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로 나온 책

한국의 근대 형상과 한국학

-비교 역사의 시각

책 표지


지은이
김경일
발행처
한국학중앙연구원출판부
발행일
2020년 12월 30일
정 가
20,000원
쪽 수
386쪽
판 형
신국판
분 류
사회과학, 사회학
ISBN
979-11-5866-637-8 94300

도서 소개

한국학은 한국과 한국인의 가치와 이념, 문화 등에 관한 지식체계로 요약할 수 있지만, 학문분야의 역사적 특수성 때문에 연구의 시기와 대상에 따라 끊임없이 재정의된다. 이를 한층 체계화하기 위해 한국이라는 특정한 공간 안에서 일어난 다양한 사회적 상호작용을 통해 성립하고 변화해온 한국학의 개념과 변천사를 분석했다. 지역학의 본산인 미국의 사례를 집중 검토하여 한국학의 특수성을 상대적으로 부각하는 한편, ‘서구인의 한국 인식이 한국학의 출발점’이라는 주변부 인식에서 벗어나 세계 속의 한국, 다인종사회로서의 한국이라는 전환기를 정의하는 새로운 한국학의 지향점을 모색한다.

저자 소개

김경일.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 사회과학부 교수, 사회학 전공. 『한국의 근대와 근대성』, 『제국의 시대와 동아시아 연대』, 『근대의 가족, 근대의 결혼』, 『노동』 등의 논저가 있다.

차례

1장 서론
2장 한국 근대 형상의 기원
3장 조선학의 형성과 실천
4장 비교 시각과 자국 연구
5장 미국학과 미국의 정체성 논쟁
6장 한국의 전통과 민족, 민중
7장 근대 주체성의 등장과 전통의 변용
8장 한국학의 성립과 모색
9장 맺음말




동북아 부장토기의 형성과 전개

책 표지


지은이
오강원ㆍ박진일ㆍ한수영ㆍ김일규ㆍ이성주
발행처
한국학중앙연구원출판부
발행일
2020년 12월 30일
정 가
18,000원
쪽 수
204쪽
판 형
46배판
분 류
한국사, 고고학
ISBN
979-11-5866-639-2 93910

도서 소개

한반도에서 두형토기(豆形土器)나 고배(高杯)가 정착된 시기와 사용 맥락을 분석하고 그 사회문화적 의미를 역추적하여 한반도의 철기문화 전파 양상과 각 정치체 간의 상호작용을 밝힌다. 토기의 특정한 마연 방식을 검토하여 부여와 동진(중국)의 교류관계를 재규정하거나, 마한 영역에서 출토된 토기의 편년을 보완하여 삼한이 발흥한 시기를 2세기 초로 새로이 제시하는 등 다양한 논의점을 제시한다. 다양한 사회변동 속에서 두형토기가 꾸준히 이용되고 자리 잡는 과정을 분석함으로써 한반도의 철기 문화를 이해할 토대를 넓힌다.

저자 소개

오강원.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 인문학부 교수, 한국고고학 전공

박진일.국립청주박물관 학예연구실장, 한국고고학 전공

한수영. 호남문화재연구원 수석연구원, 초기철기시대 전공

김일규. 부산대학교 강사, 한국고고학 전공

이성주. 경북대학교 고고인류학과 교수, 한국고고학 전공

차례

동단산형두의 확산과 지역적 양상 및 의미 / 오강원
1. 머리말
2. 동단산형두의 분류와 변천 관계
3. 동단산형두의 전개와 의미
4. 맺음말

마한 권역 초기철기·원삼국 분묘의 토기 부장 양상과 의미 / 박진일
1. 머리말
2. 지역별 주요 유적
3. 부장 토기 검토
4. 분기와 토기 부장 양상
5. 진·변한 초기 목관묘 토기와 비교
6. 맺음말: 삼한 문화의 개시점 설정

호서·호남 지역 두형토기 연구 / 한수영
1. 머리말
2. 두형토기의 출토현황과 형식분류
3. 두형토기의 전개양상과 외래문화의 유입
4. 맺음말

3~4세기 영남 지역 고배의 변천과 사회변동 양상 비교검토 / 김일규
1. 머리말
2. 신식 와질토기 단계 고배의 출현과 전개
3. 도질토기 출현 이후 고배의 변천으로 본 사회변동 양상
4. 고배의 변천으로 본 3~4세기 사회변동 양상
5. 맺음말

신라토기의 성립과 부장토기의 선택 / 이성주
1. 머리말
2. 일상토기와 제의토기
3. 부장토기의 발생과 변천
4. 신라고분의 토기부장
5. 맺음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