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학 포럼

한국인들에게 조상이란?

  - 공신력 있는 인물정보 『인물정보 전거사전』

양창진 사진
양창진
수석연구원

   전통사회를 움직여 온 인물들에 대한 연구는 역사 연구의 토대이므로, 한국학 연구의 심화를 위해 일찍부터 인물 정보를 체계적이고 종합적으로 정리하려는 시도들이 있었다. 굳이 학문을 말하지 않아도 우리나라 국민들은 조상을 지나칠 정도로 숭배한다. 특정인의 본관의 향방을 가지고 학문적으로 논쟁하기도 하지만 집안 간 갈등으로 번지기도 한다. 일제 강점기에 활동했던 인물들의 친일 행적이 진실인가를 두고 후손들은 민감한 반응을 보인다. 머나 먼 인척 관계의 인물에 대해서도 이러할진대 직계 후손들의 반응은 말할 필요도 없다. 이런 한국적 상황 때문에 인물 정보는 현실 세계와 다양한 방식으로 교감한다.


   전통시대 엘리트 정보가 가장 방대하게 집적된 자료는 고려와 조선에서 시행된 각종 과거시험 합격자 명부, 즉 방목(榜目)이다. 방목은 과거 급제자의 자, 호, 본관 및 생몰년 등 개인에 대한 자세한 신상정보와 함께 친가, 처가, 외가와의 관계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중요한 정보이다. 그런데 조선조 문과 급제자는 『국조문과방목』이라는 이름으로 전체가 정리되어 있지만, 다른 과거 급제자 명부들은 개별적으로 분산되어 있고 그나마도 전란을 겪으면서 많이 소실되었다. 따라서 전체적인 전통시대 엘리트 관계망을 정리하기 위해서는 고려과거 및 조선 문무과, 사마, 잡과 방목들을 전체적으로 수집하여 통일된 체제로 정리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서는 여러 학자들이 산발적으로 진행해 온 과거 급제자 정리 연구 성과를 통합하고, 그동안 축적된 자료 정리 성과를 추가적으로 반영한 총서 편찬이 필요하다. 우리 연구원은 이를 위해 2005년부터 국내 최대의 역대인물정보 DB인 ‘한국역대인물종합정보’(http://people.aks.ac.kr)를 구축하여 국민들에게 서비스하고 있다. 여기에는 고려와 조선시대 과거(고려 과거, 조선조 문과, 무과, 사마시 및 잡과) 급제자 정보 10만여 명이 정리되어 있다.


   이 정보 구축을 위해 국내외의 수많은 도서관 및 박물관에 소장된 각종 방목들을 광범위하게 수집하여 체계적으로 입력했다. 그리고 이용자 및 전문가와 협력하면서, 입력된 방목 자료의 오류 수정 및 부족한 급제자 신상정보를 꾸준히 보완했다. 이렇게 구축된 인물정보로 ㈜한글과 컴퓨터와 협력하여 인물정보 자동변환기를 개발하고 한글 워드프로세서에 탑재하여 국민들에게 보급하기도 했다.


   이런 사업들을 추진하면서 한 가지 문제가 대두되었다. 전통시대 엘리트들의 신상을 설명하는 요소들에는 자, 호, 시호, 생년, 본관 등 여러 가지가 있는데 이러한 요소들의 정확한 출처를 정리한 것이 없다는 점이다. 이로 인해 같은 사람을 두고 서로 다른 정보가 확산되기도 한다. 이러한 상황을 개선하기 위한 것이 우리 연구원에서 기획하는 『역대 인물 정보 전거사전』이다. 즉, 인물정보를 구성하는 주요 요소의 출처 전거를 밝힘으로써 관련된 정보의 신뢰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다.


   아래는 고려시대 과거 급제자 정보 중에서 우리가 잘 아는 문익점에 대한 『등과록전편』의 원문 기록이다.


『등과록전편』의 문익점 급제 기록

[그림 1]『등과록전편』의 문익점 급제 기록


   그리고 아래는 『등과록전편』의 기록을 바탕으로 다른 자료들을 참고하여 정리한 『인물정보 전거사전』의 내용이다. 문익점의 시호는 ‘충선(忠宣)’인데, 이는 『정조실록』 1785년 9월 5일자 기사를 참고했으며, 삼우당(三憂堂)이라는 호는 『문헌고략(文獻攷略)』 권4의 단성서원(丹城書院) 기사를 근거로 했음을 제시했다. 또한 그의 처부는 진양정씨 정천익(鄭天益)임을 『태조실록』 1398년 6월 13일 기사를 근거로 밝혔다.

  <문익점(文益漸)>
  【號】 삼우당(三憂堂) [典] 『문헌고략(文獻攷略)』 권4, 書院 丹城.
  【諡】 충선(忠宣) [典] 『정조실록』 1785년(정조 9) 9월 5일.
  【生】 1329 [典] 『등과록전편』
  【卒】 1398 [典] 『태조실록』 1398년 6월 13일 졸기.
  【貫】 강성(江城) [典] 『씨족원류』 에는 丹城.
  【父】 문숙선(文叔宣) 『등과록전편』
  【祖】 문윤각(文允恪) 『등과록전편』
  【曾】 문극검(文克儉) 『등과록전편』
  【外】 조진주(趙珍柱)〈함안(咸安)〉 [典] 『석탄집(石灘集)』 下, 附錄 방목.
  【妻】 정천익(鄭天益)〈진양(晉陽)〉 [典] 『태조실록』 1398년 6월 13일, 문익점 졸기.
  【兄】 문익부(文益孚) 『등과록전편』


   인물들에 대한 정보가 이런 식으로 족보 이외의 사료를 근거로 정리되면 정보의 신뢰성이 향상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형식의 인물정보가 고려와 조선의 전체 과거 급제자를 바탕으로, 당대를 살았던 기타 주요 인물들로 확대되어 정리되면 공신력을 담보한 인물정보 전거 사전이 될 수 있으며, 역사 연구를 위한 기본 도구가 될 수 있다. 또한 우리 연구원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 증보사업을 추진하고 있는데, 이 사전의 인물항목 선정 및 내용 기술을 위한 훌륭한 참고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