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STORY

한국의 동물상징-I, '한국인이 ♥사랑한 동물상징은?'

    [스페셜 인터뷰] 영상을 통해 살펴보는 한국학 첫 번째 이야기

   한국학중앙연구원에서는 한국학의 대중화를 위해 국민과 소통하는 '한국 문화역사 전문 지식형 유튜브 채널: 호기심 王국' 채널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2023년 한국학 대중화 영상의 첫 번째 이야기, 스페셜 인터뷰 영상 <한국의 동물상징-I,'한국인이 사랑한 동물상징은?'>은 한국학에 대한 궁금증을 인터뷰로 풀어보는 콘텐츠 ! 성세정 아나운서의 유쾌한 질문과 한국학 연구자들의 진지하고도 재밌는 대답이 이어집니다. 1편은 '한국인이 사랑하는 동물 상징'입니다.


책과 영상

[그림 1] '한국의 동물상징' 책 표지와 YouTube 영상('한국인이 사랑한 동물상징은?') 썸네일 화면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 한국사학전공 이강한 교수님이 여러 연구진과 함께 저술한 '한국의 동물 상징' 책을 바탕으로 재밌는 '동물 상징' 이야기를 살펴보겠습니다. 한국인들이 사랑한 동물 상징은 어떤 것들일까요? 한국 도자기에만 그려진 동물 상징은 무엇이었을까요? 경복궁 곳곳에 자리하고 근정전을 둘러싼 동물들의 비밀은 무엇일까요?
   가까이 있었지만 깊게 살펴보지 못했던 한국인이 바라본 동물에 관한 이야기가 펼쳐집니다.


책과 영상

  한국인들이 가장 좋아했던,요즘 말로 ‘최애 캐릭터’가 있었을까요? 베스트 3! 꼽아볼 수 있을까요?
  고려청자에는 용이나 학, 물고기 등이 정말 즐겨 표현되었고, 조선백자에는 호랑이도 추가되었습니다. 용의 상징성은 달리 말씀드릴 필요가 없을 정도로 분명할 것 같고, 학은 그 고고한 이미지가 당대의 도자기 제작자 및 소비자들에게 큰 각광을 받았던 것 같습니다. 물고기는 그 역동성이 큰 사랑을 받아 도자기에 자주 표현된 것 같고, 호랑이 역시 궁극의 맹수였던 점이 잦은 시문의 배경이었던 것으로 보입니다.

  그렇다면... 이제 본격적으로 한국인의 동물상징에 대한 흥미로운 이야기를 살펴보겠습니다.



배너"호기심왕국(YouTube)"채널은 한국학중앙연구원에서 한국학의 대중화를 위해 국민과 소통하는 '한국 문화역사 전문 지식형 유튜브 채널입니다. 앞으로 저희 유튜브 채널에 많은 시청과 관심 부탁드립니다!

=> 한국학중앙연구원(AKS) 한국 문화역사 전문 지식형 유튜브 채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