘날로 소환된 신탁통치
4장 신탁통치안의 본질적 성격
신탁통치 2: 미국의 한반도 신탁통치안
1장 미국의 한반도 신탁통치안 입안
2장 루스벨트의 한반도 신탁통치안 4대국 합의 노력, 1944~1945년
3장 미국의 신탁통치를 전제한 한반도 점령 구상, 1944년 3월~1945년 7월
4장 미 국무부의 신탁통치 구상, 1945년 5~6월
5장 4대국 합의와 스탈린, 1945년 5~6월
6장 미국의 한반도 신탁통치안 논의 유보, 1945년 7월 하순
7장 소련의 참전과 미국의 38선 확정, 1945년 8월
8장 모스크바3상회의의 한반도 신탁통치안 결정, 1945년 10~12월
신탁통치 3: 한국 정치세력의 인식과 대응
1장 이데올로기와 해방정국
2장 모스크바결정 보도 이전 국내 정치세력의 신탁통치 인식
3장 모스크바결정 한국 조항 전문(全文) 보도 직후의 정국
4장 공산주의자 노선 전환과 찬·반탁 대립의 시작
5장 신탁통치노선의 통일 모색
6장 반탁노선과 지지노선의 대립 구도 확정
7장 신탁통치 문제에 대한 각 정파의 입장
8장 신탁통치 문제에 대응한 국내 정치세력의 인식논리
9장 탁치논쟁에서 공위논쟁으로
10장 좌우합작위원회를 통한 제3의 노선 추구와 좌절
11장 공위논쟁에서 단정논쟁으로
12장 미국의 신탁통치안 폐기와 한국 문제의 유엔 이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