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지사항 상세: 제목, 작성자, 등록일, 조회수, 첨부파일, 내용으로 구성
제목 MBC 보도에 대한 입장
작성자 기획처 등록일 2025-01-03 조회수 3585

입 장 문
(2025. 1. 3.)

 

 

  

 2025. 1. 1.(수) MBC 뉴스데스크, <"일제 덕에 경제성장"‥혈세로 '식민지배' 미화> 보도 관련,   한국학중앙연구원의 입장입니다.

 

 

 한국학중앙연구원은 2024년 11월 『Economic History of Korea』라는 저서를 발간하였습니다. 본원 부설 한국학진흥사업단 사업의 연구결과물로서, 저자와 주관연구기관(서울대학교)의 출판 신청을 접수해 본원 출판문화부 출판위원회에서 출판 여부를 심의했고, 출판 1년 전인 2023년 11월 출판이 결정되었습니다.

 

 한국학진흥사업단은 국내·외 한국학 진흥을 위해 각종 연구사업을 수행하는 전문기관으로, K-POP에 편중된 세계인의 관심을 한국학 전반으로 넓혀 전세계 한국학 연구‧교육을 활성화하고자 ‘K학술확산연구소사업’을 2021년부터 운영하고 있습니다. 현재 여러 분야에 걸쳐 국내 대학 12개 연구소가 사업을 수행하고 있으며, 이들이 제작한 300여 개의 온라인 강좌가 현재 국가평생교육진흥원 K-MOOC를 통해 서비스되고 있습니다.

 

 상기 도서는 위 12개 연구소 중 하나인 서울대학교 <한국경제와 K학술확산연구소>(소장: 조영준)가 수행하고 있는 ‘한국 경제의 발전 경험에 대한 학술적 성과의 공유와 확산’과제의 공동연구자 김재호 교수(전남대)가 집필한 책으로, 본인이 집필한 “대체로 무해한 한국사: 경제학 히치 하이커를 위한 한국사 여행안내서(2016년)”를 영문으로 번역한 초급 Textbook(2024)입니다.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위원회에서는 고대부터 현대까지의 한국경제사를 다룬 통사 성격의 영문 서적이 국내와 해외를 통틀어 거의 없다는 점을 평가하여 출판 여부를 결정하였습니다. 국내·외 독자가 한국경제사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한국사 속 경제구조의 변화를 토픽 위주로 고찰한 점도 고려되었습니다.

 

 한국학중앙연구원은 한국문화의 심층 연구와 교육을 통해 한국학을 진흥하고, 미래 한국의 좌표를 탐구함으로써 민족문화 창달에 기여함을 목적으로 하고 있습니다. 본원 부설 한국학진흥사업단은 다양한 국내·해외사업을 통해 우수 연구성과를 창출하고 있으며, 한국 근·현대사의 비극적 측면과 역동적 면모를 함께 다룬 역작들을 다수 지원해 왔습니다. 본원 출판문화부 또한 매년 40여 종의 단행본과 학술지를 발간하고 있으며, 고대부터 현대까지, 역사·철학·어문·사회 분야를 망라하는 다수의 도서가 대한민국학술원, 세종도서, 한국대학출판협회 등에서 우수학술도서로 선정되었습니다. 

 

 상기 도서의 일부 내용에 논쟁적 요소가 있을 수 있으나, 저자의 연구 성과가 연구원의 입장과 동일하거나 그를 대변하는 것은 아닙니다. 다만 국민의 세금으로 운영되는 공공기관으로서, 지원했던 과제, 출간한 저서와 관련해 논란이 제기되어 유감스럽게 생각합니다. 위 도서가 2024년 11월 출판되어 아직 해외에 배포되지는 않았습니다만, 학계와 시민사회의 우려를 감안하여 출간본의 내용을 다시금 검토한 후, 필요시 공공기관으로서 전문가 재검토 등 적절한 조치를 취하도록 하겠습니다. 한국학진흥사업단 또한 연구자들의 학문적 자율성을 존중하는 동시에, 출간 결과물에 대한 모니터링 체계를 향후 강화해 나가도록 하겠습니다. 

 

 한국학중앙연구원은 그간의 한국학 콘텐츠 제작 및 연구·교육 증진을 위한 노력에 부족함이 있었거나 더욱 신중했어야 할 지점들이 있는지를 겸허히 성찰하고, 더욱 적정한 방향으로 사업을 운영할 수 있도록 2025년에도 종전의 노력을 계속해 나가도록 하겠습니다.

 

2025. 1. 3.(금)
한국학중앙연구원

이전글/다음글: 다음글, 이전글로 구성
다음글 국가교육위원회 제10차 대토론회 참여 안내
이전글 2025학년도 제1학기 한국학대학원 강사 채용 공고
TOP
전체메뉴