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로 나온 책
1) 조선 국왕의 군대 사용법

- 지 음
- 원창애·주영하·나영훈·이왕무·정정남·송양섭·윤진영·노영구·김충현·정해은
- 발행처
-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 발행일
- 2022. 7. 15.
- 정 가
- 16,000원
- 쪽 수
- 288쪽
- 판 형
- 46판
- 분 류
- 조선시대사
- ISBN
- 979-11-5866-675-0 (03910)
도서 소개
  17세기 조선은 임진왜란 및 명·청 교체기의 동아시아 국제 정세 변화 속에서 국가 위기에 대처하기 위해 중앙 군대를 새롭게 재편했다. 훈련도감은 임진왜란 중에 설립되어 1882년 폐지될 때까지 약 300년간 유지되면서 일지 형식으로 베껴 쓴 공문서 자료집인 『훈국등록』 93책을 남겼다. 이 사료를 통해 훈련도감의 주요 기능은 물론 군대의 일상, 군병들의 거주지였던 한성 안팎의 풍속을 짐작할 수 있다. 『조선 국왕의 군대 사용법』은 숙종 시대 『훈국등록』의 내용을 군사훈련, 산성 축성, 둔전 경영, 능행, 호궤, 면신례 등의 10개 주제로 엮어 소개한다. 숙종은 양난의 아픈 역사를 되풀이하지 않기 위해 신무기 개발, 새로운 군사편제와 전법 모색, 왜검술 도입 등 군사력 강화에 적극적으로 나섰다. ‘연하친병’이라 불리던 훈련도감 군병들은 국왕을 가까이에서 호위하며 국왕의 특별한 관심과 보살핌을 받았다. 그러나 현실에서의 그들은 도성 하층민의 생활을 면하지 못했고, 1만 명이 넘는 훈련도감의 최정예 군병들은 생계를 위해 도성의 궂은일까지 도맡아하는 부역민으로 살아갔다. 훈련도감 군병을 주인공으로 새롭게 그려낸 역사의 장면들이 조선 사회를 보다 깊이 이해하고 흥미를 갖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차례 및 저자
1 숙종이 마련한 4,026명의 군인을 위한 잔치 _ 주영하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 교수)
2 북한산성 축성을 주도한 훈련도감 _ 나영훈 (한국국학진흥원 책임연구위원)
3 훈련도감 군병 가족의 서울 생활 _ 이왕무 (경기대학교 사학과 교수)
4 공병으로 변모한 훈련도감군 _ 정정남 (건축문헌고고스튜디오 대표)
5 훈련도감의 둔전 경영 _ 송양섭 (고려대학교 한국사학과 교수)
6 면신, 군영의 신고식 관행 _ 윤진영 (한국학중앙연구원 수석연구원)
7 말 타는 훈련도감 군병 _ 노영구 (국방대학교 군사전략학과 교수)
8 경신환국와 훈련대장 유혁연 _ 원창애 (전 한국학중앙연구원 책임연구원)
9 행행과 능행의 정치학 _ 김충현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 박사과정)
10 훈련도감의 군사훈련 현장을 찾아서 _ 정해은 (한국학중앙연구원 책임연구원)
2) 사도세자의 충신과 역신-심낙수의 충역열전 역주

- 지 음
- 이승용
- 발행처
-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 발행일
- 2022. 8. 30.
- 정 가
- 15,000원
- 쪽 수
- 220쪽
- 판 형
- 신국판
- 분 류
- 역사, 한국사
- ISBN
- 979-11-5866-692-7 (94910)
도서 소개
  이 책은 조선시대 언관(言官) 심낙수가 남긴 문집 『은파산고(恩坡散稿)』 권8에 수록된 「순충열전(純忠列傳)」과 「당역열전(黨逆列傳)」을 역주한 것으로, 심낙수가 충신과 역신을 판별하여 비평을 가한 기록이다. 심낙수(1739~1799)는 비록 노론 시파였으나 언관으로서 당파의 구분 없이 역적 소탕에 앞장서며 토역확대론(討逆擴大論)을 견지하였다. 이런 점에서 ‘충역열전’은 단순히 역사적 사실과 인물에 대한 기록이 아니라, 심낙수 개인의 의식과 의리론이 그대로 반영된 저술이라 하겠다. 조선 후기는 당쟁(黨爭)의 역사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심낙수는 이 거대한 당쟁의 소용돌이 속에서 직접 목도한 26명의 인물 중 끝까지 사도세자와 정조를 온몸으로 지키고자 한 충신 17인과, 권세를 틀어쥐고 역모를 꾀한 역신 9인을 각각 「순충열전」과 「당역열전」으로 기록하였다. 그는 임오화변의 원인을 사도세자를 둘러싼 보호론과 위동론(危動論)에 있다고 보고, 자신만의 의리론으로 충역의 잣대를 엄정히 구분해 각 인물의 행적을 최대한 객관적으로 서술하였다. 이는 기존의 조선왕조실록이나 『승정원일기』 등 관찬 역사서에서는 볼 수 없는 각 당파의 내부 동향까지 자세히 살필 수 있어 당시 주요 정치적 사건의 내막이나 이를 둘러싼 정쟁의 맥락을 이해하는 데에 많은 참고가 된다.
저자 소개
이승용.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원 연구교수. 『조선후기 강화학파 팔광(八匡)의 삶과 시세계』, 『곤륜 최창대 문학세계에 대한 접근의 일단』(공저) 등과, 『완구유집』, 『도암집』(공역), 『완역정본 택리지』(공역) 등의 논저가 있다.
차 례
    해제
    『은파산고』 「순충열전」 역주
    『은파산고』 「당역열전」 역주
    『恩坡散稿』 「純忠列傳」 원문
    『恩坡散稿』 「黨逆列傳」 원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